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Based Learning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4초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영자 신문 발간을 통한 과학 영재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Developing English Communicative Ability for Science Gifted Students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of Publishing English Newspapers)

  • 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80-486
    • /
    • 2014
  • 본 연구는 영자 신문 발간 활동이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며 프로젝트 기반의 출판 과정을 통한 독립적이면서도 협동적인 학습 환경의 구현가능성을 탐색한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첫 번째 영자 신문 발간 기획은 프로젝트 기반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서 완성되었다. 영어 능력과 참여도에 따른 학생 편집자 선발 과정을 시작으로 분야와 주제 및 제재를 선택하고 역할과 기사를 배분하며 결과물을 통합 편집하는 과정을 거친다. 전 과정에 걸쳐 참여자들은 최소한의 지도 감독 아래서 독립적이면서도 협력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였다. 사후 설문조사에 따르면 성공적인 영자신문의 발간이 전반적 영어 능력을 향상 시켰을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학습자 자아인식과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키웠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언어 교육 뿐 아니라 통합적인 프로젝트 기반 교수 학습에 있어 신문 잡지 등의 출판 활동이 주는 장점을 논하는 한편, 향후 프로젝트 교수 학습 방법과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관련된 보다 심화된 연구가능성을 제시한다.

주제중심 프로젝트 모형을 적용한 해양분야의 STEAM 교육 설계 및 효과 분석 (Designing of STEAM Education in the Marine Field Applied with the Thematic Project Model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

  • 최성봉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15-927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affective ability of students by applying a thematic project model concerning the marine field unit of science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mong diverse methods of realizing STEAM education. Also, based on this, STEAM education is a new type of learning including the process of exploring by oneself, presenting, discussing and mutually evaluating by becoming an independent person in learning 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EAM class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discovered to promote a learning attitude toward science by learners. Second, the STEAM class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ird, STEAM education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found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This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learners who have felt difficulty in the science curriculum or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curriculum by triggering voluntary motivation.

웹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 김은정;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3-63
    • /
    • 2002
  • 최근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Web-Based Project Learning)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학생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프로젝트 주제 제안',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수행', '웹 출판', '프로젝트 평가'의 5단계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학습자 모듈', '관리자 모듈' 및 그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설계.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을 대구광역시내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실험 적용한 결과,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적용한 학습이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비해 학습자의 정보통신기술활용 능력과 학업 성취도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 PDF

A Power Electronics and Drives Curriculum with Project-oriented and Problem-based Learning: A Dynamic Teaching Approach for the Future

  • Blaabjerg, Frede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2권4호
    • /
    • pp.240-249
    • /
    • 2002
  • Power electronics Is an emerging technology New applications are added every year as well as the power handling capabilities are steadily increasing. The demands to the education of engineers in this field are also increasing. Basically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ore expanded without extra study time. This paper present a teaching approach which makes it possible very fast for the student to get in-deplh skills in this important area which is the problem-oriented and project-based learning. The trend and application of power electronics are illustrated. The necessary skills for power electronic engineers are outlined followed up by a discussion on how problem-oriented and project-based learning are implemented. A complete curriculum at Aalborg University is presented where different power electronics related projects at different study levels are carried out.

코로나-19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교수법을 통한 프로그래밍 지도 사례 (A Case Study on a Programming Subject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COVID-19 Environment)

  • 이성옥;양승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55-16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프로그래밍 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한 교수자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1학년 신입생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실시 전에 학생들의 학습상태를 판단하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담을 진행하여 교육에 대한 니즈를 파악 후, 프로젝트 구성을 위한 기본 문법과 프로젝트의 각 단계를 분절하는 강의를 구성하였다. 주간 퀴즈를 통한 반복학습을 유도하였으며 프로젝트 마감까지 시간을 미리 부여하여 피드백을 주었다. 23명(전체 학생 40명)은 프로젝트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였고, 17명은 시험은 응시하였으나 프로젝트는 미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가운데 공대 실기과목을 프로젝트법으로 운영하면서 수업설계와 실행, 상호작용을 거쳐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게임 교과목 교육을 위한 4PBL모델 제안 연구 (4PBL model proposal for education of Game Design)

  • 이동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3-102
    • /
    • 2018
  • 본 논문은 이론과 실기 교육, 학계와 산업계의 융합 교육을 지향하는 게임 교과목 교육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교수자 중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4PBL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4PBL 모델은 학습 접근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3P 모델과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방법론을 보강, 발전시킨 모델로 개인지(Personal 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 실행기반학습(Performance based Learning)으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게임 교과목 교육 사례를 들어 각 단계별 PBL의 개념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시도는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게임 기획과 개발에 대한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조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STEAM 융합 교육과정 설계 -안드로이드 기반 동력 전달 학습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중심으로- (Design of the STEAM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Focus on Android-based Learn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 김은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51-560
    • /
    • 2011
  • STEAM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의 연계 지도를 통해 학습자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주제 중심의 학습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가르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STEAM 교육과정을 프로젝트 기반 학습 형태로 설계하고 운영에 필요한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STEAM 교육에서 IT 기술이 모의실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안드로이드 기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 PDF

기초프로젝트 과목 운영을 통한 컴퓨터.정보공학 분야의 프로젝트 평가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Evaluating Projects through Running of Basic Projet Courses in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 조수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77-83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the practical experience and lessons to develop the criteria for evaluating projects in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In engineering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different from problem-based learning. Project tasks are closer to professional reality. And self-direction is stronger in project work.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project evaluation criteria is introduced with consideration of these differences. It is explained through running examples of basic project courses in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Engineering.

통합교과로서의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 운영방안 탐구 (A Study of Game Project Curriculum for Integrated Subject)

  • 최승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11-122
    • /
    • 2016
  • 본 연구는 이질적인 속성을 가진 학문분야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프로젝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합교과의 의미는 게임 현장에서처럼 게임 기획, 프로그램, 그래픽과 같은 이질적인 분야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방안은 국내에서 2008년도부터 A 교육기관에서 진행해온 게임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증 및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통합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방안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내용을 분류하여 구성하고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책임감" 및 "협업 능력"과 같이 학습되어지는 내용들에 대한 부분들을 정리하고 있으며, 두 번째로는 성공적인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단계별로 진행되는 팀 구성, 프로젝트 계획, 팀 운영 및 협업, 중간 및 기말 발표, 그리고 평가 부분에 대한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된 운영방안이 통합 교과로서의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밑거름 및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학습자 중심의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Focusing on the Learner)

  • 임병민;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31-14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웹 자료의 조직적이고 통합적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그 특성을 살려 학습자 중심의 웹 기반 프로젝트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인터넷상의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시스템에서 수시로 교사와 전문가의 도움도 받고 다른 팀의 동료학생들로부터 도움과 평가를 받으면서 교실중심에서 벗어나 일상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관심과 흥미, 주제 중심, 활동 중심, 문제 중심의 프로젝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이 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