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clinical evaluation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9초

Management of Enteral Nutrition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rokinetic Effects of Amoxicillin/Clavulanate in Real Life Conditions

  • Chiusolo, Fabrizio;Capriati, Teresa;Erba, Ilaria;Bianchi, Roberto;Atti, Marta Luisa Ciofi degli;Picardo, Sergio;Diamanti, Antonell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6호
    • /
    • pp.521-530
    • /
    • 2020
  • Purpose: Malnutrition is a common feature in critically ill children. Enteral nutrition (EN) is the main strategy to nutritionally support critical ill children, but its use can be hindered by the development of intolerance.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moxicillin/clavulanate (A/C) to treat EN intolera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patients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from October 2018 to October 2019.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in the first 6 months (October 2018-April 2019) we implemented the nutritional protocol of our Institution with no drug, whereas in the second half (May 2019-October 2019) we employed A/C for 1 week at a dose of 10 mg/kg twice daily. Results: Twelve cases were compared with 12 controls. At the final evaluation, enteral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baseline in the cases (from 2.1±3.7 to 66.1±27.4% of requirement, p=0.0001 by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test) but not in the controls (from 0.2±0.8 to 6.0±14.1% of the requirement, p=NS). Final gastric residual volume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ses than in the controls (p=0.0398). The drug was well tolerated as shown by the similar safety outcomes in both cases and controls. Conclusion: Malnutrition exposes critically ill children to several complications that affect the severity of disease course,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all may be prevented by early EN. The development of intolerance to EN could be addressed with the use of A/C. Future prospective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conclusions.

임플란트 식립 후 초기 안정성의 변화 (Initial Changes of Implant Stability from Installation during Early Bone Healing)

  • 박찬진;김대곤;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72-279
    • /
    • 2013
  • 골치유 기간 중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미세동요가 발생하게 되면 임플란트의 골유착이 방해받게 되므로 임플란트 식립 후 초기 골반응에 관해 임플란트 안정성은 하나의 지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 후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초기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를 추적하여 골치유 양상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총 26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30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악골에 1회법으로 식립 직후 1주 간격으로 12주간 공진주파수분석을 시행하여 초기 안정성의 변화를 구하였으며 식립 직후와 1개월 간격으로 변연골 흡수 정도를 방사선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식립 직후와 각 치유기간 동안의 ISQ값 비교에서 식립 4주에서 6주사이에 골질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나(P<0.05), 6주 이후에는 골질군 간에는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P>0.05). 방사선학적 검사에서는 변연골의 차이가 관찰기간내에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P>0.05). 임플란트 식립 후 초기 골치유과정은 골흡수과정에 연속적인 과정으로 4주 이후 바람직한 골치유과정이 진행됨을 공진주파수분석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Effect of a Proton Pump Inhibitor on Tumor Bleeding Prevention in Unresectable Gastric Cancer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 Kim, Young-Il;Kim, Mi-Jung;Park, Sook Ryun;Kim, Hark Kyun;Cho, Soo-Jeong;Lee, Jong Yeul;Kim, Chan Gyoo;Kim, Gwang Ha;Park, Moo In;Nam, Byung-Ho;Park, Young Iee;Choi, Il Ju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7권2호
    • /
    • pp.120-131
    • /
    • 2017
  • Purpose: Tumor bleeding is a major complication in inoperable gastric cancer. The study aim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ton pump inhibitor (PPI) treatment for the prevention of gastric tumor bleeding.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Patients with inoperable gastric cancer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oral lansoprazole (30 mg) or placebo daily.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occurrence of tumor bleeding, and the secondary endpoints were transfusion requirement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This study initially planned to enroll 394 patients, but prematurely ended due to low recruitment rate. Overall, 127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64 in the lansoprazole group and 63 in the placebo group. During the median follow-up of 6.4 months, tumor bleeding rates were 7.8% and 9.5%, in the lansoprazole and placebo groups, respectively, with the cumulative bleeding incidenc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515, Gray's test). However, during the initial 4 months, 4 placebo-treated patients developed tumor bleeding, whereas there were no bleeding events in the lansoprazole-treated patients (P=0.041, Gray's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required transfusion between the groups. The OS between the lansoprazole (11.7 months) and the placebo (11.0 months)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0.610). Study drug-related serious adverse event or bleeding-related death did not occur. Conclusions: Treating patients with inoperable gastric cancer with lansoprazole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incidence of tumor bleeding.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whether lansoprazole can prevent tumor bleeding during earlier phases of chemotherapy (ClinicalTrial.gov, identifier No. NCT02150447).

잡견에서 조영제 혈관외유출 예방을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 기반의 EDA 시스템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Dogs of Preventive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with a Strain Gage Based Prototype Extravasation Detection Accessory System)

  • 권대철;유병규;이종석;조문선;양성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6-72
    • /
    • 2008
  • The major risk associated with the use of automated power injectors is the well known complication of contrast material extravasation at the injection site. Automated injection of computed tomography (CT) contrast media can produce the compartment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bility of this device during clinically important episodes of extravasation. The extravasation detection accessory (EDA) system was composed of a strain gage, an amplifier and a computer based system. A strain gage pliable adhesive patch was applied to the skin aver the intravenous catheter and the catheter was connected to the power injector with a cable to monitor the resolution data. If the programmed monitoring, which was developed with MS Visual C++, at the extravasation occurred, then the injection was interrupted the auto injector. CT was used to demonstrate the clinically important extravasation.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 which the EDA system was used to monitor the automated mechanical injection of contrast material in 7 dogs. There were two true-positive cases (range of extravasation volumes: $18{\sim}22ml$), twenty three true-negative cases, three false-positive cases and no false-negative cases. The EDA system had a sensitivity of 100% and a specificity of 88% for the detection of clinically important extravasation. The EDA system had good sensitivity for the detection of clinically important extravasation and the EDA system has the clinical potential for the early detection of extravasation of the contrast medium that is administered with power injectors. The EDA system is easy to use safe and accurate for the monitoring extravasation of the intravenous injections, and this system may prove especially useful in CT applications.

컴퓨터 단층 촬영 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심하복벽 혈관과 천공지의 박리 용이성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of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Courses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Incide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 이연훈;김성찬;엄진섭;김은기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281-289
    • /
    • 2018
  • 목적: 우리는 미세혈관 유방 재건술 수술 계획에 참고하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심하복벽혈관과 천공지의 주행을 세부 유형으로 나누어 보고 영상 및 임상 소견의 상관성과 각 유형의 빈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하복부 조직을 이용한 유방 재건을 받은 연속한 115명의 환자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심하복벽동맥과 천공지를 주로 근육 내 주행의 특징에 따라 박리하기 용이한 것과 박리에 곤란한 것으로 특징짓고 각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확인된 425개의 천공지 중 89개(20.9%)의 천공지는 박리에 용이한 주행을 하였으며 긴 근육 아래 주행(34.8%), 긴 근막 아래 주행(15.6%), 근육 주위 주행(13.9%)이 그에 속하였다. 반면 심하복벽동맥이 없거나 적절한 천공지가 조영되지 않는 경우가 3예와 8예에서 보고되었다. 총 65명(56.5%)의 환자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박리가 용이한 천공지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수술 전 CT 혈관 조영술을 통하여 심하복벽동맥과 천공지의 주행을 분석하여 박리에 용이한 유형과 곤란한 유형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수술 계획의 수립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Reduction of Radiation Dose to Eye Lens in Cerebral 3D Rotational Angiography Using Head Off-Centering by Table Height Adjustment: A Prospective Study

  • Jae-Chan Ryu;Jong-Tae Yoon;Byung Jun Kim;Mi Hyeon Kim;Eun Ji Moon;Pae Sun Suh;Yun Hwa Roh;Hye Hyeon Moon;Boseong Kwon;Deok Hee Lee;Yunsun So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7호
    • /
    • pp.681-689
    • /
    • 2023
  • Objective: Three-dimensional rotational angiography (3D-RA) is increasingly used for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s (IAs); however, radiation exposure to the lens is a concer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ad off-centering by adjusting table height on the lens dose during 3D-RA and its feasibility in patient ex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 of head off-centering during 3D-RA on the lens radiation dose at various table heights was investigated using a RANDO head phantom (Alderson Research Labs). We prospectively enrolled 20 patients (58.0 ± 9.4 years) with IA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bilateral 3D-RA. In all patients' 3D-RA, the lens dose-reduction protocol involving elevation of the examination table was applied to on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conventional protocol was applied to the other. The lens dose was measured using photoluminescent glass dosimeters (GD-352M, AGC Techno Glass Co., LTD), and radiation dose metric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protocols. Image quality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source images for image nois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Additionally, three reviewers qualitatively assessed the image quality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Results: The phantom study showed that the lens dose was reduced by an average of 38% per 1 cm increase in table height. In the patient study, the dose-reduction protocol (elevating the table height by an average of 2.3 cm) led to an 83% reduction in the median dose from 4.65 mGy to 0.79 mGy (P < 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ose-reduction and conventional protocols in the kerma area product (7.34 vs. 7.40 Gy·cm2, P = 0.892), air kerma (75.7 vs. 75.1 mGy, P = 0.872), and image quality. Conclusion: The lens radiation dos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able height adjustment during 3D-RA. Intentional head off-centering by elevation of the table is a simple and effective way to reduce the lens dose in clinical practice.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저하 (Hypothyroidism Following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박인규;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25-231
    • /
    • 1997
  • 목적 :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갑상선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9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경부암 환자 중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7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32세부터 73세였고, 중간값은 58세였으며, 여자 12예, 남자 59예였다. 원발 병소부위는 후두가 34예로 가장 많았고, 구강 12예, 구인두 1예, 하인두 13예, 상악동 2예, 타액선 3예, 근원 불명 전이성 경부암 6예였다. 전후두절 제술 및 경부곽청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45예였고, 경부곽청수술만 시행한 환자는 26예였다. 모든 환자에 대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방사선치료 후에 정기적으로 임상검사 및 갑상선 기능검사 (T3, T4, free T4, TSH, antithyroglovulin antibody, antimicrosomal antibody)를 시행하였다. 방사선량은 40.6Gy에서 60Gy였고 중간값은 50Gy였으며 추적관찰 기간은 3개월에서 80개월이었다. 결과 : 갑상선 기능 이상의 빈도는 $56.3\%(40/71)$였다. 31예 $(43.7\%)$는 갑상선 기능이 정상이었고 7예 $(9.9\%)$는 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으며 33예 $(46.5\%)$는 준임상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결절, 악성종양은 발견되지 않았다. 경부곽청수술군보다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군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일찍 발생하였다(p<0.05).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준 위험인자는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P=0.0000)이었다.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군 45예 중 36예 $(80\%)$에서 갑상선 기능 이상이 발생하였으며 경부곽청수술군 26예 중 4예 $(15.4\%)$에서만이 갑상선 기능이상이 발생하였다. 결론 : 두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 후 갑상선 기능 이상은 비교적 흔한 합병증이며, 갑상선 기능 이상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후두절제술 및 경부곽청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었다. 갑상선 기능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 전 및 방사선치료 후에 정기적인 갑상선 기능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99m}Tc$-labelled HIG 스캔을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활막염증의 평가 :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과의 전향적인 비교 (Assessment of the Synovial Inflamm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with $^{99m}Tc$-labelled Polyclonal Human IgG(HIG): Prospective Comparison with Gadolinium Enhanced MRI)

  • 유영훈;이종두;서진석;박창윤;전평;나재범;이수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4-91
    • /
    • 1995
  • 지금까지 류마티스 관절염의 염증 정도의 평가를 위하여 많은 검사들이 사용되어져 왔다. $^{99m}Tc$-labelled HIG 스캔은 동물실험과 사람에서도 염증이나 감염병소에 집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99m}Tc$-labelled HIG 스캔을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활동성 염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을 구별해 보고자 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다른 임상인자와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과 비교해 보았다. 11명의 활동성 염증이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활동성 염증이 없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1명, 강직성 척수염 환자 2명 그리고 퇴행성관절염 환자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활동성 염증(active synovitis)은 ESR의 상당한 증가와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에서 조영증강을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99m}Tc$-labelled HIG를 정맥주사후 4시간후에 전신 및 국소영상을 얻었다. 섭취정도의 평가는 3명의 전문의에 의하여 3단계로 나누어 시각적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같이 시행하였다. 활동성 염증이 있는 11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중 10명에서 상당한 정도의 섭취증가를 보인 반면 활동성 염증이 없는 나머지 환자에서는 정상 또는 미미한 정도의 섭취증가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99m}Tc$-labelled HIG 스캔을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환된 관절들의 전반적인 국소화가 가능하였고 $^{99m}Tc$-labelled HIG의 섭취정도가 다른 임상적이나 자기공명영상의 활동성 염증을 시사하는 인자들과 잘 연관되었다. 결론적으로 $^{99m}Tc$-labelled HIG 스캔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 있어서 염증 정도를 평가해 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급.만성 기관지염 환자에서 엘도스$^{(R)}$(Erdosteine)의 임상효과 -염산 암브록솔과의 무작위 이중맹검 비교시험- (Clinical Efficacy of Erdosteine in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Bronchitis -A Randomized, Double Blind, Comparative Study vs. Ambroxol-)

  • 김석찬;이상학;송소향;김영균;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6호
    • /
    • pp.1296-1307
    • /
    • 1997
  • 연구배경 : Erdosteine은 만성 기관지염 급성 악화시는 물론 만성 폐색성 기관지염 치료제로 개발된 Thiol 유도체로서 점액조절작용, 항산화작용이 있으며, 특히 위장관 부작용이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효성 및 안전성이 입증되어 임상에서 많이 처방되고 있는 Ambroxol과의 비교임상연구를 통해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환자에서 Erdosteine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무작위 이중맹검 비교시험으로서 전향적 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급 만성 기관지염으로 다량의 객담배출 혹은 객담배출곤란을 주증상으로 하는 80명을 무작위로 할당하여 Erdosteine 투여군에는 1일 2회, 1회 300mg, Ambroxol 투여군에는 1일 2회, 1회 30mg을 총 7일간 투여하였다. 1차 효과평가기준으로는 객담배출횟수, 객담량, 객담배출용이도, 객담점도, 기침정도, 호흡곤란을 포함한 자각증상이 평가되었고, 2차 효과평가기준으로는 동맥혈가스검사, 폐기능검사가 평가되었다. 안전성은 부작용과 임상병리검사로 평가하였다. 총 80명의 환자 중 61명(Erdosteine군 : 31명, Ambroxol군 : 30명)이 본 연구를 종료하였고 19명은 중도 탈락되었다. 결과의 분석은 paired t-test, ANOVA test, multivariate t2-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 two sample t-test, Loglinear-Logit model analysis, Fisher's exact test를 이 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 과 : 1) 두 군간의 환자배정에 있어서 인구학적, 임상적 특징은 차이가 없었다. 2) 동맥혈가스검사, 폐기능검사에서는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고, 자각증상에서는 Erdosteine군은 객담 배출횟수, 객담량, 객담배출용이도, 객담점도, 기침정도, 호흡곤란에서, Ambroxol군은 객담배출횟수, 객담량, 객담배출용이도, 객담점도, 기침정도에서 유의하게 호전을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Erdosteine군이 Ambroxol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alpha$=0.05). 3) 혈액학적검사, 혈액화학적검사 및 소변검사에서는 각 군 모두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고 두 군간의 차이도 없었으며, 자각증상에서는 Ambroxol군에서만 4명이 연구 종료시까지 부작용이 소실되지 않았고 2명은 연구를 중단하였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4) 각 약제의 최종효과평가에서 Erdosteine군은 31명 중 아주좋은효과 11명, 좋은효과 12명, 경도효과 6명, 무효과 2명, 악화 0명이었고 Ambroxol군은 30명 중 아주좋은효과 6명, 좋은효과 14명, 경도 효과 5명, 무효과 4명, 악화 1명이었으며 Erdosteine군이 Ambroxol군에 비해 증상이 개선될 확률이 약 2.5배만큼 높았다 (p<0.05). 결 론 : Erdosteine은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 환자의 치료에 있어 그 효과와 안전성에 있어서 우수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위암수술 환자에서의 Critical Pathway의 개발과 적용 (Critical Pathway for Operable Gastric Cancer)

  • 송교영;김승남;박조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2호
    • /
    • pp.95-100
    • /
    • 2005
  • 목적: Critical pathway (CP)는 특정질환 표준화를 통해 적정한 진료 및 최소한의 표준진료를 행하여 진료의 질을 높이고 비용을 감소시켜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암수술 환자에서 CP를 개발 및 적용하고 이를 통해 치료결과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4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185명의 환자 중 타장기 원발암이 없고, 근치적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17예에서, CP를 적용한 26예와 동기간 동안 CP를 적용하지 않은 환자 91예의 임상적 특성, 수술 후 경과, 진료비용, 입원기간 및 환자 91예의 임상적 특성, 수술 후 경과, 진료비용, 임원기간 및 환자 만족도 등을 비교하여 위암수술에서 CP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CP를 개발하기 위하여 진료, 간호, 원무, 영양과 등이 참여하는 팀을 구성하여 외래검사 흐름도, 수술 전, 후 처방지, 경과기록 등을 표준화한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결과: CP환자 26명 중 1명은 십이지장 단단부 누출로, 1명은 술 후 위정체로 인한 장기 입원 및 재수술이 불가피 하여 제외되어 최종 분석된 환자는 24명이었다. 24명의 환자 중 8명에서 재원기간의 지연으로 인한 변이가 발생하였는데 6명은 환자가 자의적으로 퇴원을 거부하여 수술후 $1\∼2$일이 지연되었으며, 1명은 술 후 위정체로 2일 지연되었고, 1명은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 및 관찰기간이 필요하여 4일간 지연되어 변이율(variance rate)은 8/26 ($30.8\%$)였다. 평균 재원기간은 CPrns은 11.3일($10\∼15$일)이었고, Non-CP군은 17.5일($9\∼68$일)로 CPrns이 약 6일 짧았다(P<0.05), 술 후 평균 재원기간의 경우 CP군과 Non-CP군 각각 8.3일($7\∼12$일), 10.3일($7\~68$일)로 차이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양 군에서의 재원기간 중 총 진료비는 CP군이 평균 4,863,685원, Non-CP군이 평균 6,292,200원으로 CP군의 진료비가 낮았으나, 일당 진료비는 CP군은 430,414원, Non-CP군에서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05). 13가지 항목의 만족도 조사에서도 CP군이 Non-CP군에 비해 높았다(P<0.05). 결론: 저자들이 개발하여 위암수술 환자에 적용한 CP 프로그램은 재원기간을 줄이고 총 진료비를 감소시킨 반면 일일 진료비의 상승과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향후 다기관이 참여하는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적절한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여 그 효용성을 객관화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