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윤미향;조지은;김다미;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40-1345
    • /
    • 2010
  • 기능성 소재로서의 버찌 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버찌 분말을 0, 1, 3 및 5%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 및 식빵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무게는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 비용적, 굽기 손실률은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팽창력 또한 버찌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빵의 색도 측정 결과는 L(lightness)값과 b(yellowness)값에서 crust와 crumb 모두 버찌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redness)값은 crust, crumb 모두 버찌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버찌 분말 첨가 식빵의 견고성, 씹힘성은 버찌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집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버찌 분말 첨가는 색, 냄새,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5% 이상의 너무 많은 버찌 분말 첨가는 관능적인 기호도를 오히려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버찌 분말 3%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식빵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 분말 첨가량은 3% 첨가군이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된다.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른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from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with Various Doses of Gamma Radiation)

  • 김경희;조지은;이성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78-1383
    • /
    • 2011
  • 본 연구는 폐자원으로 버려지는 버찌의 활용 증대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버찌의 에탄올 추출물에 0~20 kGy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따른 항산화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결과, 10 kGy 조사구에서 30.35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감마선 조사에 따른 일정한 증가나 감소의 경향은 나타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10 kGy 조사구에서 327.52 ppm으로 가장 낮은 $IC_{50}$값을 나타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체적으로 비조사구보다는 조사구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 측정 결과, 2.5 mg/mL 이하 농도에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20 kGy 조사구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4.2 이하의 pH에서 조사구 및 비조사구 모두 73~94% 이내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 pH 의존적인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으나 조사에 따른 활성 증가는 나타내지 않았다. FRAP value를 측정결과 3 kGy 조사구에서 0.38 mM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버찌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감마선 조사는 일부 선량에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가를 나타내며, 사용목적에 따른 적정 선량의 감마선 조사는 생리활성물질의 증가를 유도하여 산업적인 면에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김경희;이경화;김성환;김나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0-115
    • /
    • 2010
  • 버찌분말을 첨가한 젤리(0, 1, 3, 5, 7, 10%)를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기계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젤리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당도는 버찌분말을 7% 이상 첨가할 경우 증가하는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젤리의 색도는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 및 황색도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버찌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젤리의 조직감은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씹힘성, 검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탄력성 및 응집성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젤리의 항산화 활성은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 냄새,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버찌분말 5% 및 1% 첨가군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젤리에 대한 버찌분말의 첨가는 젤리의 항산화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5% 첨가가 상품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during Storage)

  • 김경희;황혜림;조지은;이상영;김나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29-1236
    • /
    • 2009
  • 버찌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0.0, 0.5, 1.0, 2.0%)를 제조하여 $4^{\circ}C$에 저장하면서 14일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요구르트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대조구 및 버찌분말 첨가구모두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대조구에 비해 버찌분말 첨가 요구르트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 및 버찌분말 첨가구 모두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산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pH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요구르트의 당도는 높아졌으며, 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요구르트의 색도는 버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은 버찌분말의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버찌분말 요구르트의 유산균수는 대체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버찌분말 첨가 요구르트에서 높게 측정되었고 저장기간 동안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를 제외하고 냄새, 점성,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1.0%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요구르트에 대한 버찌분말의 첨가는 저장동안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했을 경우 1.0% 첨가가 최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초콜릿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ocolate Containing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윤미향;김경희;황혜림;조지은;김미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600-1605
    • /
    • 2009
  • 버찌를 이용한 가공식품개발을 위해 버찌분말을 첨가(0, 3, 6, 9%)한 다크 및 화이트 초콜릿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초콜릿의 수분함량은 버찌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반대로 pH값은 버찌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콜릿의 색도는 화이트 초콜릿의 b(yellowness)값을 제외하고는 L(lightness), a(redness), b값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콜릿의 경도는 버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총 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버찌분말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콜릿의 관능적 특성은 색, 냄새, 맛, 딱딱함, 달콤함,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버찌분말 3%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좋아 버찌 초콜릿의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림유역내(山林流域內) 강수(降水)로부터 계류수질(溪流水質)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 pH, 용존산소(溶存酸素),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 -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from Rainfall to Stream Water Quality in Small Forested Watershed - pH, dissolved oxygen, electrical conductivity -)

  • 박재현;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89-501
    • /
    • 1997
  • 이 연구(硏究)는 계류수(溪流水)에서 수질평가항목(水質評價項目)의 설정시(設定時) 중요한 인자(因子)인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溶存酸素),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구명(究明)함으로써 계류수질평가기준(溪流水質評價基準)을 정립(定立)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附屬) 관악수목원(冠岳樹木園) 산림소유역내 3개 조사구(서어나무림, 벚나무림,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수행하였다. 1996년 7월 1일부터 1997년 8월 31일까지 강수(降水),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질(溪流水質)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강우평균(降雨平均) pH는 6.06(5.02~6.60)이었으며, pH 5.6 미만의 산성우(酸性雨) 출현빈도(出現頻度)는 약 16.7%로 pH 5.02가 가장 낮았다. 강수(降水)로부터 임내우(林內雨)를 통해 산림토양(山林土壤)에 도달한 물이 계류수(溪流水)에 도달될 때까지 평균(平均) pH의 크기는 계류수(溪流水)>토양수(土壤水) [벚나무림(B층>A층)] > 벚나무림 임내우(林內雨)>토양수(土壤水) [서어나무림(B층>A층)]>서어나무림 임내우(林內雨)>강수(降水)>토양수(土壤水) [리기다소나무림(B층>A층)]>리기다소나무림 임내우(林內雨)의 관계를 나타내어 리기다소나무림은 강수 pH를 낮게 하였고, 서어나무림과 벚나무림은 이와 반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수(降水)와 수종(樹種)에 따른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에서 평균(平均) 용존산소농도(溶存酸素濃度)의 크기는 계류수(溪流水)>임내우(林內雨)(서어나무림>벚나무림>리기다소나무림)>강수(降水)>토양수(土壤水)(벚나무림 A층>리기다소나무림 A층>서어나무림 A층>벚나우림 B층>리기다소나무림 B층>서어나무림 B층)의 관계이었다. 강수(降水),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에서 평균전기전도도(平均電氣傳導度)의 크기는 토양수(土壤水)(B층>A층)>임내우(林內雨)(리기다소나무림>벚나무림>서어나무림)>계류수(溪流水)>강수(降水)의 관계이었다. 즉, 강수(降水), 임내우(林內雨), 토양수(土壤水), 계류수(溪流水)에서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의 설명(說明)에 유의(有意)한 영향을 마치는 인자(因子)는 $Mg^{2+}$, $Na^+$, 양이온총량, 이온총량, 그리고 선행무강우일수 등 5개 인자이었으며, 중상관계수(重相關係數)는 0.84로 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 PDF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 수목(樹木)흰가루병(病) 기주식물(寄主植物) 4종(種)에 대한 보고(報告) - 벚나무, 귀룽나무, 푼지나무, 물들메나무 흰가루병(病) - (Unrecorded Host Plants of Powdery Mildew in Korea -Powdery Mildew of Oriental Cherry, European Bird Cherry, Korean Bittersweet and Ash Tree-)

  • 이종규;김경희;이창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9
    • /
    • 1983
  • 1982년(年) 10월(月)부터 11월(月)까지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 흰가루병균(病菌)과 기주식물(寄主植物)을 찾기 위하여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 구내(構內) 수목원(樹木園)에서 흰가루병증상(病症狀)을 나타낸 수목(樹木)외 잎과 가지를 채취(採取)하여 병원균(病原菌)을 동정(同定)하였다. 이 중, 벚나무(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귀룡나무(Prunus padus), 푼지나무(Celastrus flagellaris), 물들메나무(Fraxinus ${\times}$ chiisanensis) 등(等) 4종(種) 수목(樹木)이 흰가루병(病) 기주식물(寄主植物)로 국내(國內)에서 처음 발견(發見)되었으며, 이들의 흰가루병균(病菌)은 Podosnaera tridactyla(DC.)DE BARY, Uncinula sengokui SALM., Uncinula fraxini MIYABE로 동정(同定)되었기에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 PDF

황칠처리재의 도막 물성 및 내구성 (Durability and Properties of Coating Film on Lumbers Coated with Hwangchil)

  • 조종수;김종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20
    • /
    • 2001
  • To investigate weathering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coating film on lumbers coated with Hwangchil(varnish of Dendropanax morbifera), w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istance against discoloration, value of crack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coating films on seven domestic lumbers and those of four introduced tropical lumbers. There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coating films by the varnish of Dendropanax morbifera. There was in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hardness and moisture contents of each lumber treated by the varnis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hickness of coating film and the hardness, either. Although we investigated 11 wood species, we found only three species as resistance wood species against discoloration; Diospysos spp., Abies holophylla and Ulmus davidiana. The crack of coaing films was the largest on Zelkova serrata followed by Juglans sinensis, Cercidiphum japonicum, Tectona grands, Ulmus davidiana, Guibourtia tessmannii, Diospysos spp. and Dalbergia latifolia. However, there was no crack of coating films on the lumbers of Juniperus rigid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Abies holophylla. The crack of coating fil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thickness of coating film and hardness.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films evaluated on the basis of $R_{a}$ values indicated the lumbers of Ulmus davidiana($0.14{\;}{\mu}m$), Juniperus rigida($0.1 5{\;}{\mu}m$), Guibourtia tessmannii($0.19{\;}{\mu}m$), Dalvergia latifolia($0.20{\;}{\mu}m$) and Diospysos spp.($0.20{\;}{\mu}m$), Cercidiphum japonicum($0.24{\;}{\mu}m$) as good species while there was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ftwoods and hardwoods. Tectona grands,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Abies holophylla showed rough surface with $1.53~2.63{\;}{\mu}m$ of $R_a$ values. The four kinds of rough indices($R_a,{\;}R_z,{\;}R_{max}{\;}and{\;}R_q$) showed very low correlations with moisture contents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_a{\;}and{\;}R_{max}$ also showed slight relationship with hardness.

  • PDF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단근 후 연고 처리에 따른 발근 비교 (Comparison of Fine Root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and Zelkova serrata after Root Cutting and Wound Dressing)

  • 박준형;김지연;권시균;김해랑;권준형;이하림;김다원;마지원;김판기;고상현;김기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2호
    • /
    • pp.269-2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뿌리 수술과 수목 이식 현장에서 단근 부위에 처리하는 뿌리연고에 대한 상처 반응 및 세근 발달을 3종의 수종에서 비교하였다.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경상북도 상주시에 식재된 소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성목에서 직경 2~4 cm에 해당하는 뿌리를 절단하고 상처 부위를 바셀린과 유기질 비료로 연고 처리하여 6개월이 경과한 후, 시료를 채취하여 세근 생장량을 조사하였다. 단근 후 세근 발달은 전반적으로 느티나무와 벚나무에서 우수하였지만 소나무에서는 저조하였다. 세근 생장량은 느티나무에서 단근과 유기질 비료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벚나무에서는 처리별로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단근과 상처 처리에 대한 세근 발달이 수종별로 상이하므로 단근 후 수종별로 처리방법의 세분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