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nsity Score Matching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8초

COVID-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청소년의 자살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향점수매칭 분석의 적용 (The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on Suicidal Tendencies of Adolescents: Application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 이미선;한승희;강주연;김준범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2019 coronavirus disease) on suicidal tendencies of adolescents. Methods: We selected 54,9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urveyed based on th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20. To analyze the data, we used the STATA 16.0 program to conduct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selection effects by using PSM, the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maintained a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 on increasing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s, and decreasing tendency in hospital-treated after suicide attempts. However,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plan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COVID-19.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who experienced a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COVID-19. Therefore, It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estimating the impact of COVID-19 on adolescent suicide rates.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Family Care Leave and Vacation Systems on Work-Family Balance of Female Managers)

  • 정여진;권순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35-47
    • /
    • 2023
  • 본 연구는 2019년 개정 및 신설된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제도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여성관리자패널 자료 중 제도 사용경험이 있는 유배우 여성관리자 1,040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성향점수매칭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향점수매칭 결과, 가족돌봄휴직 사용자 집단의 가족돌봄시간은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적었고, 사용자 집단의 일·가정 갈등 수준과 가정·일 갈등 수준도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돌봄휴가의 경우 사용자 집단의 조직형태가 국가/지방자치단체인 경우가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족돌봄휴직 사용 경험이 가정·일 갈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일·가정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정책효과 검증을 통해 정책을 수정·보완해 나가야 함을 뜻한다.

후향적연구의 집단 간 동등성확보를 통한 임상자료분석 (Clinical data analysis in retrospective study through equality adjustment between groups)

  • 곽상규;신임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317-1325
    • /
    • 2015
  • 두 집단간을 비교하는 다양한 임상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할 때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현 시점에서 어떤 특정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포함 우, 무에 띠라 연구대상자를 나누어, 추적 관찰하는 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과 현 시점에서 질환 유, 무에 따라 위험요인을 과거의 연구대상자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확인하는 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이 있다. 접근 방법과 연구 설계는 다르지만 두 가지 연구의 목적은 두 집단 간 명확한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두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특히 임상연구에서 두 집단을 비교할 때 성별과 나이와 같은 기본적 특성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상적 변수들의 집단 간 차이와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하지만 후향적 연구에서는 과거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분석이 진행되는 연구이므로 연구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특성변수들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상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공변량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공변량을 사용하는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 수정회귀모형,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임상연구에서 공변량을 이용한 자료 분석 방법 및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위암 환자들의 재발관련 자료에 적용하여, 그 필요성을 확인한다.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에서의 성향 점수 가중치 방법에 대한 비교 모의실험 연구 (A simulation study for various propensity score weighting methods in clinical problematic situations)

  • 정시성;민은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5호
    • /
    • pp.381-397
    • /
    • 2023
  • 대부분의 임상시험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실험설계는 무작위화로,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무작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관찰연구의 경우 치료군과 대조군의 비교로 얻는 치료효과에는 환자 간의 특성 등 여러 조정되지 않은 차이로 인해 편향이 발생한다. 성향 점수 가중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널리쓰이는 방법으로 치료 효과를 추정하는데에 있어 교란요인을 조정하여 편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성향 점수를 이용한 가중치 방법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역확률 가중치는 관찰된 공변량이 주어졌을 때 특정 치료에 할당될 조건부 확률의 역에 비례하는 가중치를 할당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극단적인 성향 점수에 의해 종종 방해 받아 편향된 추정치와 과도한 분산을 초래한다는 점이 알려져있어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절사 역확률 가중치, 중복 가중치, 일치 가중치를 포함한 여러 가지 대안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중복, 잘못 지정된 성향 점수 모델 및 예측과 반대되는 치료 등 다양한 문제상황에서 여러 성향 점수 가중치 방법의 성능을 비교하는 시뮬레이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연구의 결과 중복 가중치와 일치 가중치는 편향, 제곱근평균제곱오차 및 포함 확률 측면에서 역확률 가중치와 절사역확률 가중치에 비에 우월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수출이 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Exports and Firm Innovation)

  • 임정대
    • 무역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7-252
    • /
    • 2019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exports on the innovation of Korean firms listed on two Korean stock markets, the Korean Stock Exchange and the Korean Securities Dealers Quotations, between 1999 and 2016. By matching exporting firms to non-exporting ones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this study accounts for a problem from sample selection bias that may arise from differences in firm-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From the study results, first, both export participation and export volume significantly increase subsequent innovation performance, as measured b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This result seems to support the "learning by exporting" hypothesis for Korean listed firms. Second, both export participation and export volume narrow innovation scope, proxied as the number of uniqu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codes of the patent applied, the degree to which patents are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class, and the degree of proximity in the patents. The findings of innovation scope suggest a possible explanation that the learning effect appears in familiar technology fields that firms have previously held, rather than in unfamiliar ones. Third, these results are robust using alternative proxies in the innovation scope, Tobit regressions to consider the non-trivial portion of sample firms with patent applications equal to zeros, and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to control for the persistence of innovation measures hearing over years. Finally, the two main results are more pronounced in large firms than in small and medium-sized ones. As for Chaebol firms, however, these results do not appear.

차원축소 방법을 이용한 평균처리효과 추정에 대한 개요 (Overview of estimating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using dimension reduction methods)

  • 김미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36권4호
    • /
    • pp.323-335
    • /
    • 2023
  • 고차원 데이터의 인과 추론에서 고차원 공변량의 차원을 축소하고 적절히 변형하여 처리와 잠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란을 통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평균 처리 효과(average treatment effect; ATE) 추정에 있어서, 성향점수와 결과 모형 추정을 이용한 확장된 역확률 가중치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고차원 데이터의 분석시 모든 공변량을 포함한 모수 모형을 이용하여 성향 점수와 결과 모형 추정을 할 경우, ATE 추정량이 일치성을 갖지 않거나 추정량의 분산이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고차원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차원 축소 방법과 준모수 모형을 이용한 ATE 방법이 주목 받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로는 차원 축소부분에 준모수 모형과 희소 충분 차원 축소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있다. 최근에는 성향점수와 결과 모형을 추정하지 않고, 차원 축소 후 매칭을 활용한 ATE 추정 방법도 제시되었다. 고차원 데이터의 ATE 추정 방법연구 중 최근에 제시된 네 가지 연구에 대해 소개하고, 추정치 해석시 유의할 점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연줄'인가, '연결'인가?: 인적 네트워크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Nepotism or Network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s in the Labor Market)

  • 김영철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3호
    • /
    • pp.133-186
    • /
    • 2012
  • 본 논문은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노동시장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활용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임금근로자 개인의 구직 네트워크 가치를 추정하였다. 흔히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이직을 '연줄' 혹은 '정실인사'라고 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많으나, 본 연구는 인적 네트워크가 이직자와 구인자 사이의 정보전달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회 전반의 일자리 매치(job match)의 적합성을 증대시키는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론을 활용하여 검증한 결과, 자발적 이직자들의 이직을 네트워크형 이직과 비네트워크형 이직으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네트워크형 이직만이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의 적합도를 각기 (100점 만점에서) 2.13점과 2.52점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적합도의 개선은 월 4.074만원(2010년 기준)의 임금상승효과로도 재확인되었다. 덧붙여, 이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자 개인의 구직 네트워크의 가치를 추정해 보면, 구직 네트워크의 생애 금전적 가치는 1,872.0만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여기에 주관적 만족도에 대한 보상측면까지 고려하면, 만족도 1점의 현금가치를 n만원으로 환산할 때, 대략 (1,872.0+758.2n)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 PDF

스마트폰 이용이 은퇴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mong Retire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엄사랑;최은영;조성은;최인정;김영선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481-499
    • /
    • 2018
  •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은퇴한 노인 4,180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982명(스마트폰 이용자 491명, 피처폰 이용자 491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과 구조적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은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것보다 높은 빈도의 사회접촉과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구조적 사회적관계망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은퇴한 노인들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Clin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Degree of Hypernatremia in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 Yun Im, Lee;Joonghyun, Ahn;Jeong-Am, Ry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1호
    • /
    • pp.95-104
    • /
    • 2023
  • Objective : Hypernatremia is a common complication encountered during the treatment of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clinical outcomes correlate with the severity of hypernatremia in such patien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hypernatremia on mortality of these patie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hypernatremia. Methods : Among neurosurgical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n a tertiary hospital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9,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ICU for more than 5 days and whose serum sodium levels were obtained during ICU admission were included. Hypernatremia was defined as the highest serum sodium level exceeding 150 mEq/L observed.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hypernatremia and performe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Results : Among 1146 patients, 353 patients (30.8%) showed hypernatremia. Based on propensity score matching, 290 pai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hypernatremia group had higher rates of in-hospital mortality and 28-day mortality in both overall and matched population (both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In multivariable analysis of propensity score-matched population, moderate and severe hypernatremi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hospital mortality (adjusted odds ratio [OR], 4.58; 95% confidence interval [CI], 2.15-9.75 and adjusted OR, 6.93; 95% CI, 3.46-13.90, respectively) and 28-day mortality (adjusted OR, 3.51; 95% CI, 1.54-7.98 and adjusted OR, 10.60; 95% CI, 5.10-21.9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absence of hypernatremia. However, clinical outcomes, including in-hospital mortality and 28-day mort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without hypernatremia and the group with mild hypernatremia (p=0.720 and p=0.690,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s of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hypernatremi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overall and matched population. Interestingly, the mild hypernatremia group of matched population showed the best survival rate. Conclusion : Moderate and severe hypernatremia were associated with poor clinical outcomes in neuro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mild hypernatremia was similar with that of patients without hypernatremia. Therefore, mild hypernatremia may be allowed during treatment of intracranial hypertension using hyperosmolar therapy.

Effect of tranexamic acid on blood loss reduction in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Keisuke Harada;Noritaka Imamachi;Yuhei Matsuda;Masato Hirabayashi;Yoji Saito;Takahiro Kann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50권2호
    • /
    • pp.86-93
    • /
    • 2024
  • Objectives: Orthognathic surgery is a surgical procedure performed by intraoral approach with established and safe techniques; however, excessive blood loss has been reported in rare cases. In response, investigative efforts to identify methods to reduce the amount of blood loss have been made. Among such methods, the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was reported to reduce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ood loss. However, few studies to date have reported the effect of tranexamic acid in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on intraoperative blood loss in patients undergoing bimaxillary (maxillary and mandibular)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Patients and Methods: A total of 156 patients (mean age, 27.0±10.8 years) who underwent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 performed by the same surgeon between June 2013 and February 202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each patient: background factors (age, sex, and body mass index), use of tranexamic acid, surgical procedures, previous medical history, duration of surgery,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y physical status findings before surgery, intraoperative blood loss as a primary outcome, in-out balance, and blood test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a t-test and the chi-squared test were used for between-group comparisons. Group comparisons were performed after 1:1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adjust for confounding facto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use of tranexamic aci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on time.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revealed that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anexamic acid group.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tranexamic acid was effective in reducing intraoperative blood loss in patients undergoing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under hypotensive anesth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