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 Hydrolysate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7초

굴 효소 가수분해물과 분자량 분획물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Enzymatic Oyster Hydrolysate and Its Fractions on Human Fibroblasts)

  • 김현아;박시향;이수선;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45-1652
    • /
    • 2015
  • 해양생물 유래 피부건강 기능성의 소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굴 단백질을 Protamex와 Neutrase로 가수분해 한 후 생성된 굴 가수분해물 펩타이드의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굴 가수분해물은 약 7.9%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며 urea, taurine, alanine, glyc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은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피부세포인 CCD986sk에 대한 독성은 없었다. 분획물의 수율은 1,000 Da 미만이 40%였으며, 5,000 Da 미만이 60.4%를 차지하였다. 1,000~3,000 Da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procollagen의 생성능 및 MMP-1 효소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과 5,000 Da 미만의 분획물은 주름 개선을 위한 피부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 등의 제품에 응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대구고니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로부터 항산화성 펩타이드의 분리${\cdot}$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Teiset Protein)

  • 김세권;최영일;박표잠;최정호;문성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8-204
    • /
    • 2000
  • 수산가공공장에서 원료어 처리시 대량으로 발생하는 비가식부의 하나인 대구의 고니부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시킨 후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으며, 이들 가수분해물 중 항산화활성이 뛰어난 펩타이드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로 분리${\cdot}$정제하여 그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하였다.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시켜 얻은 가수분해물 중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Alcalase로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5{\%}$정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으로 분자량 10 kDa, 5 kDa 및 1 kDa의 세 종류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1 kDa의 막을 통과하여 분리된 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10{\%}$정도 높았다. 이 획분으로 Spsephadex C-25를 사용하여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한 결과, $0.5{\~}1.0 M$ NaCl 용액으로 용출시 킨 분획물에 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17{\%}$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을 다시 Sephadex G-15로 겔여과하여 3개의 획분을 얻었으며 이 중 획분 II에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45{\%}$가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인 획분을 얻었다. 이것을 역상 HPLC를 이용하여 5차의 획분을 얻었으며, 항산화활성은 획분 A에서 ${\alpha}-tocopherol$보다 약 $53{\%}$정도 높게 나타나 가장 우수하였다. 이 획분을 capillary electrophoresis로 순도를 확인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 결과 Ser-Asn-Pro-Glu-Trp-Ser-Trp-Asn였다.

  • PDF

참치 유래 조효소를 이용한 민태(Johnius belengeri) Frame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회수 및 그 기능성 (Recovery of Protein Hydrolysate from Hoki (Johnius belengeri) Frame with Tuna Pyloric Caeca Crude Enzyme and Its Functionalities)

  • 전유진;이병조;변희국;김종배;김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49-57
    • /
    • 1999
  • 어류 중 수산가공공장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민태(hoki, Johnius belengeri)의 부산물인 frame으로부터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회수하고자, 참치 내장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키고, 여기서 얻어진 가수분해물의 기능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물에 함유되어 있는 펩티드를 분자량에 따라 분획한 후 각각의 가분해물에 대하여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참치 유문수 유래 단백질 분해효소 (tuna pyloric caeca crude enzyme: TPCCE)를 이용한 경우, 민태 frame 단백질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pH 10.0, 반응온도 $50^{\circ}C$ 및 기질농도 0.4%, 기질 대 효소비 100 : 1(w/w), 반응시간 12시간이었다. 최적 가수분해 조건 하에서 민태 frame 단백질을 TPCCE로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수율은 약 77%(건조중량 기준)였다. 가수분해물을 4종류의 한외여과막(MWCO 30, 10, 5 및 1 K)을 이용하여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4종류로 분획하여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용해도는 분자량이 낮은 1 K 가수분해물이, 유화성과 포말성은 분자량인 높은 30 K와 10 K가수분해물이 우수하였다.

  • PDF

민태(Johnius belengeri) frame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인산화에 의한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ities by Phosphorylation of Hoki(Johnius belengeri) Frame Protein Hydrolysates)

  • 전유진;이병조;박표잠;변희국;김세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28-133
    • /
    • 1999
  • 참치내장 중 유문수 조직에 내재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부분정제하여 추출한 후 민태 frame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에 이용하였으며, 제조된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획한 후 기능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cyclic sodium trimetaphosphate를 이용하여 인산화 민태 frame 단백질 가수분해 물을 제조하고, 용해도, 유화성 및 포말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1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개선을 목적으로 가수분해물에 STMP를 처리하여 인산화된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으며, IR 스펙트럼으로 인산화를 확인한 결과, $1300\;cm^{-1}$에서 P=O의 흡수띠를, $1000{\sim}1100\;^{-1}$에서 P-O-C와 alkyl group에 결합된 P-O-C의 흡수띠를 확인하였다. 2. 민태 frame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인산화시킴으로써 용해도는 물론 유화성 및 유화 안정성 그리고 포말 안정성 등 기능성의 개선에 크게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분자량이 가장 큰 획분인 P-30K 가수분해물은 모든 기능성 부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미이용자원으로부터 기능성이 부여된 새로운 가치의 물질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PDF

Enzyme hydrolysate of silk protein suppresses tert-butyl hydroperoxide-induced hepatotoxicity by enhancing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 Suh, Hyung Joo;Kang, Bobin;Kim, Chae-Young;Choi, Hyeon-S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50-558
    • /
    • 2017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 of enzyme (Alcalase) hydrolysates of silk protein in rat. Alcalase-treated silk protein hydrolysate (ATSH) itself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on the hepatic tissues and blood biochemistry, similar to the normal condition. ATSH played a protective role in tert-butyl hydroperoxide (t-BHP)-induced hepatotoxicity and liver damage. The values of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which are the indicators of the liver function, were effectively alleviated with the ATSH treatment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level of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Malondialdehyde (MDA), which were increased with t-BHP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ATSH. High dose of ATSH (2 g/kg) reduced the t-BHP-induced LDH release by 48%. Antioxidant and antioxidant enzymes in liver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TSH treatment in their level and activities. ATSH (2 g/kg) increased glutathione (GSH), an intracelluar antioxidant, by 2.5-fold compared with the t-BHP treated group. The activities of glutathione-s-transferase (GST),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were also elevated by 38%, 60%, and 45%, respectively, with ATSH (2 g/kg) treatmen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TSH was recapitulated to the protection from t-BHP induced liver damages in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Thus, ATSH might be used as a hepatoprotective agent.

갯장어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in Hydrolysate from Sharp Toothed Eel (Muraenesox cinereus))

  • 조혜영;안창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04
    • /
    • 2002
  • 갯장어를 이용한 부가가치 높은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분말형태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말제품의 정미성 및 소화성을 높이고 분말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말화하기 전에 원료윽의 효소가수분해를 검토한 결과 상업용 효소인 Flavourzyme MG^{GM}가 관능적으로 쓴맛이 적고 정미성 또한 어느 정도 향상되어 가장 적절한 효소로 판명되었고, 사용농도는 원료 단백질 함량의 $2\%$ (w/w)로 하고, 원료에 대해 동량의 물을 가하여 마쇄한 다음 $50^{\circ}C$에서 6시간 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가수분해 후 저장 중 제품의 품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를 제거하기 위해 n-hexane을 처리한 결과 효과가 있었고, 처리방법으로는 가수분해액즙에 대해 n-hexane을 4:1 (가수분해액즙:n-hexane)의 비율로 첨가하여 진탕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는 식으로 5회 반복하는 방법이 좋았다. 그 결과 분말상태의 제품의 유지함량을 $1\%$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분말제품의 총아미노산 조성은 원료육의 것과 비교해 거의 차이가 없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Iysine, leucine, glycine 및 arginine 둥의 아미노산이 풍부했다. 유리아미노산은 가수분해로 인해 약 3배로 증가하였고,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및 methionine과 같은 umami를 내는 아미노산도 역시 증가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소수성 아미노산인 methionine의 증가가 뚜렷했다. (약 40배). 분말제품에 있어서 양적으로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소수성 아미노산인 leuc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isoleu-cine 등이었으며, 이중 alanine을 제외하고 모두 필수아미노산이며 이들 5종의 아미노산이 전체의 약 반 ($48.96\%$)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단백질 이용율은 2.35$\~$2.87로 원료육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갯장어 분말제품의 수분흡수력과 지방흡수력은 각각 870.1 $\pm$$7.9\%$ 및 352.0$\pm$$5.3\%$로 높은 편이었으며, 유화성은 50.3$\pm$$1.2\%$였으나 유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굴 가수분해물이 SD-Rat의 혈청과 간 균질물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Oyster Hydrolysate on the Serum and Hepatic Homogenate in SD-rats)

  • 허성익;박시향;이수선;정세영;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40-1948
    • /
    • 2013
  • Sprague Dawley계 rat을 이용하여 굴 효소 가수분해물 함유식이가 혈청과 간 균질액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식이 그룹은 대조군과 실험군으로써 TGPN 굴 효소 가수분해물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100FG), TGPN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TGPN-200FG), PN 가수분해물 시료 1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100 FG), 200 mg/kg BW/day 함유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PN-200FG) 5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식이를 제공하여 실험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TGPN-200FG 식이군이 혈청과 간 균질액에서 각각 28.9%, 26.1%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균질물의 중성지질은 TGPN-100FG 식이군에서 6.3%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은 TGPN-200FG에서 유의적으로 34.7% 감소하였다. 굴 가수분해물 TGPN-200FG는 수퍼옥사이드 및 히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함으로써 라디칼 소거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수준을 감소시키며, 단백질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ditive biocomponents from catfish by-products enhance the growth of shrimp Litopenaeus vannamei

  • Pham Viet Nam;Tran Vy Hich;Nguyen Van Hoa;Khuong V. Dinh;Nguyen Cong Minh;Trang Si Tr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367-379
    • /
    • 2023
  • The rapid expansion of shrimp production requires a huge amount of protein sources from soybeans and wild-caught fishmeal; both are becoming a shortage. Meanwhile, catfish production and processing is a giant industry in Vietnam, which produce hundred thousand tonnes of protein- and lipid-rich by-products, annually. Using catfish by-products to gradually replace the traditional protein sources in shrimp aquaculture may bring triple benefits: 1) reducing pressure on wild fish exploitation for fishmeal, 2) reduc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catfish by-products, and 3) increasing the value and sustainability of aquaculture production. In this study, we used catfish by-products to produce fish protein hydrolysate (FPH) and nano-hydroxyapatite (HA) as additives in feed for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The supplement mixture of FPH and HA was added into the commercial diet (Charoen Pokphand Group [CP], 38% protein, and 6.5% lipid) to reach 38%, 38.5%, 40%, 43%, and 44% of the crude protein content. The survival and growth of shrimps were weekly assessed to day 5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rimp growth was highest at 43%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feed as indicated by an increase of 124% and 112% in shrimp weight and length,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mmercial reference diet. No negative effects of adding the mixture of FPH and HA on the water quality were observed. Vibrio density was lower than 6.5 × 103 CFU/mL, which is the lowest Vibrio density negatively affecting the shrimp growth and develop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ixture of FPH and HA are promising additive components in feed for post-larval shrimp L. vannamei diets.

분자량에 따른 Chitosan의 in vitro 대식세포 활성화 (Macrophage Activation of Chitosan Hydrolysate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in vitro)

  • 장현주;전향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63-1370
    • /
    • 1999
  • 게껍질 기원의 chitosan을 산가수분해 및 한외여과법으로 제조한 후, 그들의 분자량에 따른 대식세포 활성증진능을 측정하였다. Continuous macrophage cell line J774A.1을 이용한 nitrite 분비능을 비교한 결과, intactchitosan의 농도가 $10\;{\mu}g/ml$일 때 최고의 분비능을 나타냈다. 대식세포의 hydrogen peroxide 분비능은 chitosan 가수분해물 분획 5의 $1,000\;{\mu}g/ml$ 농도에서 $894\;{\mu}M/mg$ macrophage protein을 나타냈으며 chitosan 가수분해물 분획 6의 $100\;{\mu}g/ml$농도에서는 $1,044\;{\mu}M/mg$ macrophage protein의 최고 분비능을 나타냈다. 또 한 $IL-1{\alpha}$ 분비능은 분획 4, 분회 6 및 intact chitosan 에서만 나타났고, tumor necrosis factor의 경우도 chitosan 가수분해물 분획 4, 분회 5, 분회 6 및 Intract chitosan에서 분비능이 컸다. 결론적으로 chitosan 가수분해물 중에서 HPLC법으로 측정한 분사량이 $24,000{\sim}64,000$인 chitosan 가수분해물 분획 4, 분획 5 및 분획 6이 반응성 질소종 분비능을 제외한 대식세포 활성 증 진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