•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Welfare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4초

여성의 수면습관 및 식습관과 지각된 피부건강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attern, Eating Habit, and the Perceived Skin Health among Female Adults)

  • 양미영;서경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22
    • /
    • 2009
  • Objectives: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pattern (circadian rhythm/sleep deprivation), eating habit, and the perceived skin condition of female adults, in order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women who want to maintain healthy skin and professionals in health promo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7 female adults whose ages ranged from 20 to 60 (M=35.14, SD=10.37). The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 Sleep Deprivation Scale, Eating Habit Questionnaire, Skin Condition Questionnaire, Scale for Perceived Skin Health.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evening type women had more fatty skin and felt their skins less healthier than morning type. Although women who did not deprived their sleep had more fatty and sensitive skin and felt their skins less healthier than women who deprived their sleep, sleep depr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orningness, and the morning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preference of fatty and spicy foods. Only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among eating habi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atty and sensitive skin, and negatively to the perceived skin health. Regression analyses with circadian rhythm and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revealed that only circadian rhythm was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fatty skin, while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was only significant predictor for the sensitive skin and the perceived skin health. And, circadian rhythm and the preference of fatty foods accounted for around 12.0% variance of the fatty skin. Conclusion: This study reiterates the roles of fatty foods on skin health, and found the role of circadian rhythm on skin health, and it is need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eprivation and skin condition further. These resul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health practitioners.

아동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Happiness)

  • 유미숙;정계숙;박수홍;차지량;홍광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3호
    • /
    • pp.15-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s and conditions of happines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lso of the perceptions of happiness according to their needs level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There was a total of 649 participants, of which 405 were children and 244 were adolescents, all of whom were attending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s of happiness and the conditions of happiness which consisted of 57 (for children) or 58 (for adolescents)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adolescents both felt happy regarding the variables of 'flow', 'health and appearance', 'lei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owever, it was found that children felt happier than adolescents. Second, children and adolescents perceived achievement-related variables as important conditions of happiness. Additionally, variables of 'relations with parents and relatives' and 'positive emotions' were the conditions that children needed. However, adolescents rated the needs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higher than children. Lastly, children and adolescent groups who perceived the necessity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t a high level were found to be happier than those who perceived the necessity of the conditions of happiness at a low level.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of providing education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융복합시대 에코부머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궤적과 예측요인 (Job Stress Trajectories of the Eco-boomer Generation in the Convergence Era and Predicting Factors)

  • 손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05-409
    • /
    • 2017
  •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융복합시대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변화궤적을 추정하여 예측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직업 스트레스 정도와 그 변화 따라서 개인의 경험하는 직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 중심이 될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부담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종단연구로서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 7차년도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에코부머 세대의 경우 초기 측정시점이 대부분 학생에 해당되어 직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덜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직업에 대한 부담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한 그 변화의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혼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경험 (Divorced Single Mothers'Experience of Self-Independence)

  • 성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7-152
    • /
    • 2017
  • 본 연구는 이혼을 경험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 경험을 탐색하여 한부모들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자립을 한 10명의 이혼여성을 대상으로 자립 및 적응 경험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들은 이혼 당시 배우자에 대한 배신감과 실망감, 우울 등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경제적 문제, 주거 빈곤을 경험하였으며, 이런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시직을 경험하고 지속적인 정보탐색 및 고등교육 과정의 이수, 자격증 취득 등 경력을 개발하는 노력을 하였고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정서적으로는 이혼을 수용하고 자녀와 전배우자 간 관계를 재정립했으며, 생활과 자녀관계에 대해서는 자아통제력을 행사하였다. 또 원가족의 승인과 한부모 자조모임, 지역사회지지 망을 확보하였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장기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매진하는 삶을 삼으로써 희망과 기대를 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자립 및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언하였다.

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 and Quality of Life by Household Types of Elderly)

  • 전병주;곽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13-220
    • /
    • 2016
  • 본 연구는 충 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52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과 일반노인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정보 활용은 일반노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정신 심리적 건강' 및 '사회적 관계' 영역은 일반노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영역은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하위영역별로 두 집단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요인의 영향력은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에서 경제적 상태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 활용, 교육수준, 거주 지역 등은 집단에 따라 영향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 모두 '정신 심리적 건강' 영역에서 정보 활용의 영향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노인들의 가구 특성을 고려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고령화 및 정보화 사회에 맞추어 노인들의 정보 접근을 강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성폭력 피해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other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 양선화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183-224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 6명이다. Colaizzi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제 27개, 주제 모음 13개, 범주 5개가 도출되었다. 범주와 주제모음은 충격(당혹, 혼란), 대처(수습), 고통(분노, 불안, 괴로움, 고립), 극복(안정, 수용, 위안, 변화), 상흔(남아있는 불안, 염려) 등이다. 연구 결과 아동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역동적 변화와 '다양한 관계'들 속에서 자녀를 보호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지'가 반영된 독특한 체험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성폭력 피해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과 아동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확장 및 정착 방안을 제시했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Refugees)

  • 김현경;엄진섭;전우택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29-56
    • /
    • 2008
  • 본 연구는 남한에 장기 거주하는 북한 이탈 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남한 거주기간이 평균 7년 이상되는 탈북 주민 105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 및 사회적 요인, 정신건강 요인, 북한 및 탈북과정의 외상과 남한 사회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에서의 학력과 제3국에서의 거주기간에 따라 PTG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탈북일, 우울, 문화적응스트레스, 미래에 대한 희망, 남한출신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 인식된 만족은 PTG 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PTG 예측요인으로 탈북일, 제3국체류기간, 문화적응스트레스 그리고 남한출신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건강 및 사회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 : 중첩된 가난과 이웃관계, 그리고 정신건강 (A Study on the Poor Residing in the Deprived Areas : Double Poverty, Neighborship, and Mental Health)

  • 탁장한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43-69
    • /
    • 2016
  • 본 연구는 유사한 소득수준을 가진 빈곤층이라고 하더라도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생활실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특히 빈곤한 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중첩된 빈곤상태에 처하였을 때 이들의 이웃관계와 정신건강수준이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94개 시 군 구, N=1,396) 자료를 활용하였고, 지역빈곤과 개인빈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이 부유지역의 빈곤층보다 이웃 간의 유대에 있어 더욱 높은 수준의 이웃관계를 보고하였다. 나아가 중첩된 빈곤상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또한 높이는 기제로서, 빈곤한 지역사회가 빈곤층의 취약한 정신건강을 완충하는 지지기반이 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빈곤지역에서 빈곤한 주민들이 지니는 관계성의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그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repare for the Super-Aged Society)

  • 김민주;황준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95-405
    • /
    • 201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 출산율 저하, 보건의료의 발달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2018년 14% 고령사회, 2026년 20% 초고령사회로 예상되어 빠른 인구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치매, 중풍 등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을 가정에서 돌보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에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구조 및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요양대상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부양 부담의 완화 등을 목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의 민영화와 난립으로 서비스의 공적 책임과 시설의 질 제고에 대한 요청이 확산되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밖에도 저임금 요양인력의 양산, 재원조달 방식에 관한 문제 등의 대비가 다각도로 부족한 부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장기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하기 위해서는 법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의 모색과 더불어 노인복지서비스가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노후 생활의 안정을 위한 정신적 심리적 조치를 강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무엇이 한국 청소년들을 행복하게 하는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What Makes Korean Youth Happy: Self-Directed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Subjective Well-Being)

  • 최아라;이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499-512
    • /
    • 2019
  • Korean adolescents have a lower subjective well-being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other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member countries as well as experience mor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n adults.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parenting behavior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adolescent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the personality dimension of self-directedness, the ability to regulate personal behavior to obtain onindividual goal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self-directednes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Korean adolescents as well as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325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 who completed measures of self-directedness (from the Korean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subjective well-being (Well-Being Scale of Adolescents in Korea), and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My Memories of Upbringing - Short Korean version).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warm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findings also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impact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at was mediated by self-directedness.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as well as confirm the importance of parenting behavior and self-directedness during adoles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