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mume extrac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7초

장염비브리오 항균활성을 위한 탱자와 매실의 추출조건 최적화 (Extraction Process Optimization of Poncirus trifoliata and Prunus mume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 이영근;최영환;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0-646
    • /
    • 2006
  • 비브리오식중독의 피해를 저감시키는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에서 V. parahaemolyticus균에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진 탱자와 매실의 최적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열수로 추출한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 조건은 $80{\sim}100^{\circ}C$에서 30분간, 매실의 경우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추출한 시험액의 저지환이 각각 14.8 및 16.6 mm로써, 최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NaOH, $K_2CO_3$$NaHCO_3$의 알칼리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실험에서, NaOH를 첨가한 경우 탱자의 항균활성은 증진되지 않았으나 매실의 항균활성은 다소 증진되었으며, NaOH 이외 알칼리들은 공시 식물체들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NaOH의 첨가농도를 단계적으로 달리하고 80, 100 및 $120^{\circ}C$에서 추출한 결과, 탱자의 경우 앞서의 열수추출 결과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하고 $120^{\circ}C$ 에서 추출한 조건에서 저지환 직경 19.9 mm의 최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탱자와 매실을 주정으로 진탕추출하고 주정을 제거하여 주정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에 NaOH를 단계적으로 첨가하고 $100^{\circ}C$에서 30분간 물로 재추출한 결과, 주정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전반적으로 물추출한 결과보다 낮고 NaOH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의 감소를 나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추출조건은 $80{\sim}100^{\circ}C$의 열수로 30분간,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한 $120^{\circ}C$의 열수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매실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Prunus mune extract)

  • 하명희;박우포;이승철;최성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8-203
    • /
    • 2006
  • 매실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2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병원성 및 부폐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매실추출물의 항균물질은 넓은 범위의 온도$(40{\sim}120^{\circ}C)$$pH(3{\sim}11)$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매실추출물의 항균물질은 항균활성이 높고, 항균 spectrum이 광범위할 뿐아니라, 넓은 범위의 온도 및 pH에 안정하여 이상적인 천연 항균제로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매실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한 결과, 매실추출물에는 두 종류 이상의 항균물질이 존재하며 이 물질들의 상승작용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매실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친수성 성분임을 확인하였으며, 항균물질의 주요 작용기작은 세포막 perturbation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매실 당침출액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Prunus mume by Sugar)

  • 고명수;양종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59-764
    • /
    • 2009
  • 매실에 설탕을 가한 후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매실 침출액의 총고형분은 55.08%였고, pH는 3.1이었으며, 산도는 구연산으로서 1.52%였다. 이 매실 침출액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공시된 모든 균주 중에서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31.2 mm의 저해환을 보여 이 균에 대한 매실 침출액의 항균활성이 가장 강하였고, 다음으로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typhymurium의 순으로 활성이 강하였다. 매실 침출액은 공시된 모든 시험균주에 대해 생육저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0.25%에서 생육이 억제되어 생육저해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균에 대한 MIC도 1.0%로 가장 낮았다. Bacillus cereu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2%이상의 농도에서는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1.0%이하의 농도에서는 생육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나 매실 침출액 중의 미지의 성분이 이들의 주요 영양원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매실 침출액의 열 및 pH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65{\sim}125^{\circ}C$의 온도범위에서 열에 안정하였고, pH 7로의 중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김보은;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6-191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매화의 건조별, 품종별 일반성분은 생화를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82.5{\sim}84.2%$, 조섬유 $2.5{\sim}3.1%$, 조단백질 $2.6{\sim}3.1%$, 조지방 $0.67{\sim}0.84%$, 조회분 $0.22{\sim}0.60%$ 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1{\sim}11.2%$로 나타났으며, 동결 건조에서는 수분 16.4%, 음건 13.3%로 나타났다. 품종에 따른 일반성분은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 매화의 생화, 동결건조, 음건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생화를 제외한 동결건조와 음건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유리당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청축 생화 유기산 분석결과 citric acid, malic acid가 각각 0.82%, 0.41% 검출 되었고 품종별 함량은 청축>고성>백가하순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품종별 무기성분의 함량은 3품종 모두 K가 가장 높았으며 건조별 무기성분 함량을 보면 음건한 시료가 동결 건조된 시료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각각의 품종별로 palmit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건조별로는 지방산 함량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비타민 C 함량은 청축의 경우 생화 64.3 mg%, 동결건조 480.5 mg%, 음건 442.3 mg%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을 살펴보면 세 품종 모두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은 청축>백가하>고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 식재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raditional food Ingredient)

  • 이재혁;박정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09-314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10종의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세포 생존률은 MTS assay로, 항산화효과는 DPPH free radical 소거능,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생존률은 10종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 모두 0.5mg/mL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Cinnamomum cassia Blum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Arctium lappa, Total extract가 우수하였고,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은 Cinnamomum cassia Blume, Arctium lappa, Prunus mume Sieb. et Zucc., 우수하였으나, Total extract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전통식재료로 사용되는 약용식물 및 채소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물로 사용시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 이는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항산화 소재 개발 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oxidant Activity of a Methanolic Extract from Prunus mume Byproduct in Cooked Chicken Breast Meat

  • Jo, Seong-Chun;Nam, Ki-Chang;Min, Byoung-Rok;Ahn, Dong-Uk;Cho, Sung-Hwan;Park, Woo-Po;Lee, Seung-Cheo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11-315
    • /
    • 2005
  •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PM) from the fruit of Prunus mume after liquor manufacturing were determined in a chicken breast meat system. When PM was added to chicken breast meat, 2-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 at day 3 was decreased by about $25\%$ compared to control meat without PM. P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olor of chicken mea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amounts of volatile aldehydes and hydrocarbons were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PM. Hexanal was the predominant volatile compound in the control,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otal volatiles; PM reduced the amount of hexanal to $81\%$of that in the control meat at 3 days.

매실 식초 분말의 항산화 및 유방암 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ng Effects of Prunus mume Vinegar Powder on Breast Cancer Cells)

  • 박울림;김정호;허지안;원영선;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9-157
    • /
    • 2021
  • 매실은 주로 한국, 일본, 중국 같은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매실 나무의 열매는 한약재나 식재료로 쓰여왔다. 그러나 매실 열매를 이용한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추출물 형태로 진행하였기에, 많은 식품학적인 활용을 위해 매실 열매의 다양한 가공형태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선 분무 건조한 매실 식초 분말(SPP)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SPP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당도, pH, 총산도 및 수분 함량은 각각 8.90 °Brix, 3.19, 1.05% 및 3.07%로 확인되었다. SPP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H2O2 소거활성에서 각각 65.55%, 1.48 및 48.07%로 양성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게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SPP를 농도별로 처리함에 따라 MDA-MB-231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유의적인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형태학적 연구에서 MDA-MB-231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확인되었고, apoptotic body와 핵의 응축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9.58 ㎍/g과 57.56 ㎍/g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분무 건조한 매실 식초 분말은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천연 의약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매실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기산과 휘발성분 (Organic Acids and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Prunus mume Extract)

  • 하명희;박우포;이승철;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5-198
    • /
    • 2005
  • 매실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매실추출물에는 유기산은 $0.47\;mg\%$ citric, $0.43\;mg\%$ malic와 $0.25\;mg\%$ oxalic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매실추출물의 휘발성화합물을 GC/MSD로 분리, 동정한 결과, 매실추출물은 항균성물질로 알려진 acetic acid($8.3\%$), ${\rho}$-cumaric acid($13.1\%$)등의 유기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항균성분으로 알려진 5-hydroxymethyl fufural($32.3\%$), furfural($2.0\%$), 3-methyl-2,3-furandione($2.3\%$) 등도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PME)-containing chewing gum mastication on the change of saliva ingredients

  • Jang, Jong-Hwa;Lee, Young-So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63-46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PME) on the change of saliva ingredients. On the basis of the biological background of molecules and diagnostic indices in the use of saliva, the mastication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was demonstrated in terms of secretory IgA concentration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stimulated saliva. Method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use of a research design before and after apply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group was instructed to masticate the chewing gum containing PME for 10 minutes for one month after each meal within 30 minutes. Salivary secretion was collected by the participants between 8 and 10 a.m in the morning in the research office. For the measurement of secretory IgA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in the saliva,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as used. Results: The salivation stimula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our weeks of masticating chewing gum containing PME after each meal(p<0.001). Mastication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for four weeks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ecretory IgA much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after mastication for one week(p=0.003). The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in the saliva was decreased after four week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Mastication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stimulated salivary secretion and led to oral diseas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xerostomia. Furthermore, it seems to be urgent to seek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in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xerostomia.

청매실의 비가열 전처리 및 건조매실의 특성 (Non-thermal treatment of Prunus mume frui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ehydrated product)

  • 강지훈;김남호;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52-660
    • /
    • 2014
  • 수확 후 매실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0.5% citric acid와 0.1% Tween 20 단일 및 병합 처리 후 $4{\pm}1^{\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06, 2.22 log CFU/g으로 가장 높은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7일 동안 유지되었다. 매실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중 색도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매실의 저장성 증진 및 다양한 매실 가공품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탈수제를 이용한 건조 후 건조 매실의 품질 변화를 열품건조와 비교, 분석하였다. 탈수제 처리 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 높은 복원율을 나타냈고,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열풍건조 보다 많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건조 매실의 색도에 있어서도 탈수제 처리가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수확 후 매실에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품질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적인 가공 전처리 기술이라고 생각되며, 탈수제 처리가 건조 매실의 품질을 높게 유지하며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