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P2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1초

Sequence Characteristics of xylJQK Genes Responsible for Catechol Degradation in Benzoate-Catabolizing Pseudomonas sp. S-47

  • Park, Dong-Woo;Lee, Jun-Hun;Lee, Dong-Hun;Lee, Kyoung;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700-705
    • /
    • 2003
  • Pseudomonas sp. S-47 is capable of degrading benzoate and 4-chlorobenzoate as well as catechol and 4-chlorocatechol via the meta-cleavage pathway. The three enzymes of 2-oxopenta-4-enoate hydratase (OEH),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ylating) (ADA), and 2-oxo-4-hydroxypentonate aldolase (HOA) encoded by xylJQK genes are responsible for the three steps after the meta-cleavage of catechol.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xylJQK genes located in the chromosomal DNA was cloned and analyzed. GC content of xylJ, xylQ, and xylK was 65% and consisted of 786, 924, and 1,041 nucleotides, respectively.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xylJ, xylQ, and xylK genes from Pseudomonas sp. S-47 showed 93%, 99%, and 99% identity, compared with those of nahT, nahH, and nahI in Pseudomonas stutzeri An10. However, there were only about 53% to 85% identity with xylJQK of Pseudomonas putida mt-2, dmpEFG of P. putida CF600, aphEFG of Comamonas testosteroni TA441, and ipbEGF of P. putida RE204. On the other hand, the xylLTEGF genes located upstream of xylJQK in the strain S-47 showed high homology with those of TOL plasmid from Pseudomonas putida mt-2.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xylLTEGFIJQK of Pseudomonas sp. S-47 responsible for complete degradation of benzoate and then catechol via the meta-pathway were phylogenetically recombinated from the genes of Pseudomonas putida mt-2 and Pseudomonas stutzeri An10.

Characteristics of MCPA plasmid isolated from Pseudomonas sp.

  • Park, Young-Doo;Eum, Jin-Seong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91-1094
    • /
    • 2009
  • In order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powerful Pseudomoanas sp. KU171(pKU19) degrading MCPA, many physiological and genetic tests were accomplished. By the curing and transformation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genes of Pseudomonas sp.KU171(pKU19) for MCPA-degrading were located on a plasmid pKU19. Also the plasmid had degradative gens for 2,A-D, 3CB, and DCP. Molecular size of pKU19 was measured to be 31.2Kb.

  • PDF

Pseudomonas sp. CL-1 및 Kluyvera sp. CL-2 균주의 인산가용화 특성 (Phosphate Solubilizing Activity of Pseudomonas sp. CL-1 and Kluyvera sp. CL-2)

  • 권장식;서장선;원항연;김완규;노형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42-446
    • /
    • 2007
  • 토양에 고정되어 축적된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하는 유용세균을 선발하여 생물비료로 이용하고자 고추, 토마토, 상추, 오이, 목초, 잔디의 근권토양 및 뿌리표면에서 인산가용화능이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선발된 인산가용화균은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특성 등에 의해 동정되었으며, 난용성인산 가용화기능이 우수한 세균 Pseudomonas sp. CL-1 및 Kluyvera sp. CL-2균주를 선발하였다. Pseudomonas sp. CL-1균주는 esculin과 gelatin, casein을 가수분해하였고, 그리고 glucose, arabinose, mannose, mannitol, N-acetyl-glucosamine, gluconate, caprate, adipate, malate, citrate 등을 이용하였다. Kluyvera sp. CL-2 균주는 esculin과 CM-cellulose를 가수분해 하였고 acetoin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glucose, arabinose, mannose, mannitol, N-acetyl-glucosamine, maltose, gluconate, malate, citrate 등을 이용하였다. Pikovskaya's medium에서 선발균주의 난용성인산 $Ca_3(PO_4)_2$의 인 가용화량을 정량한 결과 Pseudomonas sp. CL-1과 Kluyvera sp. CL-2 균주는 접종후 1일, 3일에 각각 148.0, $193.4(P\;mg\;L^{-1})$와 482.8 mg, 493.6 mg의 인 가용화량을 나타내었다

생물방제균 Pseudomonas sp. 3098이 생산하는 Chiti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inase from Antagonistic Bacteria Pseudomonas sp. 3098.)

  • 이종태;김동환;도재호;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15-522
    • /
    • 1998
  • 길항미생물로 분리.동정된 Pseudomonas sp. 3098이 생산하는 chitinase를 황산암모늄 침전,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Bio-Gel P-100에 의한 겔여과, 1차 및 2차 hydroxyapatite column chromatography 과정을 거쳐 회수율 5.8%,정제도 15.7배의 정제효소를 얻었고, 효소의 순도는 SDS-PAGE로 확인하였으며, 분자량은 45kDa으로 추정되었다. 정제된 chitinase의 최적 온도와 pH는 45$^{\circ}C$와 5.0이었고, 정제효소는 pH 5.0~9.0 사이에서 안정하였고, 5$0^{\circ}C$, 3시간 및 6$0^{\circ}C$, 30분까지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금속염 및 화학물질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Fe$^{2+}$, Ag$^{1+}$ 및 단백질변성제인 Hg$^{2+}$ 이온에 의해 효소활성이 크게 저해되었고, p-CMB, iodoacetic acid, urea, 2,4-DNP 및 EDTA에 의해 효소활성이 약간 저해되었다. 기질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colloidal chitin 및 shrimp shell 유래의 chitin은 분해가능하였으나 crab shell 유래의 chitin, chitosan등은 분해하지 못하였다. Colloidal chitin에 대한 본 효소의 Km값은 0.11%였고, 분해율은 24시간 반응시 34%였다.

  • PDF

Keratinolytic protease 생산균, Pseudomonas sp. KP-364의 분리 및 배양 (Isolation of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ing Microorganism and Its Cultivation Condition)

  • 전동호;권태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34-141
    • /
    • 2001
  • 경기도 일대의 가금류 공장부근 토양로부터 단백질 분해활성이 높은 균주를 분리한 후 이것들 가운데 Keratinolytic protease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는 KP-364를 선별하여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선별된 KP-364 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종합한 결과 Pseudomonas sp 로 동정되었으며 편의상 Pseudomonas sp. KP-364로 명명하였다.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Keratin 0.1% glucose 2.0% soybeam meal 0.5% NaNO3 0.5% KCI 0.2%이었고 초기 pH 6.5 배양온도 $37^{\circ}C$, 48시간진탕 배양할때 효소생산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때의 효소의 역가는 1,270 U/ml/hr이었다.

  • PDF

유류 오염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디젤 분해 세균 Pseudomonas sp. GENECO 1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esel Oil 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GENECO 1 Isolated from Oil Contaminated Soil)

  • 이종광;김무훈;박형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2-107
    • /
    • 2003
  • 유류오염 토양으로부터 디젤에 대한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순수분리하였고, 이들 분리 균주의 액체 배양을통하여 균체 생육과 유화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165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분류 되었으며, Pseudomonas sp. GENECO 1으로 명명하였다. Bioscreen C를 이용하여 디젤 분해를 위한 배양 조건을 조사한 결과 최적 배양온도는 $30^{\circ}C$, 초기 pH는 7.0로 나타났다.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배양 시간별 잔류 디젤 성분분석 결과 96시간 이내에 1.0%의 디젤을 95%이상 분해하였다.

Pseudomonas sp. S-47로부터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는 xylG 유전자의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xylC Gene Encoding 5C-2HMS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sp. S-47.)

  • 박송이;이동훈;김영수;이경;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4
    • /
    • 2002
  • Pseudomonas sp. S-47은 xylXYZLTE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효소군에 의하여 4CBA를 분해하여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5C-2HMS)를 생성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5C-2HMS의 다음 분해과정을 확인하였다. xylXYZLTE 유전자와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5C-2HMSD)를 암호화하고 xylG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균주인 pCSS202로부터, xylG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ENV5를 만들었다. 이 플라스미드는 2-hydroxymuconic semialdehyde, 3-chloro-muconate, 2-hydroxy-6-oxohepta-2,4-dienoate, 2-hydroxy-5-methylmuconic semialdehyde와 같은 aromatic compound 에서 분해능을 나타냈으며, 그 중 5C-2HMS에서 가장 높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5C-2HMSD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xylC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약 1,600 bp의 염기와 486개의 amino acid residue를 갖고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 sp. S-47의 xylG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P. putida CF600, P. putida G7과 P. putida mt-2 등의 5C-2HMS dehydro-genase와 85% 이상의 amino acid homology를 보여주었다.

Isolation of pseudomonas sp. S-47 and its degradation of 4-chlorobenzoic acid

  • Seo, Dong-In;Lim, Jai-Yun;Kim, Young-Chang;Min, Kyung-Hee;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88-192
    • /
    • 1997
  • The strain of S-47 degrading 4-chlorobenzoic acid (4CBA) was isolated from Ulsan chemical industrial complex by enrichment cultivation with 1 mM 4CBA. The strain was Gram-negative rod and grew optimally at 30.deg.C and pH 7 under aerobic condition, so that the organism was identified as a species of Pseudomonas. Pseudomonas sp. S-47 degraded 4-chlorobenzoic acid to produce a yellow-colored meta-cleavage product, which was confirmed to be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 (5C-2HMS) by UV-visible spectrophotometry. 5C-3HMS was proved trometry. This means that Pseudomonas sp. S-47 degraded 4CBA via 4-chlorocatechol to 5C-2HMS by meta-cleavage reaction and then to 5C-2HMA by 5C-2HMS dehydrogenase.

  • PDF

Pseudomonas sp.의 균체외 Endo-Inulinase 특성 (Characteristics of Extracellular Endo-Inulinase Produced by Pseudomonas sp.)

  • 이태경;신현철;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84-488
    • /
    • 1988
  • 토양분리균 Pseudomonas sp.가 생산하는 inulinase를 분리.정제하여 얻은 단일 단백질 효소 PI과 PII는 탄수화물 함량이 각각 15%와 2.4%인 당 단백질 형태의 endo-inulinase로서 두 효소가 모두 촉매활성에 필수적인 tryptophan 잔기를 가지고 있었다. 분자량은 PI 210,000, PII 170,000으로 측정되었다. 1mM pCMB 존재에 의해 두 효소가 약80% 정도의 활성저해를 보였으나 5mM cysteine 또는 1mM dithiothreitol을 첨가하면 효소활성이 거의 완전 회복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최종 가수분해산물인 fructose(1mM)에 의해 PI, PII 효소가 각각 15% 정도의 활성저해를 받는 반면 Co$^{+2}$ 이온은 50~60%의 높은 활성화 효과를 보였다. 두 효소는 pH 4.0~7.5사이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열에 대하여서도 비교적 안정하여 6$0^{\circ}C$, 120분 가열에 의해 PI이 약 27%, PII가 약 40%의 실활을 나타낼 뿐이다. 또한 60units의 효소를 사용, 2% inulin을 5$0^{\circ}C$에서 72시간 가수분해 시켰을 때 PI약 70%, PII약56%의 기질 분해율을 보였다.

  • PDF

Pseudomonas sp. strain #A1에서 C-P 화합물 분해 유전자의 Cloning (Cloning of C-P Compound Biodegrading Genes in Pseudomonas sp. strain #A1)

  • 이기성;조홍범;김수기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5-73
    • /
    • 1999
  • C-P 화합물(Pn; phosphonate)의 일종인 glyphosate(GPS)를 인산원으로 이용하는 Pseudomonas sp. strain #A1으로부터 GPS 분해 유전자 및 2-aminoethylphosphonate(AEPn), methyl-phosphonate(MPn)와 같은 Pn의 분해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Mini-Mu plasmid를 이용한 in vivo molecular cloning 결과 약 10-19 Kb의 $AEPn^+$ clones, 10 Kb의 $MPn^+$ clones, 12-18 Kb의 $GPS^+$ clone들을 얻었으며 E. coli의 $\Delta phn$ mutants에 transformation 하였을 때 각각의 Pn에 대한 다양한 phenotype을 나타냈다. 따라서 Pseudomonas sp. strain #A1에서는 적어도 3종류의 Pn 분해대사 경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phn clone($AEPn^+$, $MPn^+$, $GPS^+$)들은 PHO regulon의 조절유전자 phoBR에 의존하여 발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