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seudomonas putida

Search Result 29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seudomonas putida 에서 분리된 starvation promoter를 이용한 vector의 개발 및 응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starvation promoter vector system derived from Pseudomonas putida)

  • 김영준;김대선;정재춘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3호
    • /
    • pp.67-7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토양미생물의 일종인 Pseudomonas putida 에서 추출한 탄소고갈 유전자로부터 starvation promoter를 분리한 후 starvation vector를 개발하여 이를 미생물로부터 유용물질의 생산 및 오염물질의 정화등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Starvation 유전자란 영양분의 결핍시에만 특수하게 발현되는 유전자의 일종으로 본 유전자로부터 promoter를 분리한 후 특정 물질을 분해 또는 생성하는 유전자를 분리된 promoter에 유전자 재조합 방법에 의하여 연결시키면 영양분의 공급을 최소화하고 세균의 생장을 억제 시키는 동시에 promoter에 연결된 유전자의 발현 기능은 최대화 시킴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기 분리된 starvation gene으로부터 promoter를 분리한 후 이를 적절한 벡터에 연결시켜 starvation vector인 pYKS101을 완성하였다. 본 벡터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reporter gene으로 lacZ유전자를 벡터내에 클로닝하여 세균의 염색체에 삽입시킨후 그 성능을 조사하였다. 삽입된 유전자는 예상한 바와같이 세균이 영양분이 결핍되었을 때 충분한 영양분이 공급되었을 때보다 약 4배의 활성도를 나타냄으로써 본 벡터의 유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a Growth-Arrested Pseudomonas putida

  • Hahm, Dae-H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1호
    • /
    • pp.11-14
    • /
    • 1998
  • A toluene-oxidizing strain of Pseudomanas mendocina KR1 containing toluene-4-mono-oxygenase (TMO) completely degrades TCE with the addition of toluene as a co-substrate in aerobic condition. In order to construct in situ bioremediation system for TCE degradation without any growth-stimulating nutrients or toxic inducer such as toluene, we used the carbon-starvation promoter of Pseudomonas putida MK1 (Kim, Y. et al., J. bacteriol., 1995). Upon entry into the stationary phase due to the deprivation of nutrients, this promoter is strongly induced without further cell growth. The TMO gene cluster (4.5 kb) was spliced downstream of the carbon starvation promoter of Pseudomonas putida MK1, already cloned in pUC19. TMO under the carbon starvation promoter was not expressed in E. coli cells either in stationary phase or exponential phase. For TMO expression in Pseudomonas strains, tmo and carbon starvation promoter region were recloned into a modified broad-host range vector pMMB67HES which was made from pMMB67HE(8.9 kb) by deletion of tac promoter and lacIq (about 1.5 kb). Indigo was produced by TMO under the carbon starvation promoter in a Pseudomonas strain of post-exponential phase on M9 (0.2% glucose and 1mM indole) or LB. 18% of TCE was degraded in 14 hours after entering the stationary phase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6.6 ${\mu}$M in liquid phase.

  • PDF

Pseudomonas putida 21025가 생성하는 bacteriocin을 이용한 항균성 미강 단백질 필름의 저장성 향상 (Improvement in Storabilities of Rice Bran Protein Film Containing Bacteriocin Produced by Pseudomonas putida 21025)

  • 김은정;김경미;배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11-416
    • /
    • 2003
  • 쌀에 존재하며 토양미생물인 Pseudomonas putida 21025를 미강에 배양하여 생성되는 bacteriocin을 미강 필름에 첨가하여 미강필름의 저상성향상을 조사하였다. Pseudomonas putida 21025를 접종한 미강 액체배지는 초기배지 pH 6.48로 자연그대로의 미강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항온 배양기에 3$0^{\circ}C$, 150 rpm으로 33시간 배양하여 bacteriocin을 생성하였다. bacteriocin 첨가 후, 필름 가공시에는 bacteriocin의 생산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pH 9.4로 조절한 후 한 시간 이내 교반, 8$0^{\circ}C$로 가열 후 2분간 유지의 총시간을 20분 이내로 하여 미강 단백질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미강 단백질 필름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을 조사한 결과 20% bacteriocin을 첨가한 미강 단백질 필름이 첨가하지 않은 단백질 필름 보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bacteriocin이 미강 단백질 필름 코팅재의 저장기간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카페인 분해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ffeine Degrading Bacteria)

  • 류병호;주신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0
    • /
    • 1992
  • Caffeine을 기질로 이용할 수 있는 균을 토양과 폐수에서 7종을 분리하고 그중 카페인 분해능이 가장 좋은 KS-5를 동정하여 Pseudomonas putida KS-5라고 명명하였다. P. putida KS-5의 생장 최적조건은 온도 $30^{\circ}C$, pH 7.0이었고 카페인 농도는 1.0%였다. P. putida KS-5는 plasmid DNA가 존재하였으며, 카페인 분해유전자가 plasmid에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들 분해유전자의 유전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curing test와 transformation에 필요한 marker를 찾아본 결과 각종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이 있었다.

  • PDF

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지하수 제거공정의 미생물 다양성 및 분리균주 Pseudomonas sp. DHC8의 특성 (Microbial Diversity of the Trichloroethylene Contaminated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DHC8)

  • 남지현;신지혜;권기욱;배우근;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6-342
    • /
    • 2013
  •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richloroethylene (TCE)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일으키며, 암 유발물질로 환경에서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이용한 TCE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 시스템의 세균 군집구조를 조사하고, 우점종을 분리 및 동정하고 TCE 제거특성을 확인하였다. TCE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공정의 세균군집을 16S rRNA 유전자 라이브러리의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주요 개체군은 BTEX 분해세균으로 알려진 Pseudomonas 속이었으며 Pseudomonas putida 그룹이 가장 우점하였다. Pseudomonas putida 그룹의 우점은 높은 toluene과 TCE의 농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TCE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미생물 반응기에서 toluene과 TCE 분해 세균을 분리 배양하였으며 Pseudomonas sp. DHC8로 명명하였다. 형태학적 특징, 생리 생화학적 특징,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결과 DHC8 균주는 P. putida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DHC8을 이용하여 TCE (0.83 mg/L)와 toluene (60.61 mg/L)에 대해 분해실험을 실시하였을 때 12.5시간 동안 TCE는 72.3%, toluene은 100.0% 제거되었다. 또한, TCE와 toluene의 제거속도는 각각 0.02 ${\mu}mol/g$-DCW/h와 2.89 ${\mu}mol/g$-DCW/h였다. 본 연구 결과는 TCE의 생물정화를 위한 반응기의 최대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Evidence of Indigenous NAB Plasmid of Naphthalene Degrading Pseudomonas putida PpG7 Strain Implicated in Limonin Degradation

  • Ghosh, Moushumi;Ganguli, Abhijit;Mallik, Meenaksh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5호
    • /
    • pp.473-479
    • /
    • 2006
  • A well characterized naphthalene-degrading strain, Pseudomonas putida PpG7 was observed to utilize limonin, a highly-oxygenated triterpenoid compound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Limonin concentrations evidenced a 64% reduction over 48 h of growth in batch cultures. Attempts were made to acquire a plasmid-less derivative via various methods (viz. Ethidium Bromide, SDS, elevated temperature & mitomycin C), among which the method involving mitomycin C ($20{\mu}g/ml$) proved successful. Concomitant with the loss of plasmid in P. putida PpG7 strain, the cured derivative was identified as a $lim^-$ phenotype. The $lim^+$ phenotype could be conjugally transferred to the cured deriv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curing with mitomycin C, conjugation studies and presence of ndo gene encoding naphthalene 1,2 dioxygenase, it was demonstrated that genes for the limonin utilization were encoded on an 83 kb indigenous transmissible Inc. P9 NAH plasmid in Pseudomonas putida PpG7 strain.

In Situ Monitoring of Biofilm Formations of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by Use of Lux and GFP Reporters

  • Khang, Youn-Ho;Rober S. Burlage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1호
    • /
    • pp.6-10
    • /
    • 1998
  • A plasmid vector containing two reporter genes, mer-lux and lac-GFP, was transformed to both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putida. Their cellular activities and biofilm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flow-cell units by measuring bioluminescent lights and fluorescent levels of GFP. Bioluminescence was effective to monitor temporal cell activities, whereas fluorescent level of GFP was useful to indicate the overall cell activities during biofilm development. The light production rates of E. coli and P. putida cultures were dependent upon concentrations of HgCl2. Mercury molecules entrapped in P. putida biofilms were hardly washed out in comparison with those in E. coli biofilms, indicating that P. putida biofilms may have higher affinity to mercury molecules than E. coli biofilms. It was observed that P. putida expressed GFP cDNA in biofilms but not in liquid cultures. This may indicate that the genetic mechanisms of P. putida were favorably altered in biofilm conditions to make a foreign gene expression possible.

  • PDF

Pseudomonas putida에 내재하는 Plasmid pKU10의 제한지도 (Restriction Map of the R Plasmid pKU10 in Pseudomonas putida)

  • 전성희;임영복;심웅섭;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6-229
    • /
    • 1991
  • In our laboratory a R plasmid pKU10 was isolated from Pseudomona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a basic work to improve its utility as a cloning vehicle, restriction patterns of pKU10 were analyzed for other various restriction enzymes in addition to restriction evdonucleases previously examined. As a result, pKU10 DNA has two cleavage sites for ClaI and HpaI, and three sites for AvaI. The restriction map of pKU10 was supplemented with AvaI, ClaI, and HpaI.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usefulness of PKU10 as a cloning vector in Pseudomonas will be enhanced by constructions of mini-plasmid or hybrid plasmids.

  • PDF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xyIL Gene Responsible for 4CBA-Dihydrodiol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sp. S-47

  • 박동우;이상만;가종옥;김지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5-275
    • /
    • 2002
  • Pseudomonas sp. S-47 is capable of catabolizing 4-chlorobenzoate (4CBA) as carbon and energy sources under aerobic conditions via the mesa-cleavage pathway. 4CBA-dioxygenase and 4CBA-dihydrodiol dehydrogenase (4CBA-DD) catalyzed the degradation af 4CBA to produce 4-chlorocatechol in the pathway. In this study, the xylL gene encoding 4CBA-DD was cloned from the chromosomal DNA of Pseudomonas sp. S-47 and its nucleotide sequence was analyzed. The xylL gene was found to be composed of 777 nucleotide pairs and to encode a polypeptide of 28 kDa with 258 amino acid residu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dehydrogenase (XylL) from strain S-47 exhibited 98% and 60% homologies with these of the corresponding enzymes, Pseudomonas putida mt-2 (XyIL) an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enD), respectively. However, the amino arid sequences show 30% or less homology with those of Pseudomonas putida (BnzE), Pseudomonas putida Fl (TodD), Pseudomonas pseudoalcaligenes KF707 (BphB), and Pseudomonas sp. C18 (NahB). Therefore, the 4CBA-dihydrodiol dehdrogenase of strain S-47 belongs to the group I dehydrogenase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mono-aryls with a carboxyl group.

Pseudomonas cepacia의 전달성 TOL plasmid의 특성과 불화합성 (Characterization and Incompatibility of Transmissible TOL Plasmid from Pseudomonas cepacia)

  • 조병남;조인선;최순영;유재근;민경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4-341
    • /
    • 1989
  • Toluate 분해 플라스미드를 pseudomonase cepacia SUB37에서 분리하여 분자량은 한천 젤 전기영동으로 측정한 결과 79. (119kb)로 확인되었다. 이 TOL플라스미드는 Pseudomonas의 다른 균주와 다른 속의 균주에 전달되었다. m-toluate 분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techol-2,3-oxygenase 활성을 P. cepacia SUB37과 transconjugant의 조효소액으로부터 측정한 결과, P. putida mt 2에서와 같이, meta pathway를 거쳐 m-toluate를 분해하는 유전자들이 plasmid에 암호화됨을 알수 있었다. P. cepacia SUB37 유래의 새로운 TOL plasmid는 IncP-4 불화합성군에 속하였고, 이것은 아마도 P. putida의 IncP-9 그룹의 TOL 플라스미드의 유도체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