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ed areas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4초

휴경논에서의 수질관리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Fallow Paddy Fields)

  • 김형중;김선주;김필식;안열;양용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69-76
    • /
    • 2006
  • Fallow paddy area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import of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unbalance between farming cost and rice price since 1990. The increasing fallow paddy area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devastation by weed breeding for the re-cultivation. In this study, two fallow paddy fields managed with different water depth were selected for monitoring and analysing of water quality, water balance and plant body change. The managed fallow paddy fields were more effective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and plants growth control than non-managed fallow paddy fields. And the fallow paddy field managed with some degree of water depth was the most effective field in terms of weed control.

경북 내연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Naeyonsan Areas, Ky ongpuk)

  • 김용식;강기호;신현탁;김종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6
    • /
    • 1999
  • 1997년 4월부터 1998년 4월까지 경상북도 내연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100과, 350속, 538속, 1아종, 92변종, 10품종, 1교잡종 총 642종류(texa)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211종류는 금번조사에서 새롭게 추가하였다. 특히 고란초, 부들, 창포, 꽃창포, 노랑무늬붓꽃, 산작약, 둥근잎꿩의 비름, 꿩의 바람꽃, 연잎꿩의다리, 참좁쌀풀 등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을 확증표본과 함께 보고함으로써 본 지역 식물상 조사에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조사에서 확인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총 29종류로서, 환경부 법정보호식물이 3종류, 환경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제시한 특정식물종 중 정밀생태종은 27종류, 그리고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15종류로 나타났으며, 둥근잎꿔의 비름, 망개나무, 노랑무늬붓꽃 등의 분포 등에 대해 논하였다.

  • PDF

백두대간계 중 강원도 지역의 종 분포 특성 (Characteristic Species Distribution of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at Kangwon Province, korea)

  • 정연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105-112
    • /
    • 1998
  •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stribution in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of Kangwon Province were discussed. Resulting from Detrending Correspondence Analysis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48 mountains, the mountains of the Baekdoo chain tended to aggregate on DCA axis. it represented that there was the peculiar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Baekdoo chain separated from the other mountains. High altitude, longitude near the East Sea and large number of vascular species were main factors for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exponential relationships between endemic rare species and number of species were clarified. Even though the regions of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had been conserved relatively well, many regions have been faced to be disturbed for tourism,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industry and mining since the local autonomy. Thusm, the necessity for the establishment of large area network through the connection of scattered protected areas in the Baekdoo Great Mountain Chain was suggested. it would play a role as a core of nature conservation to sustain species diversity in Korea.

  • PDF

A Floristic Study of Carpathian Natural Protected Area in Ukraine

  • Kim, Hyuk-Jin;Kim, Dong-Kap;Choi, Kyoung;Park, Kwang-Woo;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6-260
    • /
    • 2010
  • We performed the floristic study of Carpathian mountains in Ukraine from April 2008 till October 2009. We designated eight important areas to investigate in Ukraine Carpathians including Svydovets, Chornohora, Kuziy-Trybushany, Maramorosh, Uholka-Shyrokyi Luh, Narcissi Valley, Chorna Hora, and Yulivska Hora. The total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investigated area were 1,349 speices from 502 genera and 112 families. The endemic species to Carpathians numbered to 65 from 49 genera belonging to 24 families, and it was corresponded to 4.8% of the 1,349 vascular species. We prepared the list of vascular plants with compiling database on useful plants. Ukraine Carpathians endemic species could be applied as high value products in research and practice. Moreover, the flora of Carpathian mountains which is distributed in five nations in eastern Europe and famous for Primeval Beech Forests (Fagus sylvatica), is useful to compare the floristic study with Korean flora.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를 위한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의 활용 (Application of Greenhouse Climate Management Model for Educational Simulation Design)

  • 윤승리;김동필;황인하;김진현;신민주;방지웅;정호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5-496
    • /
    • 2022
  • 국내외로 첨단 ICT 융합기술이 농업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시설원예 설비들이 고도화되고, 스마트팜 구축 기술 및 인력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농촌의 경우, 농업생산 연령의 고령화, 국내 농촌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팜 확대 및 적용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공간 및 시간에 구속을 받지 않는 간편한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한다면 농업 교육용 시뮬레이션 툴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지역과 기상 조건 하에서 대상 온실의 열과 물질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활용하여 외부 기상 데이터를 통해 온실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가상의 환경 제어시스템을 통해 환경 제어 시 필요한 에너지값들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용자가 직접 맞춤형 환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것이며, 실제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제어 요소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다. 농업용 교육 시뮬레이션 툴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물 생육 모델링 기술 및 전산유체역학 기술과 융합하면 더욱타당한 결과를 보일 것이다.

내륙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보전·관리 도구로서 시민과학연구 방법론 및 성과 제고 방안 -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의 보전·관리·이용 목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thod of Citizen Science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 a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ol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land Wetland) - Focused on the Target of Conservation·Management·Utilization in Wetland Protected Area Conservation Plan -)

  • 여인애;이창수;강지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50-4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을 달성할 수 있도록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보전관리 도구로서 시민과학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2022년부터 주민역량강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습지보호지역 3개소(광주광역시 장록, 경남 고성 마동호, 고창 인천강하구 습지보호지역)를 대상으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민과학연구 방법은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전·이용·관리 목표에 근거하여 습지보호지역의 이해당사자와 그들의 주요 관심사 및 정보수요 파악 후, 각 주체별 정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성과물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시민과학자를 포함한 이해당사자에게 연구 성과를 환류 및 확산하는 절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방법론을 적용하여 3개 습지보호지역에서 생태계 모니터링(생태계교란 식물 등 식물 모니터링, 육상곤충 및 포유류 흔적 조사, 신규 습지 발굴)을 실시하고 식물 16종, 육상곤충 43종,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 수달, II급 삵을 포함한 포유류 5종의 서식현황 정보를 취득하였다. 시민과학자들이 수집한 모니터링 정보를 활용하여 생태계교란 식물 분포지도 제작 후 소관 환경청 및 지자체에 관리 근거자료로 제공하여 시민과학연구의 정책 활용성을 제고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민과학연구 방법론이 습지보호지역의 보전관리 도구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시민과학연구 자료 축적, 정책수요에 부합하는 연구 성과의 도출과 함께 성과물의 정책 활용성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검토가 면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xtracts from the Red Algae Gracilaria vermiculophylla have Antioxidant Effects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 Jeong, Sin-Gu;Lee, Jae-Joon;Kim, Ho-Tae;Ahn, Min-Ji;Son, Hee-Kyoung;Lee, Jun Sik;Oh, Won Keun;Cho, Tae Oh;Cho, Goang-Wo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69-75
    • /
    • 2018
  • The red algae Gracilaria vermiculophylla is widely spread around seaside areas across the globe, and has been used as a food resource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Gracilaria red algae extracts have beneficial antihypercholesterolemic,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Gracilaria vermiculophylla extracts (GV-Ex) o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 The acetone and DMSO/ethanol solvents of the tested GV contain higher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ic contents that can strongly scaveng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e-treatment with GV-Ex protected hBM-MSCs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treatment. The protective effects of GV-Ex treatment were confirmed by MTT assay. The elevated levels of ROS in hBM-MSCs caused by hydrogen peroxide induced oxidative stre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GV extract treatment. The levels of the antioxidant proteins superoxide dismutase 1 (SOD1), superoxide dismutase 2 (SOD2), and catalase (CAT) were also restored or protected by GV-Ex treatment, suggesting that GV extracts moderate excess ROS levels and prevent cells from oxidative damage.

남해연안 골프장조성에 따른 해양환경영향평가 개선방안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Golf Course Projects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 김귀영;이대인;유준;엄기혁;전경암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5호
    • /
    • pp.453-464
    • /
    • 2010
  • We evaluat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golf course development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t's adjacent waters supports nursery and fishing grounds for commercially-important fisheries species, and various sites are designated and protected as marine protection area(MPA), fisheries reserve, or clean area(blue belt) for producing shellfish. We proposed key assessment item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nd checklists in selecting golf course locations. For the protected areas, we suggest that it is essential to limit golf course establishment while setting a minimal distance from the coast to secure a buffer zone for mitig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To efficiently utilize existing regional coastal management plan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how a golf course development will potentially modify geomorphology and scenery, amplify pollutant loads from non-point sources, and disrupt the functions of coastal ecosystem. Especially, continued monitoring and assesssing input loads of hazardous materials originating from agricultural chemicals should be obligatory. Finally, measures for improving the QA/QC analysis were discussed to enhance reliability of environmental data with respect to golf courses and adjacent coastal waters.

고창 운곡습지의 식물군락 다양성과 분포 특성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on the Ungok Wetland in Gochang)

  • 김종원;이승은;류태복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295-304
    • /
    • 2017
  • 습지보호지역인 전북 고창 운곡습지의 현존식생에 대한 군락분류와 군락분포를 규명하였다.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국제식생명명규약에 따라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명명하였다. 서식처 기반의 식생 다양성은 침수식생으로부터 연목림식생에 이르기까지 7가지 상관식생형에서 총 88분류군으로 이루어진 12가지 단위식생이 분류되었다: 버드나무-골풀군락, 선버들-이삭사초군집, 달뿌리풀-갈퀴덩굴군락, 갈대군집, 매자기군집, 애기부들-나도겨풀군락, 골풀-별날개골풀군락, 나도겨풀군집, 마름-어리연꽃군집 (전형아군집과 네가래아군집(신칭), 가시연꽃변군집 포함), 연꽃군락, 참통발군락, 말즘군집. 축척 1 : 5,000의 지형도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 공간분포를 기재하였다. 산간 선상지 습지를 포함한 배후습지와 원수대식생역의 서식처-단위식생 대응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운곡습지 생태 관리의 바탕 정보를 제공한다.

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GIS기반의 제내지 홍수범람해석 (GIS Based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Protected Lowland Considering the Affection of Structure)

  • 최승용;한건연;조완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수년간 발생한 홍수피해 원인의 대부분이 하천 제방의 붕괴와 관계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제방의 월류 및 붕괴특성을 고려하여 붕괴유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라 발생한 홍수파로 인해 제내지에서의 침수위, 침수시간, 침수범위 등을 예측하고 피해예상 규모를 산정하는데 있다. 붕괴유량 산정을 위해서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기본 GIS자료를 이용하여 수문매개 변수를 추출하고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제내지 내의 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범람을 실시하여 제내지에서의 범람 홍수파의 전파특성을 정확히 예측하고 제내지의 시간별 침수구역의 예측, 홍수위험강도의 산정 등을 통하여 수방 및 홍수피해 경감대책 수립의 판단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