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olanacearu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8초

비병원성 Bacteriocin 생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 세균성마름병 방제 (Protection of Tobacco Plants from Bacterial Wilt with Avirulent Bacteriocin-Producing Strains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2-47
    • /
    • 1991
  • Control effect of an avirulent bacterlocin-producing strain(ABPS) Y6l-1 of Pseudomonas solanacearum on bacterial wilt was 58.8 % when the bacterial suspension had poured onto the rhizosphere soil of tobacco cultivar NC82 on one day before transplanting to the field and of hilling time. Until eight weeks after inoculation, survival of the strain on rhizoplane and in stem of the plants inoculated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four strains tested. It suggested that survival of the ABPS in and on the plants should be supported for the sufficient protection.

  • PDF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 세균성마름병의 방제 (Protection of Tobacco Plants from Bacterial Wilt with an Avirulent Isolate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김정화;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1
    • /
    • 1985
  •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세균성마름병의 방제가능성이 검토되었다. Nutrient 액체배지 및 토양에서 비병원성균주는 병원성균주보다 생육속도가 빨랐으나 두 균주를 혼합하여 배양할 때 병원성균주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는 크지 않았다. 비병원성균주의 현탁액에 감수성 담배품종인 BY4의 뿌리를 6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병원성균주에 오염된 토양으로 이식한 결과, 높은 세균성마름병 방제효과를 얻었다. 비병원성균주의 현탁액을 가식상태의 담배에 토양관주하고 24시간 후에 포장으로 이식한 결과 7월 상순까지는 $30\%$이상의 세균성마름병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나 그 후 방제효과가 급속히 감소되었다.

  • PDF

우리나라 담배 세균성마름병균(입고병균 : Pseudomonas solanacearum)의 Race와 Biochemical Type (Classification of Pseudomonas solanacearum isolates from tobacco plants in Korea)

  • 이영근;김정화;강서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3-127
    • /
    • 1982
  • [ $1980\~1981$ ]년 사이에 전국의 14개 주요 담배 재배지역으로부터 채집, 분리한 담배 세균성마름병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가지, 토마토, 고추, 감자 및 담배에 대한 병원성반응을 조사한 결과, race 1 및 race 2에 속하였으며 또한 이 균주들의 생리적 특성 15종을 조사한 결과 biochemical type 1과 4로 판명되었다.

  • PDF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 접종에 의한 담배내 항균물질생성과 Peroxidase 및 Polyphenoloxidase의 변화 (Produc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 and Changes in Peroxidase nd Polyphenoloxidase Activities in Tobacco Plants Inoculated with Avirulent Isolate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민태기;박원모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3-209
    • /
    • 1987
  • Pseudomonas solanacearum의 병원성균주 및 비병원성균주를 담배의 뿌리에 접종하여 그 잎과 줄기, 뿌리에서 P. solanacearum과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담배즙액을 TLC plate에 발전시킨 결과 비병원성균주에 접종된 담배에서는 $R_f$ 0.6 부근에서, 병운성균주에 접종된 담배에서는 $R_f$ 0.9 부근에서 각각 항균물질을 분리할 수 있았다. 그러나 고압살균된 담배즙액배지에 병원성균주 및 비병원성균주를 3일간 배양한 배양여액에서는 항균물질의 생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비병원성균주 및 병원성균주에 접종된 담배잎에서는 무처리 담배에 비하여 peroxidase와 polyph-enoloxidase의 활성이 높았으나, 그 줄기와 뿌리에서는 효소활성의 차이가 없었다. 비병원성균주와 병원성균주로 처리된 담배 사이, 감수성품종인 BY4와 저항성품종 NC82 사이에도 두 효소의 활성과 동위효소형태의 차이가 없었다.

  • PDF

비병원성균주 전처리에 의한 담배세균성마름병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식물체내 침입 및 증식억제 (Inhibition Effect of Avirulent Pseudomonas solanacearum on the Multiplication of Virulent Isolate in Tobacco Plant)

  • 이영근;김정화;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4-120
    • /
    • 1986
  • BY4품종의 담배를 포장에 이식하면서 이식 하루전과 40일 후에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의 현탁액을 담배근권토양에 관주한 결과 7월 상순까지 세균성마름병 발생 속도가 지연되었으나 그 후에는 방제효과가 급속히 감소되었다. 그 결과 잎담배의 $35\%$ 증수 및 kg당 대금으로 $10\%$의 품질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병원성균주처리에 의한 근권상양내 병원균의 밀도증가억제는 인정되지 않았다. $^{32}P$로 표식된 비병원성균주의 담배뿌리를 통한 침입 및 식물체내 이동이 확인되었으며 비병원성균주에 전접종된 담배에 대하여 병원성균주의 침입 및 식물체내 증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병원성균주의 식물체내 침입 및 증식억제 현상이 병진전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Pseudomonas putida P84 균주를 이용한 토마토 풋마름병의 억제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in Tomato Plant Using Pseudomonas putida P84)

  • 서상태;박종한;김경희;이상현;오은성;신상철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32-36
    • /
    • 2008
  •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은 토마토, 감자 등의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으나, 효과적인 방제법이 없는 실정이다. 일반 병원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Pseudomonas속의 세균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각종 작물의 재배지 토양에서 형광성 세균을 분리하여 Pseudomonas속 특이적 PCR과 항생물질(2,4-diacetylphloroglucinol) 생산 관련 유전자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분리된 150개의 Pseudomonas속 세균 중 항생물질 관련 유전자가 검출된 균은 2균주뿐이였으며, 그중 토마토 근권토양으로 분리된 P. putida P84 세균이 각종 식물 병원 세균에 대해 가장 높은 실내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P84 균주의 탄소원별 증식효과는 glucose 첨가시에 가장 좋았으며, arabionse, inositol, melibiose 첨가시에도 우수한 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P84세균을 이용한 토마토 풋마름병의 포트실험 결과에서는 6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풋마름병균의 생리적 성상에 관한 시험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Wilt Pathogen, Pseudomonas solanacearum E.F. Smith)

  • 최용철;조의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
    • /
    • 1972
  •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의 병원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가지과작물인 도마도(7), 가지(3), 고추(6),에서 분리한 16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에 따른 분해에서는 Glactose는 16균주가 전부 이용하였으나 Saccharose, Lactose, Starch는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이외의 탄소원에서는 균주에 따라 이용 반응이 각기 틀렸다. 3. 균주에 의한 탄소원의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Saccharose, Raffinose, Starch는 산성을 나타냈으나 Galactose, Salicin, Lactose, Dextrin, Mannitol, Esculin은 알카리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4. 생리적성질에서는 Gelatin 반응에서 균주에 따라 용해정도의 차가 나타났으며, methylene blue에서는 환원균주토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이외의 반응에서는 같은 성질을 보여주었다.

  • PDF

담배 Callus 및 삽수에 대한 세균성마름병균 (Pseudomonas solanacearum) 배양여액의 처리효과 (EFFECTS OF THE CULTURE FILTRATE OF PSEUDOMONAS SOLANACEARUM ON THE CALLUS AND CUTTING OF TOBACCO PLANT)

  • 이영근;이재열;김정화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6
    • /
    • 1985
  • The typical dark brown stripe symptom of bacterial wilt disease was observed in the cuttings of tobacco stem treated with the culture filtrate of virulent Pseudomonas solanaceamm. And the tobacco callus create.4 with that culture filtrate showed deterioration of the callus 2 days after the treatment. On the contrary, the cuttings and the callus treated with the culture filtrate of the avirulent bacteria expressed no typical symptom and vigorous growth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certain toxin which might be produced by the virulent bacteria could break down tobacco cells.

  • PDF

PCR-based Specific Detection of Ralstonia solanacearum by Amplification of Cytochrome c1 Signal Peptide Sequences

  • Kang, Man-Jung;Lee, Mi-Hee;Shim, Jae-Kyung;Seo, Sang-Tae;Shrestha, Rosemary;Cho, Min-Seok;Hahn, Jang-Ho;Park, Dong-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1호
    • /
    • pp.1765-1771
    • /
    • 2007
  •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method was developed to detect the DNA of Ralstonia solanacearum,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wilt in various crop plants. One pair of primers (RALSF and RALSR), designed using cytochrome c1 signal peptide sequences specific to R. solanacearum, produced a PCR product of 932 bp from 13 isolates of R. solanacearum from several countries. The primer specificity was then tested using DNA from 21 isolates of Ralstonia, Pseudomonas, Burkholderia, Xanthomonas, and Fusarium oxysporum f. sp. dianthi. The specificity of the cytochrome c1 signal peptide sequences in R. solanacearum was further confirmed by a DNA-dot blot analysis. Moreover, the primer pair was able to detect the pathogen in artificially inoculated soil and tomato plants.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primer pair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detection of R. solanacearum in soil and host plants.

Meta-analysis Reveals That the Genus Pseudomonas Can Be a Better Choice of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Bacterial Wilt Disease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 Chandrasekaran, Murugesan;Subramanian, Dharaneedharan;Yoon, Ee;Kwon, Taehoon;Chun, Se-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16-227
    • /
    • 2016
  • Biological control agents (BCAs) from different microbial taxa are increasingly used to control bacterial wilt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However, a quantitative research synthesis has not been conducted on the role of BCAs in disease suppress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meta-analyze the impacts of BCAs on both Ralstonia wilt disease suppression and plant (host) growth promo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tent of disease suppression by BCAs varied widely among studies, with effect size (log response ratio) ranging from -2.84 to 2.13. The disease incidence and sever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average by 53.7% and 49.3%, respectively. BCAs inoculatio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 by 34.4% and 36.1%, respectively on average. Also, BCAs inoc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yield by 66%. Mean effect sizes for genus Pseudomonas sp. as BCAs were higher than for genus Bacillus spp. Among antagonists tested, P. fluorescens, P. putida, B. cereus, B. subtilis and B. amyloliquefacien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general for disease reduction. Across studies, highest disease control was found for P. fluorescens, annual plants, co-inoculation with more than one BCA, soil drench and greenhouse condition were found to be essential in understanding plant responses to R. solanacearum. Our results suggest that more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harnessing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hese antagonists, not just for plant growth promoting traits but also in mode of applications, BCAs formulations and their field stud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for R. solanacearum wilt disease sup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