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 kinase C

검색결과 1,411건 처리시간 0.032초

랫드 혈청의 저장기간에 따른 혈액생화학치 변화 (Effects of Storing Time on the Values of the Clinical Biochemistry in Sprague-Dawley(SD) Rats)

  • 손화영;이현숙;김영희;김용범;김일환;하창수;강부현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7-91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variation on serum biochemical values by storage in the rats. Sera were prepared from 30 Sprague-Dawley rats of each sex. 5 aliquots from each serum were placed in a -80$^{\circ}C$ freezer with the exception of I aliquots which was analyzed immediately.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ollowing months; 1, 2, 3, 6, and 12 months after freezing. The parameters measured) were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lkaline phosphatase(ALP),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CRE), glucose(GLU), total cholesterol(TCHO), triglyceride (TG), total protein(TP), albumin(ALB), total bilirubin(TBIL), calcium(Ca$\^$++/), inorganic phosphorus(IP), creatine kinase (CK), phospholipid(PL), albumin-globulin ratio(A/G), sodium(Na$\^$+/), potassium(K$\^$+/), and chloride(Cl$\^$-/)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arameters of AST, ALT, BUN, TG, CK, A/G, Na$\^$+/ of 1 month freezed sera, in those of AST, TG, CK, K$\^$+/) of 2 month freezed sera, in those of AST, ALT, BUN, CRE, TCHO, TP, TBIL, CK, PL, Na$\^$+/), K$\^$+/), Ct on month fteezed sera, in those of Cl$\^$-/ of 6 month fteezed sera, and in those of ALT, TG, ALB of 12 month freezed sera in male SD rats.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parameters of AST, ALT, ALP, BUN, GLU, TCHO, TG, TBIL, CK, PL, A/G, Na$\^$+/ of 1 month freezed sera, in those of AST, TCHO of 2 month freezed sera, in those of AST, BUN, CRE, TCHO, TP, TBIL, CK, PL of 3 month freezed sera, in those of TCHO, IP, PL of 6 month freezed sera, and in those of ALB of 12 month freezed sera in female SD ra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lthough there are some statistical variations in the biochemical values of the sera, it is suggested that if sera are analysed at the same time before 12 months storage in a -80 $^{\circ}C$ freezer, the storing time does not affect the biochemical evaluation of the sera in SD rats.

  • PDF

잡초(雜草)에 함유(含有)된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탐색(探索) I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Weeds I)

  • 김창진;강병화;이인경;류인자;박동진;이강현;이현선;유익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2
    • /
    • 1994
  • 경기도 광주군 및 연천군 일원에서 채취한 93종의 잡초종(雜草種)을 대상으로 항균활성(抗園活性), 항종양활성(抗腫瘍活性), 항산화활성(抗酸化活性), 제초활성(除草活性) 등 몇가지 생리활성(生理活性)을 조사함으로써 제초(雜草)의 유용적(有用的)인 측면(則面)의 확인 뿐 아니라 나아가서 잡초(雜草)로부터 새로운 생리활성물질탐색(生理活性物質探索)의 가능성(可能性)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곰팡이에 있어서 사과나무 점무늬낙엽병균(落葉病菌)에 대해서는 새삼, 고추 역병균(疫病菌)에 대해서는 돼지풀과 쥐손이풀, 참깨 역병균(疫病菌)에 대해서는 쑥부쟁이와 미국쑥부쟁이가 항균활성(抗菌活性)을 나타내었다. 세균에 있어서는 돼지풀, 쑥, 사철쑥, 여뀌바늘, 구절초, 쥐손이풀, 미국가막사리 등이 비교적 항균활성(抗菌活性)의 범위(範圍)가 넓었으며 개비름, 비름, 망초, 물질경이, 쇠무릎, 물봉선, 벼룩나물 등이 Gram 양성세균인 Bacillus subtilis PCI219에 대하여 선택적(選擇的)인 항균활성(抗菌活性)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새삼, 개가장, 갈대, 쉽사리, 기름나물 등이 세포벽(細胞壁) 결손(缺損) 변이주(變異洙)인 Pseudomonas aeruginosa N10 균주에 대하여 선택적(選擇的)인 항균활성(抗菌活性)을 나타내었다. K562 세포(細胞)에 대한 protein kinase C 활성(活性)으로 조사한 antibleb 활성(活性)은 큰개여뀌, 사철쑥, 국화방망이, 개가장, 쥐손이풀, 바늘사초 등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큰개여뀌에서는 조시료(粗試料) 상태에서 10mg/ml 농도(濃度)에서도 강한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抗酸化活性)에 있어서는 바디나물, 쇠뜨기, 승마, 큰개여뀌, 쥐손이풀, 달맞이꽃, 방동사니대가리 등이 비교적 강한 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며 제초활성(除草活性)에 있어서는 여뀌바늘, 기름나물 등이 비교적 강한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 PDF

인체간암세포에서 genistein의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 상승효과에서 미치는 p38 MAPK signaling pathway의 영향 (Enhancement of TRAIL-Mediated Apoptosis by Genistei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3B Cells: Roles of p38 MAPK Signaling Pathway)

  • 김성윤;박철;박상은;홍상훈;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549-1557
    • /
    • 2011
  • TRAIL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간암세포를 포함한 일부 암세포에서 TRAIL 저항성이 획득된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대두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인 isoflavonoid계열 genistein은 이미 많은 암세포에서 apoptotic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TRAIL 저항성을 가진 Hep3B 간암세포에서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를 genistein이 더욱 상승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ep3B 세포에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범위의 genistein에 의한 TRAIL 유도 apoptosis 상승효과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genistein과 TRAIL 복합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p38 MAPK 활성 저하로 더욱 상승하였으며, 이는 Bid의 truncation 증가,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발현 증가와 anti-apoptotic Bcl-2의 발현 감소 및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출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p38 MAPK 억제제는 genistein 및 TRAIL 복합처리에 의한 caspase의 활성 증가와 PARP 단백질의 단편화를 촉진시켰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적 손상 증가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genistein이 TRAIL에 의한 apoptosis 유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이 p38 MAPK 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이 저산소성(低酸素性) 대뇌신경세포(大腦神經細胞) 손상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Yeoldahanso-tang on the Hypoxic Damage of Cultured Cerebral Neurons from mouse and SK-N-MC cells)

  • 김형순;배영춘;이상민;김경요;원경숙;심규헌;박수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2-89
    • /
    • 2003
  • To elucid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Yeoldahanso-tang(YHT) on nerve cells damaged by hypoxia, the cytotoxic effects of exposure to hypoxia were determined by XTT(SODIUM3,3'-{I-[(PHENYLAMINO) CARBONYL]-3,4-TETRAZOLIUM}- BIS (4-METHOXY-6-NITRO) BENZENE SULFONIC ACID HYDRATE), NR(Neutral red),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nd SRB(Sulforhodamin B) asssay. The activity of catalase and SOD(Superoxide dismutase) was measured by spectrophometry, and $TNF-{\alpha}$(Tumor cell necrosis $fector-{\alpha}$) and PKC(Protein kinase C) activity was measured after exposure to hypoxia and treatment of YHTWE. Also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YHTWE was researched for the elucidatioion of neuroprotective mechan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poxia decreased cell viability measured by XTT, NR assay when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exposed to 95% N2/5% CO2 for $2{\sim}26$ minutes in these cultures and YHTWE inhibited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2. H2O2 treatment decreased cell viability measured by MTT, and SRB assay when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exposed to 1-80 ${\mu}M$ for 6 hours, but YHTWE inhibited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3. Hypoxia decreased catalase and SOD activity, and also $TNF-{\alpha}$ and PKC activity in these cultured cerebral neurons, but YHTWE inhibited the decrease of the catalase and SOD activity in these cultures. 4. Hypoxia triggered the apoptosis via caspase activation and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Also hypoxia stimulate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orom mitochondria. YHTWE inhibited the apoptosis via caspase activation induced by hypoxia.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brain ischemia model induced hypoxia showed neurotoxicity on cultured mouse cerebral neurons, and the YHTWE has the neuroprotective effect in blocking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hypoxia in cultured mouse cerebral neurons.

  • PDF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s in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1 virus-infected lungs of genetically disparate Ri chicken lines

  • Vu, Thi Hao;Hong, Yeojin;Truong, Anh Duc;Lee, Jiae;Lee, Sooyeon;Song, Ki-Duk;Cha, Jihye;Dang, Hoang Vu;Tran, Ha Thi Thanh;Lillehoj, Hyun S.;Hong, Yeong H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367-376
    • /
    • 2022
  • Objective: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HPAIV) is a threat to the poultry industry as well as the economy and remains a potential source of pandemic infection in humans. Antiviral genes are considered a potential factor for HPAIV resis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gene expression related to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s by comparing resistant and susceptible Ri chicken lines for avian influenza virus infection. Methods: Ri chickens of resistant (Mx/A; BF2/B21) and susceptible (Mx/G; BF2/B13) lines were selected by genotyping the Mx dynamin like GTPase (Mx) and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 antigen BF2 genes. These chickens were then infected with influenza A virus subtype H5N1, and their lung tissues were collected for RNA sequencing. Results: In total, 972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observed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Ri chickens, according to the gene ontology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pathways. In particular, DEGs associated with cytokine-cytokine receptor interactions were most abundant. The expression levels of cytokines (interleukin-1β [IL-1β], IL-6, IL-8, and IL-18), chemokines (C-C Motif chemokine ligand 4 [CCL4] and CCL17), interferons (IFN-γ), and IFN-stimulated genes (Mx1, CCL19, 2'-5'-oligoadenylate synthase-like, and protein kinase R) were higher in H5N1-resistant chickens than in H5N1-susceptible chickens. Conclusion: Resistant chickens show stronger immune responses and antiviral activity (cytokines, chemokines, and IFN-stimulated genes) than those of susceptible chickens against HPAIV infection.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hlorophyll-removed ethanol extract of Lycium barbarum leaves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이한솔;배은영;김경아;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23-139
    • /
    • 2023
  • 구기엽 추출물 (LLE)과 클로로필을 제거한 구기엽 추출물 (LLE(Ch-))이 MCD diet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한 C57BL/6 mouse와 팔미트산으로 지방 축적을 유도한 HepG2 세포에서 지방축적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조군 대비 LLE(Ch-)는 혈장 TG 농도와 혈장 AST와 ALT의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LLE군에서는 혈장 ALT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군 모두 간조직의 TG와 cholesterol 함량을 유의하게 낮추었으며 간조직의 병리학적 변화 결과에서 LLE군에 비해 LLE(Ch-)군에서 지방축적의 억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팔미트산 0.5 mM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LLE와 LLE(Ch-)가 1,000 ㎍/mL 농도까지 독성이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00 ㎍/mL과 500 ㎍/mL 농도부터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pAMPK와 pACC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AS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구기엽 100% 에탄올 추출물들은 간조직의 지방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의 활성이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두 소재 모두 항 지방간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정향과 마가목 복합물의 in vitro와 in vivo 항비만 효과 연구 (Study on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obesity effects of a combination of Syzygium aromaticum L. and Sorbus commixta Hedl.)

  • 유지헌;안희연;노성수;신미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2호
    • /
    • pp.196-21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정향과 마가목 복합물 (SS)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SS 투여는 3T3-L1 세포 내 TG와 TC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지질 합성 관련 유전자와 지방산 산화 관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비만이 유도된 C57BL/6 mice에서 SS 투여는 혈청 내 leptin 호르몬 수치를 감소시켰으며, AMPK/ACC/SREBP-1 경로를 경유하여 TG 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지질 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SS는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잠재력을 갖춘 소재로 사료된다.

3T3-L1 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서 Baicalin에 의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분석 (Effects of Baicalin on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이해용;강련화;정상인;조수현;윤유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4-63
    • /
    • 2010
  • Flavonoid 계열의 한 종류인 baicalin은 항염증, 항암, 항바이러스, 항세균 등의 효능을 가진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한 이전의 보고에서 baiclain이 adipogenesis pathway(지방세포 형성 경로)의 anti-adipogenic(지방세포 형성억제)과 pro-adipogenic(지방세포 형성 유도) factor들을 조절함으로써 비만 및 adipogenesis를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3T3-L1 세포에서 baiclain이 유도하는 지방세포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지방세포의 분화 시간(0일, 2일, 4일 및 7일)과 분화 시 baicalin의 처리 유무에 따라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해당 시료들을 microarray에 적용하였다. Microarray 결과로부터 2배이상의 변화가 있는 3972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그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20개의 cluster를 분류할 수 있었다. 그들 중 4개의 cluster는 분화의 전반적인 기간에서 baicalin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상승(cluster 8과 cluster 10)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감소(cluster 12와 cluster 14)하는 양상을 보였다. Cluster 8과 cluster 10에는 CHOP(CCAAT/enhancer-binding protein homologous protein), INSIG1(insulin induced gene 1), WISP2(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ADM(adrenomedullin), CCND2(cyclin D2), GRN(granulin) 및 TGFB3(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과 같은 세포 증식과 지방세포 형성 억제를 상승시키는 유전자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반대로 cluster 12와 cluster 14에는 세포 증식 억제, 세포 주기 억제 및 세포 성장 억제와 연관되거나 지방세포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LTA(lympotoxin A), ACADSB(acyl-Coenzyme A dehydrogenase, short/branched chain), HMGCS2(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synthase 2), IGFBP7(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 MERTK(c-merproto-oncogene tyrosine kinase), RASSF2(ras association(RalGDS/AF-6) domain family 2), RHOU(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U) 및 SESN1(sestrin1) 등이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baicalin은 세포 증식 및 지방세포 형성과 연관된 유전자들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baicalin이 유도하는 지방세포 형성 억제 및 비만 억제 효과의 분자적 기작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시한다.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의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rigeron annuus (L.) Pers. Ethanol Extract on Melanoma Cell (B16F10))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8-157
    • /
    • 2019
  • 개망초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500{\mu}g/ml$에서 82%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500{\mu}g/ml$에서 87%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이 $100{\mu}g/ml$에서 6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0{\mu}g/ml$에서 32.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망초 추출물에 대한 수렴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mu}g/ml$에서 80%이상의 우수한 수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농도 구간이 $100{\mu}g/ml$ 일 때 96%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관련 실험을 세포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mu}g/ml$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MITF, TRP-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과 tyrosinase 발현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 단계 유전자인 ERK와 CREB의 발현양은 미비했으나, 인산화된 ERK와 인산화된 CREB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의 농도 별로 처리하였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및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그 하위 유전자 및 상위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신귀화식물 개망초를 기능성 천연 미백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자외선 B로 유도된 아포토시스로부터 모린의 정상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보호효과 (Morin Protects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s from Ultraviolet B-induced Apoptosis)

  • 박정언;진오현;박미경;강경아;페르난도 핀카 디바게 사미라 마두샨;헤라스 무디야세라게 우다리 라크미니 헤라스;현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5-314
    • /
    • 2023
  • 자외선 B 조사는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 광노화, 염증을 유발하여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 B 조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모린의 보호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모린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매개된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염증의 잠재적인 치료 후보로 보고되었다. 모린이 항산화제로 보고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모린이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UVB 유도 아포토시스를 완화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세포생존율과 세포 내 활성 산소종레벨은 각각 MTT 분석법, H2DCFDA 및 DHE 형광 염색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 카르보닐 형성과 지질 과산화는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DNA 분절법, comet assay는 산화적 DNA 손상을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Apoptosis 현상은 TUNEL 분석 및 Hoechst 33342 염색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포토시스 관련 단백질의 발현은 Western blot 분석을 사용하였다. 모린은 자외선 B로 유도된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고, 항산화 관련 단백질을 증가시켜 지질 과산화, 단백질 카르보닐화 및 DNA 손상을 억제하여 세포를 보호하였다. 모린은 항아포토시스 단백질 Bcl-2의 발현 증가 및 Bax, caspase-9와 caspase-3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자외선 B로 유도된 세포 사멸로부터 보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p38 및 JNK 1/2의 인산화 감소에 의해 매개되었다. 따라서 모린이 자외선 B로 유도된 피부 손상에 대한 예방/치료 약물로 개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