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financing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4초

Financing Mechanisms of Social Prescribing Projects: A Systematic Review

  • Dronina, Yuliya;Ndombi, Grace Ossak;Kim, Ji Eon;Nam, Eun Woo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3-521
    • /
    • 2020
  • Aging populations and the increasing mental health issues among them have set a new challenge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governments, and people. Given this, society's role is very important, and involving the local community in resolving the problems can play a pivotal role. The current study presented the systematic review of the financing mechanism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social prescribing" (SP) project in the United Kingdom and how SP can be adapted for other settings. The data showed comparatively low running costs and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P projects. The running cost of SP projects varied between £54,525 and £1.1 million. The cost-effectiveness of the projects reported as 12% and the return of investment was about 50% depending on the type of analysis and the activities implemented. This type of intervention can be one of the options that support solving the issues of aging populations and their accompanying mental disorders.

A Comparative Study on a Supplier Credit and a Buyer Credit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of Capital Goods - Focusing on Industrial Plant Exports, Shipbuilding Exports, and Overseas Constructions -

  • Kim, Sang-Man
    • 무역상무연구
    • /
    • 제48권
    • /
    • pp.127-155
    • /
    • 2010
  • The international transactions of capital goods such as industrial plant exports, overseas constructions, and shipbuilding exports, are so huge that tremendous amount of funds are required, and that most of the loans are long-term credits of over five years. In the export of huge capital goods, financing is more crucial than technology itself. Some of the importing countries are developing ones that ar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unstable. Therefore the financing mechanism for these transactions is conclusive in winning these projects. Global financial market instability caused by US sub-prime mortgage financial crisis expanded all over the world, and the international transactions have been decreased due to global credit crisis. This indicates how much influential the financing market is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The financing schemes are classified into supplier credit and buyer credit by who provides the financing. A supplier credit is a credit extended by an exporter(seller) to an importer(buyer) as part of an export contract. Cover for this transaction may be extended by an export credit agency('ECA') to the exporter. In a sales contract a seller shall provide fund required to manufacture goods, and in a construction contract a contractor shall provide fund required to complete a construction. A buyer credit is an arrangement in which an exporter enters into a contract with an importer, which is financed by means of a loan agreement A Comparative Study on a Supplier Credit and a Buyer Credit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of Capital Goods 155 where the borrower is the importer. In a sales contract a buyer shall provide fund required to manufacture and procure the goods, and in a construction contract an owner shall provide fund required to complete a construction. Therefore an exporter is paid on progressive payment method. A supplier credit and a buyer credit have their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he respect of the parties respectively. These two financing methods are selectively used considering financing conditions such as funding cost, importer's and/or exporter's financial conditions, importing country's political risk.

  • PDF

미국 PILOT 재원조달방식의 분석을 통한 세입담보금융의 연구 -뉴욕시 허드슨 야드 개발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ax Increment Financing Based on the Analysis of PILOT Financing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Hudson Yards Development in NYC-)

  • 이우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524-4531
    • /
    • 2013
  • 최근 국내 도시개발에 있어 도시재생사업의 재원조달기법으로 세입담보금융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미래의 수익을 담보한 새로운 재원조달기법의 도입 가치는 단순히 개발재원에 대한 자가재정조달 방안이 아닌, 도시개발사업의 선순환적 구조형성의 가능성을 높이는 잠재성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는 민간자본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국내 도시개발사업의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대응으로서 사업초기 공공부문의 재원투입으로 개발과정내 공공부문의 주도적 역할을 강화하며, 이를 통해 공공을 위한 사회적 가치의 증대와 개발사업자의 개발이윤을 동시에 확보하기위한 구조적, 제도적 뒷받침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도시개발 사업에서 적용된 세입담보금융의 대표적인 형태인 TIF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세입담보금융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TIF와 구조적, 개념적 특징을 공유하는 독특한 형태의 적용사례인 PILOT을 뉴욕시 허드슨 야드 개발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세입담보금융의 국내적용에 대한 제안사안을 중심으로 참조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공동주택 후분양 전환에 따른 프로젝트 금융의 현황 및 활용방안 (The Current State and Application of project Financing followed by Sale after Building System of the Apartment)

  • 이성록;문휘영;이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218-225
    • /
    • 2004
  • 주택건설시장에서 정부의 후분양 방식 도입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기존의 건설금융 기법으로는 건설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없게 되어 자금의 유동성 및 사업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주택건설산업에서 분양대금 수입의 시기변화에 따라 선분양의 장점이었던 건설금융 및 사업안정성 확보가 어려워지기 때문으로, 시장충격의 완화를 위한 방안마련 및 건설 자금조달을 위한 건설금융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양을 통해 공급되는 공동주택으로 시행사-건설업체 도급방식의 계약으로 이루어진 주택공급사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건설 SWOT 분석을 통하여 주택분양사업의 후분양 전환시 선분양 자금을 대체할 수 있는 자금조달 기법으로서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기대효과 및 적절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택분양사업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활용할 경우, 자금조달 및 사업위험 감소를 위한 전략 수립 시 기초적 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것으로 기대된다.

자산담보부 단기사채를 활용한 해외발전사업 수주확대방안 (Business Growth Strategy with Asset Backed Short Term Bond for Overseas IPP Opportunities)

  • 김준호;문윤재;이재헌
    • 플랜트 저널
    • /
    • 제11권1호
    • /
    • pp.30-38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도입된 단기사채를 통해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외채무보증과 연계하여 자산유동화 구조에 접목한 자산담보부 단기사채의 금리를 추정하고 해외 투자개발형 민자발전사업의 수주 확대를 위한 프로젝트파이낸스의 한 방안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회사채 신용등급 AA-부터 BBB+까지 건설사 자산담보부 단기사채와 비교한 결과, 자산 유동화 구조와 접목한 한국수출입은행의 대외채무보증부 자산담보부 단기사채는 금리 경쟁력이 있고, 프로젝트의 자기자본수익률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금융구조는 회사채 등급이 낮은 시공사에 적용할수록 더 높은 자기자본수익률 확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자산담보부 단기사채 금융조건은 수요 창출 및 수익성 확보는 물론 우리기업의 해외 투자개발형 민자발전사업 수주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사업의 성공영향요인(KSF) 분석을 통한 사업성과 예측 모델 (Predicting Project Performance by Analyzing Key Success Factors on Project Fiancing(PF) Development)

  • 이동건;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27-137
    • /
    • 2014
  •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개발사업은 다수의 차명자와 대규모의 금융조달을 통하여 공사를 수행함으로 국가경제개발과 건축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치는 프로젝트의 형태이다. 그러나 국내 PF 개발사업의 경우 프로젝트에 대한 충분한 검토보다는 개발이익의 극대화의 측면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 인하여 현재 글로벌 금융위기와 부동산 침체에 의하여 사업의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F사업의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요인분석을 통하여 PF사업의 성공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Fuzzy-AHP기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에 대한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PF 성공영향요인의 실제 사례 평가를 통하여 PF성공평가 점수와 프로젝트의 수익률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PF사업의 평가를 통하여 프로젝트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린리모델링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발주방식 제안 (The Study on the Project Delivery System for Vitalizing the Green Remodeling)

  • 남성훈;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11
    • /
    • 2017
  • 내 공공건축물은 총 17만 7천여 동으로 이중 15년 이상 경과하여 노후화가 진행 중인 건물이 전체 건물 수의 약 74% 달한다. 노후화된 건물로 인하여 에너지 손실이 심각한 실정이다. 노후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수선 및 설비 교체를 통한 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 개정된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에서는 그린리모델링을 기존 공공건축물에 적용 활성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업무의 범위, 재원 마련 방안 및 발주 방식에 대한 기준이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그린리모델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존 건축생산 과정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업무를 기준으로 그린 리모델링 업무를 정의하였으며, 건축주 및 사업자가 재원을 마련 할 수 있는 방안 및 그린리모델링 업무 구분에 따른 발주 패키지를 도출하여 낙찰자 결정 방식 및 대가지급 방식 등을 제안하였다.

부동산 PF사업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of Projects to which the Real Estate Project Finance)

  • 김성철;이정철;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1-496
    • /
    • 2008
  •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시장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부동산 PF사업은 사업성공 시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지만, 사업초기단계부터 사업을 위협하는 많은 리스크가 존재한다. 부동산 PF사업 리스크에는 금융리스크, 건설리스크, 법적리스크, 기타리스크가 있으며, 각 항목별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을 파악 후, 각 요인에 따른 관리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각 항목별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서 부동산 PF 사업에 참여하는 시행사, 건설회사, 금융기관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요인에 따른 리스크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관리 방안은 사업의 적정수익률 확보와 차입금 상환에 대한 조치이고, 사례연구를 통해 주요 관리 방안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리스크 요인과 관리방안은 부동산 PF 사업 수행 시 발생하는 리스크를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CAPITAL STRUCTURE IN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S

  • S.M. Yun;S.H. Han;H.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09-519
    • /
    • 2007
  • Private financing is playing an increasing role in public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worldwide. However, private investors/operators are exposed to the financial risk of low profitability due to the inaccurate estimation of facility demand, operation income, maintenance costs, etc. From the operator's perspective, a sound and thorough financial feasibility study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capital structure of a project. Operators tend to reduce the equity amount to minimize the level of risk exposure, while creditors persist to raise it, in an attempt to secure a sufficient level of financial involvement from the operat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reditors and operators to reach an agreement for a balanced capital structure that synthetically considers both profitability and repayment capacity. This paper presents an optimal capital structure model for successful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This model finds the optimized point where the profitability is balanced with the repayment capacity, with the use of the concept of utility function and multi-objective GA (Generic Algorithm)-based optimization. A case study is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its verification. The research conclusions provide a proper capital structure for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s through a proposed multi-objective model.

  • PDF

PF 개발사업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리스크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roughout Success Factor Analysis in Project Financing)

  • 이동건;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92-102
    • /
    • 2013
  • PF사업은 민간의 투자를 유치하여 국가 경제와 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젝트 발주방식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개발이익 극대화라는 측면만을 고려함으로 인하여 무분별한 PF사업의 급증과 최근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하여 사업의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주된 원인은 PF사업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전에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차단하려는 노력이 미흡한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F사업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PF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을 분류하여 세부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PF사업의 리스크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체계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PF사업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선행연구와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5개영역, 15개 항목, 104개의 영향인자를 도출하였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영향정도를 검증하였다. 후속 면담조사를 통해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PF 사업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 활용이 될 경우 PF 개발사업의 건전성 평가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PF 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도구 개발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