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ed area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22초

공유수면 인공구조물 설치에 따른 해역이용협의서 작성실태 평가 (Assessment of Documentation Status of the Statement on the Sea Area Utilization according to Artificial Structure Installation in Public Water)

  • 엄기혁;이대인;김귀영;윤성순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3호
    • /
    • pp.265-276
    • /
    • 2013
  • This study assessed documentation status of each environmental assessment items by analyzing the 243 case of marine EIS on the Consultation System of Sea Area Utilization. Observed rate of tidal elevation, current, temperature, salinity in maine environment were below 20%. The EFDC tool is applied substantially in hydrodynamic modeling. The verification process, however, is very insufficient using the recent observed data. Also, in-situ assessment rate of pelagic organism such as phytoplankton was below 50%, and assessment for Chlorophyll a was not accomplished. Ecological index evaluation for zooplankton and benthic ecosystem were not considered in statements. Especially, the rational assessment on the fisheries resources and protected species were very limited. It was necessary that the core assessment items (checklists) were established for environmental scoping. Furthermore, sugges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development, regional coastal management plan, aquaculture farms, and facilities were enhanced. The redundancy problem of proceedings betwee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ea Area Utilization Assessment System was improved.

THE APPLICATION OF PSA TECHNIQUES TO THE VITAL AREA IDENTIFIC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 HA JAEJOO;JUNG WOO SIK;PARK CHANG-KU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59-264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vital area identification (VAI) method based on the current fault tree analysis (FTA) and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 techniques for the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 structured framework of a top event prevention set analysis (TEPA) application to the VAI of nuclear power plants is also delineated.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for physical protection in a nuclear power plant is VAI that is a process for identifying areas containing nuclear materials, structures, systems or components (SSCs) to be protected from sabotage, which could directly or indirectly lead to core damage and unacceptable radiological consequences. A software VIP (Vital area Identification Package based on the PSA method) is being developed by KAERI for the VAI of nuclear power plants. Furthermore, the KAERI fault tree solver FTREX (Fault Tree Reliability Evaluation eXpert) is specialized for the VIP to generate the candidates of the vital areas. FTREX can generate numerous MCSs for a huge fault tree with the lowest truncation limit and all possible prevention sets.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토지 매수 우선순위 산정 - 깃대종 서식지 적합성 지수를 고려하여 - (Prioritizing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

  • 심윤진;홍진표;이길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7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ioritize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by reflec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considering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lagship species, Oriental White Stork and Been Goose, which can represent the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were selected through selection criteria and expert feedback. Based on the habitat requirements of the selected flagship species, SI(Suitability Index) for the flagship species was reviewed and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was assess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from very high to very low. The area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were mainly distributed around wetlands and water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The land purchase prior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ades by overlapping the thematic maps of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the economics, and the urgency of restoration. The arable lands which can disrupt wetland ecosystems are analyzed as priority areas where priority purchasing is required. Relatively well-preserved wetlands and areas have low land purchase prior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iodiversity is considered in land purchase priorities.

하시동·안인사구의 생물다양성 보전 위협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Threat Factors of Biodiversity on Hasidong Anin Coastal Dune)

  • 이은혜;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9-114
    • /
    • 2021
  • We examined a current status of damage in biodiversity and its causing factors in Hasidong Anin coastal dune, Gangneung-si, Gangwon province which is designated as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n this study, we found that ecosystem and biodiversity have been primarily damaged by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surrounding area, military facilities illegally dumped garbage and the expansion of windbreak forest. These factors occur to damage the landscape, ecosystem and biodiversity etc.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basic data needed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due to the lack of prior research and value assessment. In order to establish solutions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it is critical to collect fundamental data and implement value assessments. Therefore, further studies such as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increasing biodiversity, spatial analysis and monitoring of various items related to coastal dunes are needed.

자연공원내(自然公園內)의 휴양적(休養的) 이용(利用)에 따른 생태계훼손(生態系毁損)의 회복방안(恢復方案)에 대(對)한 고찰(考察) (Restoration Strategies on Deteriorated Ecosystem due to Recreational Use in Nature Parks in Korea)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69-378
    • /
    • 1991
  • 우리나라의 주요한 법정(法定) 자연보호지역(自然保護地域)은 자연공원(自然公園), 천연보호구역(天然保護區域), 자연생태계보전구역(自然生態系保全區域), 생물권보전지역(生物圈保全地域), 천연보호림(天然保護林), 조수보호구(鳥獸保護區) 등으로 전산림면적(全山林面積)의 약 18%(1,124,000ha)에 이르고 있다. 이중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국립공원(國立公園)의 경우 연간 방문자 수가 33,000,000명에 달해 자연환경훼손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등산로와 야영장의 보호를 위하여 공원내의 취사금지(炊事禁止)와 자연휴식년제(自然休息年制)를 도입, 운용하게 되었다. 취사금지가 공원내 고형쓰레기의 대부분인 취사찌꺼기 근절을 위한 것인 반면, 자연휴식년제는 피해지역의 자연생태적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후자(後者)의 도입에 따라 전국 27개산 47개등산로의 이용이 1991년 1월부터 3년간 금지된다. 자연휴식년제의 운용은 현재의 심각한 피해상태에 비추어 적절한 정책으로 평가될 수 있으나 지정지역(指定地域)의 선정(選定), 폐쇄기간(閉鎖期間) 및 방법(方法) 등의 결정을 뒷받침할 과학적 조사연구자료에 기인하지 않은 의사결정의 결과라는 데에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은 국내의 기존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정책운용에 따르는 문제점과 이의 대안을 제시한다.

  • PDF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수준이 멜론의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rtilization Level by Soil Testing on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Melon (Cucumis melo L.))

  • 황미란;김희은;권준국;조명환;최효길;강남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2-166
    • /
    • 2013
  • 토양검정 후 시비수준이 멜론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천 시비량을 줄이면 엽면적과 과실 무게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면적은 추천시비량의 100% 시비구에 비해 0%와 50% 시비구에서 각각 54.1%와 24.5% 감소하였다. 과실무게는 추천 시비량의 100% 시비구에서 2670g인데 비해 0과 50% 시비구에서 각각 1650g과 2140g으로 38.2%와 19.9% 감소 하였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과 자당 함량은 100% 시비구에 비해 50% 시비구에서는 각각 1.8%와 23.3% 증가하였다. 따라서 멜론 재배시 토양검정 후 추천 시비량의 50%만 시비하여도 엽수, 초장 및 엽면적 등의 생육과 평균과중에 감소가 없어 당도가 높은 멜론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비량을 줄임으로써 염류집적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설원예 태양열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과 자동화 장치개발(2) -지중가온에 의한 오이 생육 및 수량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and a way to use Solar Energy System Efficiently in Greenhouse(2) - Study on improvement of growth and yield of a cucumber in soil heating -)

  • 김진현;오중열;구건효;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3
    • /
    • 1998
  • 겨울철 오이 시설재배에서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한 지중가온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지중 40 cm에 15 mm의 PPC파이프를 130 cm이랑 에 4열 매설한 후 지중 20 cm의 지온을 $22~23^{\circ}C$로 설정한 후 1996년 11월 7일부터 1997년 1월 30일까지 일정한 온도로 유지, 관리하여 무가온구와 가온구의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을 비교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중가온에 의한 지온확보는 가온구는 15~20 cm에서 $22^{\circ}C$ 정도의 평균온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무가온구는 평균 $17~18^{\circ}C$ 정도였다 2) 정식 30일 정도에서 초기생육은 가온구가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등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장 27%, 엽수 51%, 엽면적은 150% 정도 증가하였다. 또 지상부 평균 증가율도 관행대비 가온구 증가율이 117% 정도였다. 3) 가온구의 지하부 뿌리의 생장성이 관행구에 비하여 평균 56% 정도 증가하였다 4) 과수의 수량면에서도 총과수가 무가온구 313개, 가온구 614개로 가온구가 196% 정도 증수되었다.

  • PDF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Island Biogeography and Habitat Fragmentation Theory to the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 김용식;마이클모운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24
    • /
    • 1992
  • 우리나라에 있는 보호지역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 접근방법으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최근 생물적 다양성의 파괴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보호지역내 자연 서식처에 대한 적절하고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제반 검토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식물상은 주로 인간의 간섭에 의해 계속 변화할 것이다. 다양한 내용의 위협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이의 바람직한 해결을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동, 식물상 또는 집단이나 종 등의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서식처, 종 및 집단의 관리에 대한 위협의 종류, 유효성과 잠재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전략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및 주연부효과 이론 등의 적용은 현존의 서식처 패치에 대한 격리 및 분획화등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용이하게 해주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근방법은 우리나라 식물상의 분포특성 및 현상에 대한 제반 지식에 기초를 둔 식물의 보존책의 하나로 이는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적용을 기초로 하여 최소활성화집단의 규모 등의 개념 도입은 식물과 서식처 보존의 보다 바람직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한 방법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서울시 구간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Physical Structure of Hangang(Riv.) in Seoul City Area)

  • 홍석환;염정헌;한봉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3-408
    • /
    • 2017
  • 본 연구는 물새의 주요서식지인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특성에 대한 시계열적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물새서식지 복원 등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한강 전체 497.5km 중 서울 시내를 관통하는 구간인 상류부 팔당대교에서부터 하류부 행주대교까지 총 41.5km을 대상으로 하였고, 1975년을 기준하여 한강의 제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토지이용분석결과, 1975년에는 퇴적지(22.7%), 수면(20.7%)을 포함하여 주변으로 시가화지역(16.9%), 밭(16.2%), 논(15.9%)이 주요 유형이었는데, 이후 대부분 지역의 토지이용을 위해 하천권역 내부로 간선도로가 조성되었고 수면 확대를 위해 수중보가 건설되면서 1985년에는 하천의 역할을 상실한 제내지(51.7%)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수면(32.8%)의 증가 또한 두드러졌으며, 제방의 축조와 수중보 조성 이후에는 토지이용의 급격한 변화보다는 조금씩 이용지역의 면적이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자연지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005년에는 제내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57.7%까지 증가하였으며 수면은 33.3%로 증가하였다. 호안길이는 2005년 기준 1975년 대비 10.9% 감소하였으며, 자연호안의 길이는 91.5% 감소하였다. 반면 수심은 1.46m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30년간의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의 흐름을 종합하면 1980년대 이전까지는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한 수변구역의 축소와 수면부의 확장이 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호안의 인공화가 주로 진행된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식처 측면에서 한강은 과거 다양한 서식환경을 유지하던 곳에서, 현재는 소수 물새류를 위한 단순한 서식지로 변화되어 서식처 다양성을 위한 적극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춘선 숲길의 조류 서식환경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Bird Habitat Environment in Gyeongchun Line Forest Road)

  • 김미후;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67-18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f Linear Park. To this end, after grasping the status of bird habitats on the Gyeongchun Line Forest Road, a representative linear park in Seoul, the habitat environment was evalua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ird habitat was analyz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the habitat environment. The results for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 of birds and habitat environment were as follows. For the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the order of positive correlation was in the order of park area (0.92), number of insect species (0.87), green area ratio (0.77), average width of linear park (0.74), Biotope area ratio (0.73), Immigration planted species (0.57). Also, for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the bird diversity was influenced in the order of area outside the park (0.88), green area ratio of the park (0.76).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diversity of birds found in the park,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inside the park needs to expand the park area, secure insect diversity, enhance green area ratio and ecological area ratio, expand the width of linear park, and lower the impermeable layer. For the bird habitat environment outside the park, wider area, green area ratio, and forest area of the park influenced on better bird habitation while lower ratio of road space and building-to-land ratio influenced on higher bird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habitable for various species of birds and to make a healthy and pleasant city urban system for co-existence of human and living cr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