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emic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노인의 민간치유관행에 나타난 질병의 의미 (Meaning of Sickness for the Elderly in a Folk Healing Practicum)

  • 조명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39-550
    • /
    • 2001
  • Purpose: This ethnograph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illness of the elderly in traditional folk healing performance. Method: This study was guided by Klienman's explanatory model of health care systems. The fieldwork was conducted in an agricultural clan of Namwon City from January of 1990 to Feburary of 2001.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Ehnographic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elders aged 74 years old to 96 years old; two of them were male. The data were analysed with the techniques of taxanomy, flow and decision, and proxemics. Result: The meaning of illness was categorized with four compononts, that is, ritual for life, defeat and failure in power game, humiliating punishment for guilt, and Tal. Conculsion: These meanings were constructed on physica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this clan. The healing strategie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illnes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and thus ensure the quality of nursing for the elderly.

  • PDF

친밀도 이론을 이용한 웹 페이지의 동적 개인화 (Dynamic Web Page Personalization Using Intimacy Theory)

  • 김진화;변현수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147-162
    • /
    • 2004
  • A major difference between on-line services and off-line services is in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y provide. On-line services lack of dynamic interface between customers and service providers. Traditional studies on personalizing web services do not consider the intimacy level of customers to web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a web personalizing method to satisfy customers in on-line using intimacy theory, cluster analysis, and data min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pport customers in web with more intimate service. It also offers improved services to customers by personalizing web services dynamically.

Influence of Gender on VR Animation Viewing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fortable Viewing Distance

  • Lin Q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191-198
    • /
    • 2023
  • In recent years, we have witnessed a growing popularity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a comfortable VR viewing experience is crucial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This study specifically explored the role of gender in determining the ideal viewing distance for VR animation. To do so, we enlisted 100 participants, comprising 41 males and 59 females, and had them engage in a VR animation viewing task, during which we recorded their preferred viewing distances. Our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regarding their favored VR animation viewing distan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creating VR content, gender may not be a noteworthy factor to take into account when determining the optimal viewing distances for a comfortable experience.

대학 강의에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University Teaching: Moder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 이경탁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69-87
    • /
    • 2011
  • 지금까지 교육자의 정보 및 지식 전달과 관련된 관심은 대부분 교육자가 제공하는 언어적 특성 즉 언어적 논리성, 전문성 등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교육자를 비롯한 커뮤니케이터에 대한 평가 지표에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일한 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하여도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서 언어적 메시지에 대한 이해력과 설득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 현장에서 교수들이 사용하는 비언어적 행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비언어적 행위를 신체언어, 공간언어, 유사언어, 신체적 외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리하고, 이들 네 가지 유형의 비언어적 행위가 교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교수에 대한 태도를 완전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많은 교육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교수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214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온라인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언어적 행위의 네 가지 유형 중 유사언어를 제외한 세 가지 유형이 교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언어와 신체적 외형 등 비음성적 커뮤니케이션의 상대적 영향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교수에 대한 태도와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자의 긍정·부정 의도를 전달하는 실용적 텔레프레즌스 로봇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st-Effective Tele-Robot System Delivering Speaker's Affirmative and Negative Intentions)

  • 진용규;유수정;조혜경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1-177
    • /
    • 2015
  • A telerobot offers a more engaging and enjoyable interaction with people at a distance by communicating via audio, video, expressive gestures, body pose and proxemics. To provide its potential benefits at a reasonable cost, this paper presents a telepresence robot system for video communication which can deliver speaker's head motion through its display stanchion. Head gestures such as nodding and head-shaking can give crucial information during conversation. We also can assume a speaker's eye-gaze,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key non-verbal signals for interaction, from his/her head pose. In order to develop an efficient head tracking method, a 3D cylinder-like head model is employed and the Harris corner detector is combined with the Lucas-Kanade optical flow that is known to be suitable for extracting 3D motion information of the model. Especially, a skin color-based face detection algorithm is proposed to achieve robust performance upon variant directions while maintaining reasonable computational cos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head tracking algorithm is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s using BU's standard data sets. A design of robot platform is also described as well as the design of supporting systems such as video transmission and robot control interfaces.

문화적 다양성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Cultural Diversity and Communication Barrier)

  • 양춘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21-142
    • /
    • 2005
  • We're living in a world of one global village.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is acceleration as more companies cross national borders to find customers, materials and money. Many foreig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doing their business aggressively in Korea and many Korean companies and rushing into foreign market. When people communicate for business with someone from another culture, there could be difficult communication barriers to overcome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their values, beliefs, norms for behavior, expectations, attitudes and so on. To do successfully business, we need to understand culture background and communication style that is different from nation, race, language. Communication barriers stemm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may vary. Largely, they can be divided into value system, non-verbal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process. Value system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ism versus group orientation, avoidance of uncertainty degree, power distance, and high- context culture versus low-context culture. Also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 and perception process may play decisive roles i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nonverbal communication barriers which sometimes play more important roles than the verbal parts are composed of eye contact, gesture, kinesics, proxemics, chronemics, paralanguage and language of colo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ffect business situation. I expect that if we underst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n we overcom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To overcome and to adapt inter-cultural business, we need to develope curriculum on the cross-cultural education which I will study in the next paper.

  • PDF

A Study of Caring for the Elderly by the Families and Extended Families Within a Korcean Clan Village

  • Cho, Myoun-G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5-502
    • /
    • 2003
  • Purpose. This ethnography is aimed at describing the care-giving practices of the nuclear family and relatives of the elderly within a clan village in relation to their socio-cultural context. Four basic notions of the study came from Leininger's culture care theory and the nurse-client negotiation model of Anders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system of caring,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xplored: What caring behaviors are performed for the elderly person in a clan and how do these behavior relate to the various components of that particular culture\ulcorner Method.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through twenty-one fieldwork expeditions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02 using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7 families drown from two extended famili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echniques of taxonomy, value, and proxemics analysis. Finding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aring for elderly people, their caring values, and four categories of caring were explored. Values of caring and every day life in the clan were hierarchical, reciprocal, and collective. The four categories of caring were: being with, empowering, keeping territory, and enhancing spiritua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culture-specific care and to provide culturally congruent care for the elderly in a clinical setting.

소셜로봇을 위한 사회적 거리를 고려한 새로운 보행자 회피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Pedestrian Avoidance Algorithm considering a Social Distance for Social Robots)

  • 유주영;김대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34-741
    • /
    • 2020
  • 본 논문은 인간과 공존하고 커뮤니케이션하며, 인간에게 심리적 안전거리(사회적 거리) 침해에 따른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는 소셜로봇을 위한 새로운 보행자 회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보행자 모델을 새롭게 정의하기 위해 보행자의 걸음걸이 특성(직진성, 속도)에 따라 보행자를 클러스터링하며 보행자 클러스터별 사회적 거리를 정의한다. 정의된 사회적 거리를 포함하도록 보행자(장애물) 모델링을 하고, 새롭게 정의된 보행자 모델에 상용화된 장애물 회피,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적용해 통합된 주행 알고리즘을 완성한다. 새로운 알고리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상용화된 대표적 두가지 장애물회피 경로계획 알고리즘인 DWA 알고리즘과 TEB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본 논문의 핵심 알고리즘인 새로운 보행자 모델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한다. 그 결과, 새롭게 제안된 알고리즘이 이동시간의 손실 없이 보행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verbal Communication m the Service Provider)

  • 김유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17-148
    • /
    • 2005
  •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정적 애착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신체적 언어, 공간적 행위, 의사언어, 신체적 언어 등으로 4가지로 구분된다. 둘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고객의 애착과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 신뢰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과 신뢰, 고객만족, 전환비용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사한 모델에서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이용기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과 감정적 애착과의 관계에서 의사언어를 제외한 신체적 언어, 공간적 행위, 외양은 감정적 애착에 유의하게 정(+)의 경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애착은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과 신뢰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제공자의 사회 적격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고객의 지각된 전환장벽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고객만족은 전환장벽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신뢰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유형과 서비스 이용기간의 조절효과여부를 검증한 결과, 신체적 언어와 감정적 애착, 의사언어와 감정적 애착, 감정적 애착과 신뢰, 신뢰와 전환장벽 등의 관계에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기간에 따라서는 신체적 언어와 감정적 애착, 외양과 감정적 애착간의 관계에서 각각 차이가 났다.

  • PDF

커피전문점 종사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nfluence of Coffee Shop Employee Non-verbal Communication on the Brand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 김영중;전유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커피전문점을 방문하는 고객이 인지하는 종사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및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17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3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434.380$(p<0.001), df=178, CMIN/DF=2.440, GFI=0.886, AGFI=0.852, NFI=0.900, CFI=0.938, RMSEA=0.068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차원인 신체언어(${\beta}=.311$), 의사언어(${\beta}=.242$), 신체적 외형(${\beta}=.382$), 공간적 행위(${\beta}=.481$)는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브랜드 이미지(${\beta}=.217$)는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고객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