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visional prosthesi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fixed implant prosthesis)

  • 신희현;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47-156
    • /
    • 2021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은 통상적 총의치, 하이브리드 보철물,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등 다양한 치료 옵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가철성 수복과 비교해 최종적인 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우식과 만성 치주염으로 전악 발거를 요하는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을 진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단계에서 최종 보철물 형태를 고려하여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하였으며 고정성 임시 수복물 단계에서 수정 및 재제작을 통해 기능과 심미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임시 수복물을 바탕으로 금속 도재관의 최종 수복물을 장착하였다. 나사 풀림 및 도재 파절 등의 합병증에 대처하기 위해 구치부의 경우 나사 유지형 보철물, 전치부는 나사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최종 보철물 장착 후 기능적 심미적 측면에서 개선된 예후를 보였다.

마모가 심한 환자의 전악 고정성보철물 제작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fixed prosthesis)

  • 김욱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9-417
    • /
    • 2020
  • This case study is aimed at introducing a full-mouth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fixed prosthesis. This is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severe wear dentition with changing vertical dimension. In line with using prosthetic treatment, patient adaptation was verified with provisional restorations followed by diagnostic wax-up. Function, esthetics, and occlusal stability were verified during a 4-week follow up period. Prosthodontic reconstruction based on systemic analysi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led to satisfactory results after delivery of definitive prosthesis. Prosthetic treatment of severe wear dentition was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successful. De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would be able to develop better treatment approaches using fixed dental prosthesis.

최종 보철물에 대한 고려 없이 전악 임플란트 식립된 환자의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ixed prosthesis restoration in edentulous patient fully implanted without considering definitive prosthesis: A case report)

  • 천영훈;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27-435
    • /
    • 2017
  • 임플란트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최종 보철물의 형태이며, 최종 보철물의 형태가 결정된 후 잔존골 분석 및 식립할 임플란트의 종류, 개수, 위치 등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측절치를 제외하고 전악에 임플란트가 식립된 채로 내원한 환자에 대해 고정성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최종 보철물에 대한 고려 없이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기 때문에 먼저 총의치를 제작하여 안모 분석 및 고정성 보철 수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고정성 보철 수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단 납형, 방사선 영상 및 디지털 분석을 통해 최종 보철물에 사용할 수 없는 임플란트를 치료계획에서 제외한 후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4개월 동안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사용하면서 안정적인 교합과 심미적인 만족을 보였기에 CAD/CAM (Computer aided design and 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고, 치료 종료 후 3개월 동안의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다층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임플란트 전치부 수복 증례 (Restoration of anterior teeth with dental implant using multilayer zirconia)

  • 이성희;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69-477
    • /
    • 2021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수복을 위해서는 pink esthetics와 white esthetics가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 Pink esthetics 부분의 경우 적절한 임시보철물의 역할이 중요하고, white esthetics 부분의 경우에는 최종 보철물의 색상과 형태가 중요하다. 다층 지르코니아는 기존의 단일구조 지르코니아에 비해 절단 부위의 투명도가 높기 때문에 추가적인 도재 축성 없이 자연스러운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전치를 상실한 환자에서 적절한 임시보철물을 통해 기능과 심미성을 충분히 회복한 후 다층 지르코니아를 통해 white esthetics를 달성하였다.

A comparison of retentive strength of implant cement depending on various methods of removing provisional cement from implant abutment

  • Keum, Eun-Cheol;Shin, Soo-Ye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234-24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methods for removing provisional cement from implant abutments, and what effect these methods have on the retention of prosthesis during the definitive cem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ty implant fixture analogues and abutments were embedded in resin blocks. Forty cast crowns were fabricated and divided into 4 groups each containing 10 implants. Group A was cemented directly with the definitive cement (Cem-Implant). The remainder were cemented with provisional cement (Temp-Bond NE),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leaning the abutments. Group B used a plastic curette and wet gauze, Group C used a rubber cup and pumice, and Group D used an airborne particle abrasion technique. The abutments were observed using a stereomicroscope after removing the provisional cement.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after the definitive cement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alpha}$=.05). RESULTS. Group B clearly showed provisional cement remaining, whereas the other groups showed almost no cement. Groups A and B showed a relatively smooth surface. More roughness was observed in Group C, and apparent roughness was noted in Group D. The tensile bond strength tests revealed Group D to have significantly the highest tensile bond strength followed in order by Groups C, A and B. CONCLUSION. A plastic curette and wet gauze alone cannot effectively remove the residual provisional cement on the abutment. The definitive retention increased when the abutments were treated with rubber cup/pumice or airborne particle abraded to remove the provisional cement.

Wear resistance of indirect composite resins used for provisional restorations supported by implants

  • Tsujimoto, Akimasa;Jurado, Carlos;Villalobos-Tinoco, Jose;Barkmeier, Wayne;Fischer, Nicholas;Takamizawa, Toshiki;Latta, Mark;Miyazaki, Masash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4호
    • /
    • pp.232-238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mulated localized and generalized wear of indirect composite resins used for implant supported provisional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vestigated ten indirect composite resins. Two kinds of wear were simulated by 400,000 cycles in a Leinfelder-Suzuki (Alabama) machine. Localized wear was simulated with a stainless-steel ball bearing antagonist and generalized with a flat-ended stainless-steel cylinder antagonist. The tests were carried out in water slurry of polymethyl methacrylate beads. Wear was measured using a Proscan 2100 noncontact profilometer in conjunction with Proscan and AnSur 3D software. RESULTS. Both localized and generalized we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5) among the indirect composite resins. SR Nexco and Gradia Plus showed significantly less wear than the other indirect composite resins. The rank order of wear was same in both types of wear simulation. CONCLUSION. Indirect composite resins are recommended when a provisional implant-supported restoration is required to function in place over a long period. Although only some indirect composite resins showed similar wear resistance to CAD/CAM composite resins, the wear resistance of all the indirect composite resins was higher than that of bis-acryl base provisional and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s.

Bone-level implants placed in the anterior maxilla: an open-label, single-arm observational study

  • Gao, EnFeng;Hei, Wei-Hong;Park, Jong-Chul;Pang, KangMi;Kim, Sun Kyung;Kim, Bongju;Kim, Soung-Min;Lee, J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5호
    • /
    • pp.312-32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ssessed marginal bone remodeling and soft tissue esthetics after the loading of single bone-level implants in the anterior maxilla. Methods: An open, single-arm observational clinical trial with 3 years of follow-up was performed, including 22 implants. The patients presented with a single tooth gap in the anterior maxilla (tooth positions 14-24), with natural or restored adjacent teeth. An implant was placed at least 8 weeks post-extraction and healed submerged for 6 weeks. After the second-stage operation, a fixed provisional prosthesis was provided. The final restoration was placed 6 months after the provisional restoration. The time of the provisional crown connec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baseline in this study. Esthetic parameters and the marginal bone level were assessed at 6, 12, 24, and 36 months. Results: All implants were well integrated in the bon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the mean implant stability quotient between the time of the provisional prosthesis and the time of the final prosthesis. Most implants (95.5%) revealed marginal bone resorption (<0.5 mm), and just 1 implant (4.5%) showed a change of 2.12 mm from baseline to 36 months (mean $0.07{\pm}0.48mm$), while the crestal bone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34{\pm}0.93mm$ at baseline to $1.70{\pm}1.10mm$ at 36 months. The facial gingival margin and papilla were stable and the esthetic scores indicated high patient and dentist satisfaction. Conclusions: Platform-switching bone-level implants placed in maxillary single-tooth gaps resulted in successful osseointegration with minimal marginal bone resorption. The peri-implant soft tissue was also esthetically satisfying and stable.

완전 디지털 시스템으로 기존 교합을 보전한 All-on-4 임플란트 수복증례 (All-on-4 implant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preserving existing occlusion: A case report)

  • 김경희;정승미;이예찬;안설은;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0-337
    • /
    • 2018
  • 무치악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는 그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나, 복잡한 치료과정이 수반된다. 반면, 현대 치의학에서 디지털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치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66세 하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하여 진단부터 수술, 임시수복물 및 최종수복물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디지털 시스템을 모든 단계에 이용하였다. 수술 전 진단단계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점막스캔과 환자의 안정적인 기존 총의치 교합을 토대로 임시수복물을 디자인하였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후에 사전제작한 임시수복물을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즉시 임시수복물로써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된 임시수복물의 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이전하여 최종수복물을 디자인 및 제작 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수직고경과 교합을 보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치악환자에서 복잡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간단한 프로토콜을 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구강스캐너의 지대주 자동중첩기능을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Restor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using the automatic abutment superimposition function of the intraoral scanner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 박근우;박지만;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79-87
    • /
    • 2021
  •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은 점차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인 인상 채득, 작업모형의 제작, 왁스 납형 제작 및 주조의 복잡한 과정이 단축되었으며 환자의 방문 횟수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구강 스캐너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인상의 정밀도와 정확성이 향상되었으며, 그 적응증은 보다 광범위한 부위의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수복으로 점차 확대되어지고 있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광범위한 부위의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의 수복을 위하여, 컴퓨터로 계획하고 가이드 수술용 템플레이트로 완전히 가이드된 수술을 하고, 즉시/조기 임플란트 보철물을 장착하였으며, 임시 보철물에서 최종 보철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구강스캐너의 지대주중첩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임플란트 수술 당일 획득한 구강스캔으로 맞춤형 지대주를 포함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활용하였으며, 최종 보철물은 임시 보철물에서의 맞춤형 지대주를 낀 채로 구강스캔하여 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임시 보철물 장착 전에 미리 스캔해서 라이브러리화한 맞춤형 지대주 데이터를 구강스캐너 소프트웨어 '지대주 자동중첩 기능'으로 최종 디지털 인상에 자동적으로 매칭하였고, 치은연하마진인 부분도 지대주를 탈거하지 않고, 치은압배사 없이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구강스캐너와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기술을 응용하여 임플란트 치료 과정을 디지털 워크플로우로 변화시킴으로써, 환자 불편감 및 치료 시간을 단축하였으며, 환자와 술자에게 모두 이롭고 예지성 있는 치료가 가능하였다.

심한 교모와 구치부 상실을 보이는 환자의 전악 수복: Jaw motion tracking과 digital workflow를 활용한 증례 보고 (Full-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trited dentition with missing posterior teeth: a case report using digital workflow with jaw motion tracking)

  • 박찬영;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93-307
    • /
    • 2023
  • 최근 다양한 증례 보고에서 소개되고 있는 jaw motion tracking은 환자의 안궁 이전 및 개별화된 하악 운동 경로를 기록한 후, 이를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소프트웨어의 가상공간상에 재현하는 방법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오랜 기간 구치부의 상실로 인해 교합평면의 붕괴가 관찰되었기에,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술을 계획하였다. 우선 jaw motion tracking을 진행하여 새로운 중심위 상에서 환자의 하악 운동을 기록한 후, 이 정보를 환자의 초진 구내 데이터 및 3차원 안면 스캔 데이터와 조합하여 가상 환자를 생성하였다. 가상 환자 상에서 진행한 디지털 왁스업과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바탕으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수직 교합 고경 상에서 적절한 견치 유도를 보이는 임시 보철물의 검증을 통해,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이처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는 저작능과 심미성의 개선에 만족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