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ity effect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2초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around two high-rise buildings in proximity

  • Liu, Min-Shan
    • Wind and Structures
    • /
    • 제1권3호
    • /
    • pp.271-284
    • /
    • 1998
  • This paper uses the numerical simulation to investigate the interference effect of 3-D turbulent flow around two high rise buildings in proximity at the different relative heights, gaps, and wind velocities. The computer program used to carry out the simulation is based on the control volume method and the SIMPLEST algorithm. The ${\kappa}-{\varepsilon}$ model was used to simulate turbulence effects. Since the contracted flow between two adjacent buildings enhances the strength of vortex shedding from the object building, the pressure coefficient on each side wall of the object building is generally increased by the presence of apposed building. The effect is increased as the relative height or the gap between the two buildings decreases. The velocity on the vertical center line between two buildings is about 1.4 to 1.5 times the upstream wind velocity.

RF IC 설계를 위한 새로운 CMOS RF 모델 (A New CMOS RF Model for RF IC Design)

  • 박광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8호
    • /
    • pp.555-55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CMOS 소자의 RF 동작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Si 표면에서의 메탈 라인 사이의 커패시턴스 효과와 표피효과 및 근접효과를 포함한 RF IC 설계를 위한 새로운 CMOS RF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Si 표면에서의 메탈 라인 사이의 커패시턴스는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모델링하였으며, 표피효과는 메탈 라인의 등가회로에 병렬회로를 부가하여 사다리꼴 등가회로로 구현하였다. 근접효과는 사다리꼴 등가회로에서 교차 결합된 인덕턴스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를 부가함으로써 모델링하였다. 제안된 RF 모델은 BSIM 3v3에 비해 측정 데이터와 잘 일치하였으며, GHz 영역에서 소자 동작의 주파수 종속성을 잘 보여주었다.

기판 두께와 천공의 위치 및 크기가 근접 결합 급전을 이용한 천공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대역폭과 방사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 Thickness, Perforation Position and Size on the Bandwidth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Proximity Coupled Perforated Microstrip Patch Antenna)

  • 이규훈;곽은혁;김부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6호
    • /
    • pp.310-321
    • /
    • 2014
  • 정사각형 천공이 $2{\times}2$ 배열된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에 근접 결합 급전을 이용하여 기판 두께와 천공의 위치 및 크기가 안테나의 대역폭과 방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안테나 기판과 급전 기판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방사특성의 저하 없이 대역폭이 증가 되었다. 천공 중심의 위치를 패치 길이 방향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는 경우 방사특성의 큰 저하 없이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천공 중심의 위치를 패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중심 위치가 대역폭과 방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작았다. 천공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대역폭은 증가되고 방사특성은 향상되었다.

Superconducting proximity effects in Sb-doped Bi2Se3 topological insulator nanoribbon

  • Park, Sang-Il;Kim, Hong-Seok;Hou, Yasen;Yu, Dong;Doh, Yong-Joo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3-18
    • /
    • 2019
  • Superconducting junctions of topological insulator (TI) are expected to host Majorana bound state, which is essential for developing topological quantum information device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Josephson junctions (JJs) made of Sb-doped Bi2Se3 TI nanoribbon and PbIn superconducting electrodes. In the normal state, the axial magnetoresistance data exhibit periodic oscillations, so-called Aharonov-Bohm oscillations, due to a metallic surface state of TI nanoribbon. At low temperature of 1.5 K, the TI JJ reveals the superconducting proximity effects, such as the critical current and multiple Andreev reflections. Under the application of microwave, integer Shapiro steps are observed with satisfying the ac Josephson relation. Our observations indicate that highly-transparent superconducting contacts are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I nanoribbon and conventional superconductor, which would be useful to explore Majorana bound state in TI.

매체와 정보유형에 따른 정보확산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Diffusion Based on the Type of Media and Information)

  • 이상근;김진화;백헌;이의방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133-146
    • /
    • 2013
  • 본 연구는 매체에 따른 정보확산차이와, 정보유형을 근접성의 정도로 분류하여 정보확산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통매체인 종이신문이나 TV, 라디오와 같이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매체의 정보확산과는 달리, 온라인 뉴스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같이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매체 특성으로 인한 정보확산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직접 기사를 올리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블로그(Blog) 매체와 온라인 뉴스(News) 매체에 따른 정보확산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정보확산차이를 보고자 정보의 유형을 세분화 하였다. 이는 수용자가 정보의 근접성이 높고 낮음의 차이 정도에 따라 정보유형에 따른 가치평가의 기준이 다를 것이라 보았다. 정보유형은 연예, 시사(국제), 제품으로 선정하였고, 세부내용은 연예와 관련된 '싸이 젠틀맨', 시사와 관련된 '중국 쓰촨성 지진', 제품과 관련된 '갤럭시 S4'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Bass 확산모형을 이용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Bass 확산모형은 혁신효과(Innovation effect)와 모방효과(Imitation effect)로 나눠서 측정한다. 혁신효과는 서비스 초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추정가능하며, 모방효과는 서비스 초기 단계 이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구전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매체에 따른 정보확산 흐름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록 두 매체의 특성에 차이점이 있을지라도, 뉴스가치 중 하나인 근접성에 따른 정보확산은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근접성에 기반한 정보유형별 정보확산에는 차이가 있었다. 수용자 입장에서 관련성이 높은 제품과 연예는 모방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사의 경우는 모방효과보다 혁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제품관련 정보나 연예관련 정보와 같이 개인에게 심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근접성이 높은 정보는, 국제 재해와 관련된 시사정보와 같이 근접성이 낮은 정보에 비해서, 개인의 모방효과가 활발히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매체와 정보유형에 따라 정보확산 흐름변화를 고찰하여 실무에 활용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하지만, 정보유형을 각각 하나의 기사만을 택하여 보았기 때문에 이 결과를 통한 정보확산 차이라고 규정짓기에는 sample size가 너무 작아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종류를 블로그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추가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의 유형을 근접성 측면뿐 만 아니라 다른 측면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념의 영향: 패널 데이터 분석 결과 (The Role of Political Ideology in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Evidence from Panel Data Analysis)

  • 김성연
    • 의정연구
    • /
    • 제23권2호
    • /
    • pp.147-177
    • /
    • 2017
  • 한국 선거에서 정치 이념의 역할에 대해 그동안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예외 없이 횡단면 데이터(cross-sectional data) 분석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다.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이 연구는 지난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이념 투표의 영향을 패널 데이터 분석(panel data analysis)을 통해 보다 엄밀하게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EAI 총선대선패널조사, 2012"를 이용하여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 시기(2012년 4월 중순-12월 하순)에 정치적이념이 유권자들의 후보 호오도(candidate evaluation)와 후보 선택(vote choice)에 미친 영향을 고정 효과(fixed effects) 분석과 변동 효과(random effect) 분석 등 표준적인 패널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념투표의 대표적 설명 모형인 근접성 모형(proximity model)과 방향성 모형(directional change model)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진보와 보수의 정치적 이념은 박근혜와 문재인후보에 대한 호오도 및 이들에 대한 지지에 독립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즉, 유권자들은 특정 후보와의 이념적 차이가 크다고 느낄수록 그후보에 대한 지지 확률 및 호오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그리고 이러한 이념투표의 영향은 근접성 모형보다 방향성 모형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Source Proximity and Meteorological Effects on Residential Ambient Concentrations of PM2.5, Organic Carbon, Elemental Carbon, and p-PAHs in Houston and Los Angeles, USA

  • Kwon, Jaymin;Weisel, Clifford P.;Morandi, Maria T.;Stock, Thomas H.;Turpin, Barbara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349-1368
    • /
    • 2016
  •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_{2.5}$) and several of its particle constituents measured outside homes in Houston, Texas, and Los Angeles, California, were characteri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roximity to point and mobile sourc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PM_{2.5}$ mass and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carbon (OC), elemental carbon (EC), benzo-[a]-pyrene (BaP), perylene (Per), benzo-[g,h,i]-perylene (BghiP), and coronene (Cor) were examined. Negative associations of wind speed with concentrations demonstrated the effect of dilution by high wind speed. Atmospheric stability increase was associated with concentration increase. Petrochemical source proximity was included in the EC model in Houston. Area source proximity was not selected for any of the $PM_{2.5}$ constituents' regression models. When the median values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 were used and the proximity to sources varied, the air concentrations calculated using the models for the eleven $PM_{2.5}$ constituents outside the homes closest to influential highways were 1.5-15.8 fold higher than those outside homes furthest from the highway emission sources. When the median distance to the sources was used in the models, the concentrations of the $PM_{2.5}$ constituents varied 2 to 82 fold, as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varied over the observed range. We found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urban areas, illustrating the unique nature of urban sources and suggesting that localized sources need to be evaluated carefully to understand their potential contributions to $PM_{2.5}$ mass and its particle constituents concentrations near residences, which influence baseline indoor air concentrations and personal expo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assist in the appropriate design of monitoring networks for community-level sampling and help improve the accuracy of exposure models linking emission sources with estimated pollutant concentrations at the residential level.

The Effects of Visit Characteristics in Neighborhood Forest on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 Jang, Youn-Sun;Yoo, Rhee-Hwa;Lee, Jeo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77-690
    • /
    • 2019
  • Recently,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neighborhood forests have been increasing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However, there are very few domestic studies tha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visit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eople use the forest for recreation and determine how visit characteristics in neighborhood forests affect individual life satisfaction(ILS). A nationwide survey (N=2,624) was conducted on visit frequency, proximity to forest, means of transportation, forest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o measure ILS, we used the three factors (personal, relative, collective) of COMOSWB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developed by Seo et al.(2011). The analysis shows that people usually visit the forest located within the distance of 10-30 minutes from their homes 1-2 times a month on foot for hiking/walking (forest bathing). In particular, the older visitors(over 60s) tend to visit the forest more often than the younger ones (20s). Furthermore, more frequent visitors are more likely to live near the for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isit characteristics and ILS by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visit frequ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ILS, and 'proximity to the fores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LS. In other words, residents who live near the forests a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by visiting fr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statistically determined that visit frequency is a key factor for ILS. Future studi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qualitative factors of forest visit such as vegetation, quantity and types of forest, which will contribute to setting the direction for urban forest development and management.

고속 VLSI회로에서 전송선의 지연시간 모델 (The Propagation Delay Model of the Interconnects in the High-Speed VLSI circuit)

  • 윤성태;어영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5-978
    • /
    • 1999
  • The transmission line effects of IC interconnects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a hish-speed VLSI circuit performance. The effective transmission lime parameters are changed with the increase of the operation frequency because of the skin of the skin effect, proximity effect, and silicon substrate. A new signal delay estima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RLC-distributed circuit model is presented [2]. The methodology is demonstrated by using SPICE simulation and a high-frequency experiment techniq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