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Family Care Leave and Vacation Systems on Work-Family Balance of Female Managers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3.09.25
  • Accepted : 2023.11.17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revised and newly established family care leave and vacation systems in 2019 on the work-family balance of female managers. A total of 1,040 female managers with experience in using the systems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subjects from the 2020 Women Managers Panel dat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results showed that the family care time of the users of the family care leav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users, and both the work-family conflict and home-work conflic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users than the non-users. For the family care vacation, the family care time of its us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than that if its non-user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use of the family care leav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home-work confli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urrent family care leave and vacation system have insufficient positive effects on work-family relationships.

본 연구는 2019년 개정 및 신설된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제도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여성관리자패널 자료 중 제도 사용경험이 있는 유배우 여성관리자 1,040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성향점수매칭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향점수매칭 결과, 가족돌봄휴직 사용자 집단의 가족돌봄시간은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적었고, 사용자 집단의 일·가정 갈등 수준과 가정·일 갈등 수준도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돌봄휴가의 경우 사용자 집단의 조직형태가 국가/지방자치단체인 경우가 미사용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족돌봄휴직 사용 경험이 가정·일 갈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 가족돌봄휴직·휴가제도가 일·가정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정책효과 검증을 통해 정책을 수정·보완해 나가야 함을 뜻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현(2018). 일하는 가족돌봄자 지원방안 연구: 노인돌봄 가족을 중심으로. 장기요양연구, 6(1), 79-120. DOI: 10.32928/TJLTC.6.1.4. 
  2. 김민경.한은정.이호용.이선화.유애정(2018). 가족요양서비스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3. 김선경(2017). 일-가정양립제도 활용이 조직내 여성관리자 진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수한.신동은(2014). 기업 내 여성관리자의 성차별 경험. 한국사회학, 48(4), 91-125. DOI: 10.21562/kjs.2014.08.48.4.91. 
  5. 김옥선.김효선(2010). 다중 역할의 상호향상 효과: 일-가정 영역 간 자원의 긍정적 전이에 관한 분석. 경영학연구, 39(2), 375-407. 
  6. 김유경.구혜령(2016). 일-가정 균형의 개념과 일-가정 갈등 및 향상과의 관계: 기혼 남성의 일 및 가정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8(3), 1-31. DOI: 10.21478/family.28.3.201609.001. 
  7. 김정혜(2017). 근로자의 가족돌봄 경험과 가족돌봄휴직제도 개선 방안. 법제연구, 52, 201-240. DOI: 10.22851/kjlr.2017.52.006. 
  8. 김주엽(2008). 직무특성과 일-가정 균형. 인적자원개발연구, 11(1), 109-132. 
  9. 김진희.한경혜(2002).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전이와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0(11), 55-69. 
  10. 김화연.오현규.박성민(2015).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7(2), 483-511. 
  11. 김희경.조규진(2017). 공사조직 간 일가정 양립수준 및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행정학연구, 26(2), 217-246. DOI: 10.22897/kipajn.2017.26.2.007. 
  12. 노혜진(2021). 성인가족 돌봄시간의 영향요인.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2), 1-12. DOI: 10.22626/jkfrma.2021.25.2.001. 
  13. 박선영.박복순.송효진.김정혜.박수경.김명아(2016).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IV): 가족돌봄휴직제도 심층분석.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 박신아(2015).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여성노동자의 직업지위 차이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 161-186. DOI: 10.17997/SWRY.44.1.7. 
  15. 박정열.전은선.손영미.신규리(2016).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학연구, 14(4), 1-22. DOI: 10.22879/slos.2016.14.4.1. 
  16.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17. 엄혜경.성상현(2017). 일-가정 갈등 그리고 가정-일 갈등이 기혼여성관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양립 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93(2), 35-70. DOI: 10.33949/tws.2017.93.2.002. 
  18. 여성신문(2021.05.14). ESG 경영 첫단추는 '여성 관리자 키우기'.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559에서 2023.11. 인출 
  19. 우주연.곽원준(2018). 일-가정균형만족이 육아휴직제도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친화적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와 가정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문경영연구, 21(3), 153-168. 
  20. 윤소영.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21. 이상우(2022). 노인의 돌봄 자원 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42(3), 333-350. DOI: 10.15709/hswr.2022.42.3.333. 
  22. 이석환(2021).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 수혜 노인의 삶의 질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73(4), 87-111. 
  23. 이승렬(2011). 근로자 가구의 소비.저축행동과 노동공급 결정.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4. 이승호.신유미(2018). 공적돌봄과 가족돌봄의 종단적 관계: 재가 노인 돌봄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8(4), 1035-1055. DOI: 10.31888/JKGS.2018.38.4.1035. 
  25. 이예운.이승미.박경순(2023). 일.가정양립의 최근 동향연구: 국내 가족과 관련된 학회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7(2), 63-77. DOI: 10.22626/jkfrma.2023.27.2.005. 
  26. 이유덕.송광선(2009). 가족친화경영, 직무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일과 삶의 조화.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213-236. 
  27. 이재림.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28. 이혜영.임효진(2020). 성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한 그릿과 학업성취의 인과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51(4), 63-86. DOI: 10.15854/jes.2020.12.51.4.63. 
  29. 임한려.홍성표(2020).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전이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여성연구, 105(2), 39-68. DOI: 10.33949/tws.2020.105.2.002. 
  30. 장은진.안정훈.정선영.황진섭.이자연.심정임(2013). 측정된 교란요인을 고려한 성과분석 방법.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31. 정가원.김영란.홍승아.배호중.김수진.김보영(2020). 가족 내 노인돌봄현황과 지역사회 통합돌봄 지원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2. 주재선.김영란.조선미.송치선(2021). 2021년 국가성 평등보고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3. 최유정.최미라.최샛별(2018).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 19(1), 47-93. DOI: 10.22862/kjsr.2018.19.1.002. 
  34. 한국경제연구원(2021.03.03). 한국, 연평균 저출산.고령화 속도 OECD 37개국 중 가장 빨라. 보도자료. 보도자료. http://www.keri.org/web/www/news_02?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messageId=356141에서 2023.11. 인출 
  35. 한동희(2017). 노인 돌봄과 가족자원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2(2), 355-377. DOI: 10.13049/kfwa.2017.22.2.7. 
  36. 함선유.홍백의(2017).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 재가 노인 돌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9(4), 203-225. DOI: 10.20970/kasw.2017.69.4.008. 
  37. 황수옥(2019). 근로시간단축청구권 도입과 독일 한시적 근로시간단축청구권의 시사점. 노동법논총, 47, 131-165. 
  38. Cantor, M. H.(1991). Family and community: Changing roles in an aging society. The Gerontologist, 31(3), 337-346. DOI: 10.1093/geront/31.3.337. 
  39. Denton, M.(1997). The linkages between informal and formal care of the elderly. Canadian Journal on Aging, 16(1), 30-50. DOI: 10.1017/S0714980800014148. 
  40. Edelman, P. &Hughes, S.(1990). The impact of community care on provision of informal care to homebound elderly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45(2), S74-S84. DOI: 10.1093/geronj/45.2.S74. 
  41. Freiberg, T.(2019). Effects of care leave and family social policy: Spotlight o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78(4), 1009-1037. DOI: 10.1111/ajes.12293. 
  42. George, L. K.(1989).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ver the life-course. In K. Markids & C. Cooper (Eds.), Ag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 241-267). London: Wiley. 
  43.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DOI: 10.5465/amr.1985.4277352. 
  44.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DOI: 10.1016/S0001-8791(02)00042-8. 
  45. Grzywacz, J. G. & Marks, N. F.(2000).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111-126. DOI: 10.1037/1076-8998.5.1.111. 
  46. Litwak, E.(1985). Helping the elderly: The Complementary roles of informal networks and formal systems. New York: Guilford Press. DOI: 10.1086/228496. 
  47. Longest, B. B.(2006). Health policymaking in the United States (4th ed.). Chicago, IL: Health Administration Press. 
  48. OECD(2023). Em,ployment: Share of female managers. https://stats.oecd.org/index.aspx?queryid=96330에서 2023.11. 인출 
  49. Saad-Lessler, J.(2020). How does paid family leave affect unpaid care providers?. The Journal of the Economics of Ageing, 17, 100265. DOI: 10.1016/j.jeoa.2020.100265. 
  50. Van Houtven, C. H. & Norton, E. C.(2004). Informal care and health care use of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3(6), 1159-1180. DOI: 10.1016/j.jhealeco.2004.04.008. 
  51. Voydanoff, P.(2005).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4), 822-836. DOI: 10.1111/j.1741-3737.2005.0017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