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thesis reten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한 치료법 비교: 증례 보고 (Comparison of treatments for maxillary full denture and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한진원;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3-81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은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를 통해 충분한 안정, 지지 및 유지를 얻기 용이하지만, 하악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하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동반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공 전방에 4 - 5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하악의 의치를 고정해주는 하이브리드 형 고정성 총의치로 치료할 수 있고,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라면 다수 유닛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수술방식이나 사용하는 재료 등이 다양하게 변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총의치를 사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하악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의 증례를 중심으로 치료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임프란트 미세나사선이 주위골 수준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1년간의 전향적 비교 연구 (An 1 year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evaluating the effect of microthread on the maintenance of marginal bone level)

  • 신동환;조규성;박광호;문익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349-358
    • /
    • 2003
  • The success of dental implant therapy relies mainly upon the presence and maintenance of bone adjacent to implant. An 1-year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upon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chronic adult periodontitis, and had been treated with dental im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radiographic bone level changes proximal to Astra Tech Single Tooth Implants (ATST, Astra Tech AB, $M{\"{o}}lndal$, Sweden) with microthread and Astra Tech TiOblast Implant (ATTB) without microthread supporting fixed partial prosthesis. Measurements were used to determine mean marginal bone loss during the first year of loading, 17 subjects with its partial prosthesis supported by 37 implants were followed up for an 1-year period. The marginal bone loss of impla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tention factor, microthread($Microthread^{TM}$) in crestal area of AT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marginal bone loss of ATST was 0.226${\pm}$0.395mm, while ATTB was 0.440${\pm}$0.360m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p<0.05). 2. The mean bone loss of the upper jaw fixtures was 0.269${\pm}$0.265mm for ATST and 0.529${\pm}$0.417mm for ATTB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p<0.05). In the lower jaw the corresponding figures were 0.167${\pm}$0.231mm and 0.313${\pm}$0.214mm,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p>0.05). 3. The mean bone loss of ATST was lower than that of ATTB at all sites according to bone qual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ST and ATTB at bone quality type III(p <0.05). In conclusion, the mean bone loss of ATST was smaller than that of ATTB . Therefore, the retention factor of crestal area, microthread ($Microthread^{TM}$) was effective to maintenance of marginal bone level around fixture.

상악절제술로 인한 경구개 결손 환자에서의 closed hollow obturator 제작 증례 (Fabrication of closed hollow obturator for hard palate defect patient undergone maxillectomy)

  • 장우형;임현필;윤귀덕;박찬;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0-34
    • /
    • 2020
  • 경구개, 상악동, 또는 협측 점막이나 비강에 존재하는 종양이 생긴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악 절제술을 행한다. 종양의 크기나 범위에 따라서 그 절제 부위는 달라지며, 이로 인해 해부학적 경계가 없어지기도 하며 발음 장애나 연하 장애가 발생한다. 이렇게 해부학적 구조가 결손되거나 개방된 경우, 이 때 발생한 공간을 닫고 결손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폐색장치(Obturator)를 착용한다. 폐색장치를 성공적으로 재건하는 것은 굉장히 까다로운 작업이다. 폐색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치아의 상태와 수, 남아있는 지지 영역 그리고 결손 부위의 범위나 정도 등이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요소들이 불리하다면 보철물 제작 시 그 예후는 불확실하다. 완성된 폐색장치는 환자의 구강 내에서 충분한 유지력을 지녀야 하며, 동시에 절제술을 시행한 주변 조직과 지지 영역에 자극을 주어선 안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환으로 광범위한 상악 절제술을 시행하여 소수의 잔존치아만이 남았고, 상악 보철물 제작 시 유지력이 불리할 것으로 보였다. 이에 무게를 감소시킨 hollow한 폐쇄형 폐색장치(Closed hollow obturator)를 제작하였고, 결과적으로 보다 나은 밀폐 효과와 적응도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구치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재료에 따른 생존율, 성공률 및 합병증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survival, success rate and complic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according to the materials in the posterior area)

  • 채현석;왕원곤;이정진;송광엽;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42-349
    • /
    • 2019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구치부 영역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 보철물의 재료에 따른 생존율과 성공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의 양상을 관찰하고 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8년 6월 사이에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에서 한 명의 보철전문의에 의해 구치부 임플란트 보철 수복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료기록을 통해 환자의 성별, 연령, 보철물의 재료, 위치, 유형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생존율 및 성공률 분석을 위해 Kaplan-Meier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집단간 비교를 위해 Log-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여 위험요소가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5명의 환자에서 364개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관찰되었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7.1개월이었다. 전체 임플란트 보철물의 3년, 5년 누적생존율은 각각 97.5%, 91.0%로 관찰되었으며, 총 5개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실패하여 제거되었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3년, 5년 누적성공률은 각각 61.1%, 32.9%로 관찰되었으며, 재료, 성별, 연령, 보철물의 위치, 유형은 누적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 > .05). 합병증은 인접면 접촉 상실 (53건), 유지력 상실 (17건),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12건), 저위교합 (4건)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결론: 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높은 누적생존율을 고려할 때, 임플란트는 수복 재료와 상관없이 구치부에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합병증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와 필요한 경우 수리 및 조정이 매우 중요하다.

치주질환에 이환된 소수 잔존치를 가지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상악 혼성 이중관 의치를 이용한 수복증례 (Treatment of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with few remaining posterior teeth using hybrid telescopic crown denture)

  • 박진욱;조진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84-290
    • /
    • 2017
  • 구순구개열 환자에게 가철성 보철치료는 중요한 치료 선택 중 하나이다.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기능적 및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보철 치료법에서 약간의 수정이 필요할 수 있는데, 치주 질환에 이환되어 있으며 소수의 구치만 잔존해 있는 구개열 환자의 경우 이중관에 연결된 가철성 보철이 치료 선택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중관이 가철성 국소의치에 연결되면 보철적 안정성과 유지를 증가시키고 치아 장축에 유리한 힘 전달을 최적화하며 심미성도 향상시킨다. 그리고 이중관 의치의 횡단치열궁안정(cross arch stabilization)은 구순구개열 환자의 갈라진 치조제의 안정화에도 도움을 준다. 본 증례는 성인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마찰핀(friction pin)을 사용한 혼성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유지 및 안정성과 함께 심미성도 향상시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다.

A comparison of retentive strength of implant cement depending on various methods of removing provisional cement from implant abutment

  • Keum, Eun-Cheol;Shin, Soo-Ye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3호
    • /
    • pp.234-24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methods for removing provisional cement from implant abutments, and what effect these methods have on the retention of prosthesis during the definitive ceme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ty implant fixture analogues and abutments were embedded in resin blocks. Forty cast crowns were fabricated and divided into 4 groups each containing 10 implants. Group A was cemented directly with the definitive cement (Cem-Implant). The remainder were cemented with provisional cement (Temp-Bond NE),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leaning the abutments. Group B used a plastic curette and wet gauze, Group C used a rubber cup and pumice, and Group D used an airborne particle abrasion technique. The abutments were observed using a stereomicroscope after removing the provisional cement.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measured after the definitive cement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alpha}$=.05). RESULTS. Group B clearly showed provisional cement remaining, whereas the other groups showed almost no cement. Groups A and B showed a relatively smooth surface. More roughness was observed in Group C, and apparent roughness was noted in Group D. The tensile bond strength tests revealed Group D to have significantly the highest tensile bond strength followed in order by Groups C, A and B. CONCLUSION. A plastic curette and wet gauze alone cannot effectively remove the residual provisional cement on the abutment. The definitive retention increased when the abutments were treated with rubber cup/pumice or airborne particle abraded to remove the provisional cement.

파킨슨 병을 가진 환자의 상악 마그네틱 피개의치 및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Overdentures of the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A case report)

  • 민병귀;신은정;방몽숙;양홍서;박상원;윤귀덕;임현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52-358
    • /
    • 2015
  • 파킨슨 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총의치는 혀와 입술의 불수의적 운동으로 인해 유지와 안정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제한된 수의 운동으로 인해 피개의치의 장착에 어려움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증례는 파킨슨병을 가진 상,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에서는 잔존치근을 이용한 magnetic attachment와 하악에서는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Locator^{(R)}$ attachment를 통해 유지와 안정을 증진시킨 피개의치 수복증례로서, 기능적으로 개선된 보철물을 제작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편측 의수 사용 환자에서 Milled Bar와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재수복 증례 (Retreatment of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ttachment in a patient using a unilateral prosthetic arm: A case report)

  • 박소형;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87-194
    • /
    • 2022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보철 수복 치료에서 잔존 치조제의 흡수가 심한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하면 부가적인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평가 없이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면 생역학적, 기능적, 심미적으로 불리한 치료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개인치과의원에서 상·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으나 연조직 통증 및 기존 의치 유지력 저하로 재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진단 결과 기존 의치의 수직고경이 다소 낮게 설정되어 있어 이를 거상하고, milled bar와 부가적인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증진된 구강위생과 기능적,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내부연결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 후 성공률에 미치는 위험요소에 관한 10년간의 후향적 연구 (A 10-year retrospective study on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s after prosthetic restoration)

  • 이서인;김민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13-124
    • /
    • 202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종류 및 특성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성공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에서 2011~2020년에 식립한 임플란트 중 한 명의 보철전문의에 의해 수복된 사례에 대하여 그 특성과 실패에 대한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실패의 원인은 골유착 실패, 임플란트주위염, 고정체 파절,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보철물 파절, 보철물 유지력 상실 등으로 분류했다. 보철방식, 캔틸레버 여부, 식립 위치 등과 임플란트 실패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결과 분석은 SPSS ver 25.0 (IBM,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Kaplan-Meier 생존분석 등을 통하여 도출했다. 결과: 총 2587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그 중 1141개의 임플란트가 단일관(Single Crown)으로, 1446개의 임플란트가 고정성 국소의치(Fixed Partial Denture)로 수복되었고 누적생존율은 88.1%이었다. SC의 성공률은 86.2% (984개), FPD의 성공률은 89.6% (1295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요인은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등이었다 (P < .05). 결론: 10년간의 추적조사 결과 생물학적인 요인보다는 생역학적인 요인으로 인한 실패가 더 많이 발생했고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보철방식 별로 상이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상이했다. 추후 임플란트의 성공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를 이용한 심미적 상악 전치부 수복 증례 (An Esthetic Restoration of the Missing Maxillary Anterior Teeth with the Rotational Path RPD: A Case Report)

  • 이지혜;임소민;정혜은;박찬진;조리라;김대곤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09-222
    • /
    • 2011
  • 상실된 상악 전치부는 고정성 보철물이나 가철성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보철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복할 수 있다. 이 중 적절하게 제작된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는 경제적, 해부학적 한계를 가진 환자에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는 일반적 국소의치의 일직선 삽입로와는 달리 국소의치의 한 쪽 유지장치부가 먼저 장착된 뒤 회전하면서 반대쪽의 유지부가 삽입되어 의치가 안착된다. 이 때 언더컷 속에 위치하는 견고한 부연결장치에서 유지력을 획득하고 회전삽입로와 평행하게 긴 수로형 혹은 구미형(dovetail) 레스트 시트에서 지지 및 파지를 얻으므로 일반적인 가요성 유지암 및 파지암을 생략할 수 있어 심미적으로 우수하고 위생 관리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회전삽입로 국소의치에서 한번 제작된 견고한 유지부는 정교한 조절이 불가능해 상대적으로 기공작업이 어렵고 정밀한 보철물 디자인이 필요하므로 임상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회전삽입로 국소의치의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번 증례보고는 회전삽입로 국소의치를 장착한 후 장기적인 유지관리의 어려움을 겪은 증례를 소개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이론적, 기공적 주의사항을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