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diagnosi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어판 DISC-IV(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Version IV)의 신뢰도 및 타당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Version IV-Korean Version(DISC-IV))

  • 조수철;김붕년;김재원;김효원;최현정;정선우;양영희;정동선;고복자;김봉석;신민섭;유한익;유희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2호
    • /
    • pp.138-144
    • /
    • 200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Version IV(DISC-IV), a highly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used to assess more than 30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91 study subjects, including 67 subjects who visited th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outpatient clinic at our institution and 24 community-based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C-IV. Clinical diagnosis was used as a gold standard for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the DISC-IV. Forty-four of the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measurement. Results: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C-IV showed kappa values ranging from 0.25 to 0.40 in the clinical sample and 0.65 to 1.00 in the community sample. The sensitivities varied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ategories, but the specificities were excellent for all diagnostic entities.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C-IV showe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C-IV might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PDF

강박장애의 치료받지 않은 유병기간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이상 : 예비연구 (Neuro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Association of Duration of Untreated Illness : A Preliminary Study)

  • 오상훈;김성년;한재욱;이준희;이태영;신민섭;권준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2호
    • /
    • pp.75-81
    • /
    • 2017
  • Objectives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is a chronic and disabling psychiatric disorder. The duration of untreated illness (DUI)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the predictors of clinical course and outcome in various psychiatric disorders.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cognitive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the prognosis of OC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UI on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OCD. Methods Sixty-two patients with a DSM-IV diagnosis of OCD from the outpatient clini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short DUI if the DUI was 2-year or less and the long DUI if it was longer than 2-year. Neurocognitive functions were assessed by visuospatial memory function test and 4 subsets of K-WAIS such as vocabulary, arithmetic, block design and picture arrangement. Differences in neurocognitive functions as well as clinical variables between OCD patients with short DUI and those with long DUI were investigated. Correlation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UI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Results Compared with the short DUI group, the long DUI group performed worse in the block design test, which measures executive function. The long DUI group also had a higher level of compulsive symptom severity than the short DUI group. However, the DUI was not correlated with neurocognitive functions. Conclusions Findings in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 that the long DUI in patients with OCD is associated with more severe executive dysfunction. Studies with larger samples and longitudinal design are needed to further confirm the prognostic role of the DUI in OCD.

화병역학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한 화병 환자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Patients Based on Hwa-byung Epidemiologic Data)

  • 김종우;정선용;서현욱;정인철;이승기;김보경;김근우;이재혁;김낙형;김태헌;강형원;김세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9
    • /
    • 2010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HB) patients, draw the clinical key issue of HB, and provide the data as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of HB.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51 subjects who thought they have HB in 9 site. For all patients, we used HB epidemiologic study protocol, which include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the DSM-IV Diagnosis (SCID-1), diagnostic criteria of HB, symptoms check list, pattern identification tool, psychiastric psychological questionaires, and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FRS). Results : 1. For all participants, 62 % of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HB. These patients had comorbid DSM-IV diagnoses with depression (65%) and anxiety (27%). But 22% of these patients had only HB. 2. HB patients had various physical symptoms when visiting, were diagnosed as various disease, and undergone medical treatments in the past. Among the diagonsed illness, Gastronitestinal diseases (51.6%), psychiatric disorders(40.9%), endocrine diseases(39.8%) were being the most frequent. The frequent physical symptoms of HB patients reported were chest discomfort, head ache, pallpitation, frequent sigh, amnesia, shoulder pain, dry mouth, eye fatigue etc. 3. HB patients had high scores in psychologic questionares, CES-D, STAI, and STAXI. It means that HB patients might be low-level emotional stability. 4. Participant had negative opinion about the treatment of HB that it would be difficult or impossible (65.7%), but they neglect the need of medical treatment.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s that HB is comorbid with various psychiatric disease, but it has different physio-psychological symptoms from others and there were only HB patients. so we identify HB is independent disease. Moreover, there were the wrong perception of HB which blocking treatments. These problems support that the neccesity of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of HB.

한국판 정신장애 진단 선별 질문지의 표준화 연구 (Study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K-PDSQ))

  • 최형근;정성원;조현주;김정범;정철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7
    • /
    • 2013
  • 정신장애 진단선별 질문지(PDSQ)는 임상에서 흔하게 진단되는 DSM-IV 축 1의 장애를 평가하기위해 고안된 최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이다. PDSQ는 포괄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공존질환을 평가 할 수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K-PDSQ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로서, K-PDSQ와 M.I.N.I.-Plus의 비교를 통해 K-PDSQ의 진단적 타당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외래와 입원환자 640명을 대상으로 K-PDSQ와 M.I.N.I.-Plus의 진단적 일치도, K-PDSQ의 시행시간, 민감도 및 특이도를 산출하였다. K-PDSQ와 M.I.N.I.-Plus의 Cohen's kappa계수는 .66로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고, K-PDSQ의 시행 소요시간은 $18.2{\pm}11.80$분이었다. 타당도에 있어 국내 환자군 대상으로 산출된 절단점을 적용하였을 때 높은 수준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냈다. 대부분의 하위척도에서 수용자 작업특성 곡선(ROC)이 대각선 위에 있었고 곡선아래 영역(AUC) 값이 .80 이상으로 선별검사로서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K-PDSQ는 M.I.N.I.-Plus와 상당한 진단적 일치도를 보였고, 시행시간이 짧고,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K-PDSQ는 외래 진료환경에 적용하여 임상면담 이전에 환자에 대한 진단적 평가와 공존질환을 선별해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자폐증 아동에 있어서 Carbamazepine의 치료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CARBAMAZEPINE IN AUTISTIC CHILDREN)

  • 홍강의;최진숙;신민섭;황용승;안윤옥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87-96
    • /
    • 1991
  • 자폐증의 임상증상 완화에 대한 Carbamazepin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약으로 대조한 이중맹(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은 1989년 10월부터 1991년 11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DSM-III-R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면서, 부모가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남아로 하였다. 또한 다른 내과적 혹은 정신과적 질환력을 갖지 않으며, 연구 시작전 적어도 2개월이상의 약물복용이 없는 기간을 갖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Cabamazepine치료군과 위약군으로 할당을 무작위적 할당표에 의해 할당하였는데, 각각 12명, 11명이 해당되었다. 연구 대상 아동의 상태를 모르는(blind) 2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기초관찰 기간과 12주의 약물치료 기간후에 측정한 검사도구의 측정값의 변화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보았다. 두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4875-.6613이었다. 기초 관찰기간시 두군사이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검사도구의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치료 기간 종결시 측정한 검사도구의 값과 기초 관찰기간의 값을 비교한 결과, Autism Behavior Checklist상 전체 점수의 유의한 차이(P<.05), 즉 Carbamazepine치료군이 위약군보다 자폐증 증상의 완화정도가 큰 소견을 보였다. Vineland Social Maturation Scale에서는 두군 모두에서 약물 치료 기간동안 사회성숙도상의 발달이 유의한 정도(P<.005)로 있었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자존감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Anxiety, and Self-Esteem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Korean Children)

  • 이효철;홍민하;오창근;심세훈;전연주;이석범;이경규;백기청;백혜순;임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3호
    • /
    • pp.159-164
    • /
    • 2015
  •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r withou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risk of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Proneness,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Rosenberg Self-Esteem Scale, commonly used in clinical medicine. Methods : Ninety five students with ADHD who visited psychiatry outpatient clinic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t the same time, 59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a similar area regardless of ADHD diagnosi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s control subjects. Results : Overall, 40.0% of 95 ADHD and 12.8% of 592 control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group, 26.3% of the ADHD subjects and 8.3% of the control group were classified as the depression group, and 32.6% of the ADHD subjects and 16.2% of the control group were classified as the anxiety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HD subjects are more prone to smartphone addiction, becoming depressed or anxiou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rom this study, we could suggest that students with ADHD are more easily affected by smartphone addiction than normal control subjects. In addition, we might understand how some psychiatric problems like depression, anxiety, and low self-esteem are related to ADHD and smartphone addiction.

불안, 기분장애로 치료 중 보행장애 외에 서동과 강직을 동반한 정상뇌압수두증 증례 (Bradykinesia, Rigidity and Gait Disturbance Due to "Possible"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in a Patient with Anxiety and Bipolar Disorder : A Case Report)

  • 장세헌;제영묘;최진혁;배정훈;성상윤;조세훈;김영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66-69
    • /
    • 2015
  • 정상뇌압수두증은 보행장애, 요실금 및 치매 등의 전형적인 세 가지 증상 외에도 추체외로 증상과 다양한 신경심리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이 사례는 불안과 정동증상으로 치료 중 보행장애와 요실금 증상을 보였던 46세 여자 환자에서 항파킨슨 약물의 사용과 기존 정신과 치료 약물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이 없었으나, 뇌 컴퓨터 단층 촬영상 뇌실의 확장 소견이 보였고 시험적 뇌척수액 배액에 의해서 수일 내에 증상들이 극적으로 호전되어 정상뇌압수두증을 감별해야 했던 경우이다. 뚜렷한 대뇌 실질의 위축 소견이 없으나 뇌실이 확장되어 있을 경우 추체외로 증상과 신경심리 증상이 있을 경우 정상뇌압수두증의 전형적 세 가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하더라도 정상뇌압수두증의 가능성을 고려해서 시험적 뇌척수액 배액 등의 시술이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된다.

지연된 유방암 진단을 예측하는 정신사회적 요인 : 부부관계기능의 역할 (Psychosocial Factors Predicting Delayed Diagnosis of Breast Cancer : The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Functioning)

  • 김지영;우정민;이상신;김혜원;강동우;임효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14
  • 연구목적 2001년 이후로 유방암은 한국에서 가장 흔한 여성 암이 되었다. 진행 유방암으로 진단받을 고위험군을 확인하는 것은 유방암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을 진단 받은 시점에서 진행 유방암과 연관된 사회인구학적, 건강행위 건강특성, 임상적 그리고 정신사회적 요인을 조사하며, 진행 유방암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방법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처음으로 유방암을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후 '유방암 환자들을 위한 스트레스 클리닉'에 자문 의뢰되어 정신의학적 면담이 시행된 2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 사회인구학적 자료를 비롯하여, 자가진단 및 유방촬영술의 규칙적 시행여부, 진단 당시의 병기, 유방암 발견 경위 등을 조사하였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및 가족적 부담, 부부관계기능, 가족관계기능 정도 등을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파악하였다.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조기 유방암 환자군과 진행 유방암 환자군 간에 변수를 비교하고 진행 유방암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결과 유방암을 진단받은 시점에서 120명(54.8%)이 진행 유방암으로 확인이 되었다. 단변량분석을 통하여 조기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군과 진행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난 변수는 다음과 같았다. 건강행위 및 특성 변수로는 자가 검진행위(p<0.000), 매년 유방촬영술 시행여부(p<0.000)이었다. 암 관련 임상적 특징으로는 종양 발견경위(p<0.000), 첫 증상의 양상(p<0.000), 첫 증상 발견부터 치료까지 소요된 기간(p<0.000)이었다.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부부관계기능(p<0.000)과 가족관계기능(p=0.000), 과도한 경제적 가족적 부담(p=0.018)이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하여 매년 비진행 유방암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인자로는 매년 유방암 선별을 위해서 실시하는 유방촬영술을 비정기적으로 시행하거나(OR=7.431 ; 95% CI 2.407-22.944), 전혀 시행하지 않는 경우(OR=25.299 ; 95% CI 7.855-81.482)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기능 부전적 부부관계(OR=4.772 ; 95% CI 2.244-10.145)가 유일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진행 유방암 진단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진 비정기적 검진을 재확인하였으며, 이외에도 정신사회적 요인으로서 '비기능적 부부관계기능'을 밝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는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 왔던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요인 이외에도 정신사회적 요인이 중요한 영역임을 시사한다.

  • PDF

소아청소년 정신과병동 입원아동의 학대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F THE ABUSE IN PSYCHIATRICALLY HOSPIT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수경;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145-157
    • /
    • 1999
  • 이 논문은 소아청소년 정신병동에 입원한 아동에서 신체적,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동반된 아동을 선별하여 이루어졌다. 입원 아동중 이에 해당하는 아동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았으며 학대가 아동의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고 가족의 특성과 발달과정에 따른 영향이 서로 상호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어 특징적 증상과 발달력, 학대의 특성, 학대자의 특성, 가족역동, 정신병리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 중 주치의의 면담과 병록지를 참조하여 학대와 방임이 뚜렷하다고 판단된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 아동의 인구학적 특징:성별은 남아가 1:6.3의 비율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평균연령은 $11.1{\pm}2.5$세였다. 형제순서는 첫째가 12명(54.5%), 둘째 5명(23%), 셋째는 2명(9%)이었고 독자는 3명(13.5%)이었다. 2) 가족의 특징:사회경제적 상태는 중상 3명(13.5%), 중 9명(41%), 중하 9명(41%), 하 1명(0.5%)이었다. 가족 수는 3인 이하 3명(13.5%), 4∼5인이 17명(77.5%), 6∼7인 2명(9%)이었다. 부가 직업이 있는 경우는 18명(81.8%)이었고 모가 직업이 있는 것은 7명(32%)이었다. 결혼상태는 이혼과 별거가 5명(23.0%), 재혼 2명(9%)이었고 심각한 부부불협화는 19명(86.5%)에서 보였다. 부에서 반사회적 행동은 7명(32%), 알콜 중독은 10명(45.5%)이었다. 모의 알콜남용이 5명(23%)이었고 우울은 17명(77.3%)에서 보였으며 정신과 진료력이 6명(27%)에서 있었다. 3) 학대의 특징:신체적 학대가 18명(81.8%), 신체적 방임과 정서적 방임은 4명(18.2%)이었다. 학대 시작시기는 3세 이전이 15명(54.5%) 3세 이후가 5명(27.5%), 학령기가 1명(5%)이었다. 학대가 부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경우는 2명(9%)이었고 모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경우는 8명(35.4%)이었으며 부모에 의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8명(35.4%)이었다. 배우자 구타가 동반된 것은 7례(27%)에서 였고 배우자 학대의 피해자는 자녀에 대해 신체적 학대나 정서적 학대를 가하고 있었다. 형제자매가 같이 학대를 받고 있는 것은 4명(18.2%)이었다. 4) 학대아동의 일반적 특징 및 발달력:원하던 아이로 태어난 것은 10명(45.5%)이었고 원하지 않는 아이로 태어난 아동이 12명(54.5%)이었다. 학대이전에 언어나 운동발달상의 이상을 보인 아동은 9명(41%)이었으며 공존하는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은 모두 15명이었는데 이들 중 학대이전에 뚜렷한 발달지체의 증거가 없었던 경우는 6명(27.5%)이었다. 또 학대이전 과잉운동을 보인 아동은 9명(41%), 키우기 어렵게 지각한 아동이(difficult child) 6명(27.5%)이었다. 뇌파의 이상소견은 5명(23%), 두뇌의 컴퓨터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술 이상소견은 4명(18.2%), 벤더-게스탈트검사에서 기질성 뇌장애를 의심할만한 소견은 14명(63.5%)에서 보였다. 지능검사의 결과는 평균이상 IQ는 12명((54.5%), 지능지체 및 경계선 지능은 9명(41.0%)이었다. 5) 주 진단 및 공존진단:주 진단으로는 행실장애가 6명(27.3%), 경계선장애(borderline child) 5명(23.0%), 우울병 4명(18%),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4명(18%),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2명(9%), 선택적 함구증 1명(5%)이었다. 모든 대상 아동이 주 진단 이외의 2∼6개 이상의 다양한 공존진단을 보였다. 공존진단에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우울병, 경계선지능 및 정신지체, 학습장애, 언어발달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만성 틱장애, 기능성 유뇨증과 유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불안장애, 해리 장애, 기질성 성격장애순이었다. 6) 치료경과:이들 아동의 입원기간은 평균 2.4개월(${\pm}1.5$)이었고. 이들 중 권유에 의한 퇴원은 14명(63.5%), 조기거역퇴원은 6명(27.3%)이었고 증상의 호전을 보인 것은 모두 11명(50%)이었고 변함이 없는 경우도 11명(50%)였다.

  • PDF

MicroRNAs in Human Diseases: From Cancer to Cardiovascular Disease

  • Ha, Tai-You
    • IMMUNE NETWORK
    • /
    • 제11권3호
    • /
    • pp.135-154
    • /
    • 2011
  • The great discovery of microRNAs (miRNAs) has revolutionized current cell biology and medical science. miRNAs are small conserved non-coding RNA molecules that post-transcriptionally regulate gene expression by targeting the 3' untranslated region of specific messenger RNAs for degradation or translational repression. New members of the miRNA family are being discovered on a daily basis and emerging evidence has demonstrated that miRNAs play a major role in a wide range of developmental process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cell cycle, cell differentiation, metabolism, apoptosis, developmental timing, neuronal cell fate, neuronal gene expression, brain morphogenesis, muscle differentiation and stem cell division. Moreover, a large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links between alterations of miRNA homeostasis and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cancer,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autoimmune disease. Interestingly, in addition, miRNA deficiencies or excesses have been correlated with a number of clinically important diseases ranging from cancer to myocardial infarction. miRNAs can repress the gene translation of hundreds of their targets and are therefore well-positioned to target a multitude of cellular mechanisms. As a consequence of extensive participation in normal functions, it is quite logical to ask the question if abnormalities in miRNAs should have importance in human diseases. Great discoveries and rapid progress in the past few years on miRNAs provide the hope that miRNAs will in the near future have a great potential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ny diseases. Currently, an explosive literature has focussed on the role of miRNA in human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is review, I briefly summarize the explosive current studies about involvement of miRNA in various human canc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