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P20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생마 저온부패 원인세균의 분리 및 부패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otted Yam)

  • 류희영;김영숙;박상조;이봉호;권순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4
    • /
    • 2006
  • 본 연구는 부패 생마로부터 저온성 부패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의 생육특성과 다양한 효소의 부패관련성을 조사하여, 생마 저온 장기저장 및 생마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온 장기저장중의 부패생마로부터 서로 다른 13종의 저온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생마 절편을 이용한 부패력 측정 결과 분리균주 중 YAM-10및 YAM-12균주가 저온부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rhodesiae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는 20$^{\circ}C$에서도 우수한 amylase, CMCase, xyl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 특히 amylase 활성은 생마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AM-10 및 YAM-12균주는 양파절편을 부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4$\sim$12$^{\circ}C$의 온도에서도 생육가능하며, pH 5 이하 및 pH 10 이상에서는 생육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현재 생마의 저온 장기저장 및 부패억제를 위한 저온성 Pseudomonas sp.의 제어와 생마부패에 관련되는 효소들의 특성과 저해에 대한 연구 및 저장성, 관능성이 강화된 산장, 염장 등을 통한 생마 가공식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지방분해효소 생산균 Pseudomonas sp. OME 의 분리 동정 및 배양조건 최적화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polytic Enzyme Producing Pseudomonas sp. OME and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 Kumar, G.Satheesh;Reddy, T. Kiran;Madhavi, B.;Teja, P.Charan;Chandra, M.Subhosh;Choi, Yong-Lark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62-669
    • /
    • 2010
  • 폐식용유에서 지방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고, PIBWIN 세균동정 방법으로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확인한 결과 Pseudomonas sp. OME로 동정하였다. 여러 기질로 지방분해효소 생산을 조사한 결과 올리브유에서 6.1 U/ml의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물리적 인자인 배양시간, 온도. pH 및 올리브유와 효모 추출액의 영양인자에 의한 지방분해효소 생산 조건을 조사 하였다. 효소의 분비는 배양시간. 올리브유 와 효모 추출액의 농도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RSM을 이용한 최적화는 이들 인자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RSM을 이용한 지방분해효소 생산은 배양시간. 올리브유와 효모 추출액의 농도가 48 hr, 0.3 g, 및 0.9 ml에서 최적 생산조건을 나타냈다.

슈도모나스 sp. X-8의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의 생산 조건과 특성 (Production Conditions and Characterization of ${\beta}$-Lactamase Inhibitor from Pseudomonas sp. X-8)

  • 김경자;김태성
    • 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58-665
    • /
    • 1997
  • Identification of a soil microorganism strain X-8, producer of ${\beta}$-lactamase inhibitor, based on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al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The strain X-8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The beta-lactamase inhibitor produced by this strain was highly achieved in fermentation medium contained glucose 0.5%, urea 0.25%, $K_2HPO_4{\cdot}3H_2O\;0.5%,\;MgSO_4{\cdot}7H_2O\;0.5%,\;FeSO_4{\cdot}7H_2O\;0.01%,\;CuSO_4,\;ZnSO_4,\;MnSO_4\;0.02%$. The beta-lactamase inhibitor was not extracted by organic solvent such as n-butanol and ethyl acetate but remained in aqueous layer. The n-butanol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 smegmatis. The ${\beta}$-lactamase inhibitor was stable at pH 7.0~8.0 and 4$^{\circ}C$ for 24h. The ${\beta}$-lactamase inhibitor was bound on ion exchanger Diaion WA-30 and HP-20 and eluted with 2N-$NH_4OH$ and acetone, respectively.

  • PDF

토양 내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s)의 생물학적 분해 연구 (In-situ Bioremediation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Contaminated Soil by Pseudomonas Species)

  • 김지영;이상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1-167
    • /
    • 2011
  • 본 연구실에서 확보한 diesel 분해 고효율 균주 Pseudomonas putida KDi 19, kerosene 분해 고효율 균주 P. aeruginosa K14, gasoline 분해 고효율 균주 P. putida G8, BTEX 분해 고효율 균주 P. putida BJ10, P. putida E41의 5개의 고효율 균주를 컬럼 및 반응기에 적용하여 TPH의 생물학적 분해 실험에 적용하였다. 영양염류 및 산소 농도, 균농도 등 최적의 환경인자 도출을 통해 최적의 생물학적 처리 효율을 TPH의 경우, MSM 및 activator I을 주입하여 25일 동안 76.3%의 제거 효율과 제거속도상수 K=0.711를 나타냈으며, diesel의 경우 40일 동안 99.2%의 제거 효율을 보였다. 또한, TPH 오염 토양의 lab-scale bioremediation 실험에서 고효율 균주를 적용한 결과 45일 운전 기간 동안 7,209.9 $mg{\cdot}kg^{-1}$을 825.6 $mg{\cdot}kg^{-1}$까지 88.5% 제거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TPH로 오염된 토양의 bioremediation을 위한 고효율 균주 확보와 최적의 환경 인자 도출은 현재 부족한 생물학적 처리 연구와 물리적 화학적 처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초적 실험 자료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nduction of Defense Related Enzymes and Pathogenesis Related Proteins in Pseudomonas fluorescens-Treated Chickpea in Response to Infection by Fusarium oxysporum f. sp. ciceri

  • Saikia, Ratul;Kumar, Rakesh;Singh, Tanuja;Srivastava, Alok K.;Arora, Dilip K.;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2권1호
    • /
    • pp.47-53
    • /
    • 2004
  • Pseudomonas fluorescens 1-94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chickpea against Fusarium wilt of chickpea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iceri by the synthesis and accum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phenylalanine ammonia lyase(PAL) and pathogenesis related(PR) proteins(chitinase, $\beta$-1,3-glucanase and peroxidase). Time-course accumulation of these enzymes in chickpea plants inoculated with P. fluorescens was significantly(LSD, P=0.05) higher than control. Maximum activities of PR-proteins were recorded at 3 days after inoculation in all induced plants; thereafter, the activity decreased progressively. Five PR peroxidases detected in induced chickpea plants. Molecular mass of these purified peroxidases was 20, 29, 43, 66 and 97 kDa. Purified peroxidases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콩나물 부패병 방제를 위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길항균 Pseudomonas fluorescens의 이용 (Isolation and Utilization of Antagonistic Pseudomonas fluorescens from Soils for the Protection of Soybean Sprouts Rot)

  • 김진호;주길재;최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0-56
    • /
    • 2001
  • 부패된 콩이나 콩나물에 존재하는 33종$(K-1{\sim}K-33)$의 각종 미생물로부터 콩나물 부패에 관여하는 세균(K-17)과 진균(K-28)을 각각 1종류씩 분리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Erwinia carotovora와 Fusarium sp.로 동정하였다. 콩나물 부패균에 길항하는 미생물은 각종 토양 균원시료로부터 분리한 350여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콩나물 부패세균인 K-17 균주와 진균인 K-28 균주에 각각 길항력을 나타내는 J-232 세균을 최종 선발하였다. 길항균 J-232는 Pseudomonas fluorescens로 동정되었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은 시루 아랫부분이 부패하였으나, 길항균 P. fluorescens J-232는 PDA 한천배지에서도 부패균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을 뿐만아니라 길항균 배양여액을 단독으로 콩나물재배에 처리할 경우에도 시루 내 콩나물은 부패되지 않았다. 콩나물 부패균 E. carotovora K-17과 Fusarium sp. K-28의 배양액에 길항균 P. fluorescens J-232의 배양액을 원액 또는 500배까지 희석하여 침지한 후 재배한 콩나물도 전혀 부패되지 않았으며 생육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폭약 TNT를 분해하는 세균인 Pseudomonas SP. HK-6에서 분리정제된 Nitroreductase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Nitroreductase Purified from TNT-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HK-6.)

  • 호은미;강형일;오계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0-237
    • /
    • 2004
  • 균주 Pseudomonas sp. HK-6로부터 2,4,6-trinitrotoluene (TNT)의 대사 과정에서 유도되는 nitroreductase (NTR)를 분리 및 정제하여 다양한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NTR은 균주 HK-6의 세포추출물로부터 ammonium sulfate 침전, DEAE-sepharose, 그리고 Q-sepharose chromatography의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분리되었고, NTR의 활성을 가지는 세개의 다른 fractions를 확인하였다. 균주 HK-6의 NTR fractions I, II, 그리고 III의 비 활성은 각각 4.85 unit/mg, 5.47 unit/mg, 5.01 unit/mg으로 측정되었으며, 세포추출물에 비해 각각 9.0배, 10.1배, 9.3배 농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SDS-PAGE에서 측정된 균주 HK-6의 NTR fractions I, II 그리고 III의 분자량은 모두 약 27 kDa으로 확인되었다. 정제된 NTR의 활성에 온도, pH, 금속 이온, 억제 물질의 효과와 기질 특이성 등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균주 HK-6의 NTR fractions I, II, 그리고 III의 적정온도는 $25~35^{\circ}C$ 확인되었고, 모두 $3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효소 활성의 적정 pH는 7.0~8.0이었고, 최적 pH는 7.5로 확인되었다. TNT에 대한 HK-6의 NTR fractions I, II, 그리고 III의 활성은 금속 이온 $Ag^{+}$ , $Cu^{2+}$ , 그리고 $Hg^{V}$ 에 의해서 약 70%이상 저해되었으며, $Mn^{2+}$ 또는 $Ca^{2+}$ 에 의해서 약 20~50%로 활성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Fe^{2+}$ /첨가 시에는 효소의 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TR의 활성에 대한 억제물질의 영향은 $\beta$-mercaptoethanol 첨가 시에 효소의 활성이 모두 억제되었고, dithiothreitol, EDTA, 그리고 NaCl 첨가시에도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NT와 그 유사기질을 이용하여 HK-6에서 분리된 NTR의 기질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TNT, nitrobenzene, 그리고 RDX에 대해서는 비교적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2,6-DNT와 2,4-DNT에서는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ification and Comparison of Properties of the C-Terminus Truncated Agarase of Pseudomonas sp. W7

  • Yoon, Soo-Cheol;Lee, Jong-Hee;Ahn, Sun-Hee;Lee, Eun-Mi;Park, Eun-Mi;Kong, 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767-772
    • /
    • 2003
  • Three plasmids derived from the ${\beta}-agarase$ gene (PjaA) of Pseudomonas sp. W7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D494(DE3) pLysS with lactose as an inducer. These products corresponded to the complete (PjaA) and the two C-terminal truncated (PjaAI and PjaAII) forms of ${\beta}-agarase$. The PjaAI and the PjaAII were originated from exonuclease L treatment from PjaA by deleting 127 and 182 amino acid residues-encoded nucleic acids at 3' region,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s of the purified proteins were 71 kDa, 58 kDa, and 50 kDa on SDS-PAGE, respectively. The $K_m$ value of PjaAI was lower than that of the PjaA, and the catalytic efficiency ($k_{cat}/K_m$) of PjaAI was increased to 5 times. The enzyme of PjaAI retained more than 90% activity at $50^{\circ}C$. In contrast to the PjaAI, the remaining activity of the PjaA was only 20% at the same temperature.

어류양식장 저질개선을 위한 과산화칼슘 투입에 의한 생태 환경변화 관찰 (A Study on Bioremediation of Fish Farm Sediment Using CaO2 by Enhancement of Indigenous Microbial Activity)

  • 조대철;배환진;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187-1193
    • /
    • 201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nhance the bottom environment of Geoje fish farm that has been severely contaminated. Treatment of microbial agent and/or calcium oxide significantly changed that environment: in ignition loss, either treatment (25% or 21%) showed better than mixed treatment (13.2%). In COD, the oxygen releasing agent or mixed treatment reduced the index by more than 20%. In T-P and T-N, the effects of $CaO_2$ on them were overwhelming (50% or more) meanwhile that of the microbial agent on them was less than 20%. Also, $CaO_2$ influenced on the microbial flora: Desulfobvibrio thermophilus, a sulfate reducing bacterium decreased in number, considering the increase of pH and rise of redox potential. In contrast, Pseudomonas sp., Pseudoalteromonas sp., Pseudomonas aeruginosa were remarkably dominant over other species with mixed treatment as a PCA analysis confirmed it.

호기적 Trichloroethylene 공동대사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erobic Trichloroethylene Cometabolizing Bacterium)

  • 김호성;박근태;손홍주;박성훈;이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9-103
    • /
    • 2001
  • Several microorganisms which degrade phenol and trichloroethylene(TCE) were isolated from the activated sludge of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mong them, one isolate EL-04J showed the highest degradability and was identified as a Pseudomonas specie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ultur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The phenol-induced cells of Pseudomonas EL-04J, which were preincubated in the mineral salts medium containing phenol as a sole carbon source, degraded 90% of 25$\mu$M TCE within 20h. This strain could also utilize some of methylated phenol derivatives (o-cresol, m-cresol and p-cresol)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Cresol-induced cells of Pseudomonas EL-04J also cometabolized T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