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Research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roughout Success Factor Analysis in Project Financing

PF 개발사업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리스크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 Received : 2013.03.19
  • Accepted : 2013.06.18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A Project Financing (PF) is a form of project delivery system that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trying to give help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attract private investment.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many PF projects are only taking into account the aspect of maximizing development benefits, and the proliferation of PF results in project failure. In addition, the interruption of business has been one after another in the aftermath of the recent financial crisis. These major cause is the result of efforts to block the potential risk of objectively quantifying operations. Nowadays, PF risk analysis in terms of various factors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extensive risk elements to classify the cause of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project PF study prior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integrity of the project PF based on this and to provide a quantitative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business risk.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F business success and failure and establish the metrics that can be quantifi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nd expert interviews. Factors influencing the success of the PF obtained as a result of surveys and interviews in assessing the soundness of the PF development conditions in the future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as well as an objective assessment tool to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development is expected.

PF사업은 민간의 투자를 유치하여 국가 경제와 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되는 프로젝트 발주방식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개발이익 극대화라는 측면만을 고려함으로 인하여 무분별한 PF사업의 급증과 최근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하여 사업의 중단이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주된 원인은 PF사업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전에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차단하려는 노력이 미흡한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F사업의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PF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을 분류하여 세부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PF사업의 리스크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체계를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PF사업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선행연구와 면담조사를 바탕으로 5개영역, 15개 항목, 104개의 영향인자를 도출하였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영향정도를 검증하였다. 후속 면담조사를 통해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PF 사업의 건전성 평가를 위한 도구로 활용이 될 경우 PF 개발사업의 건전성 평가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PF 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도구 개발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12). 부동산개발사업 평가항목 선정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 김성철.이정철.이찬식 (2008). "부동산 PF사업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pp. 491-496
  3. 김우영.백화숙.김경환 (2011). "리스크요소 분석을 통한 PF사업 타당성평가의 선진화방안",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25-226
  4. 김지은.김현수.차희성 (2010). "민간사업 Project Financing Risk 평가모형 개발", 전국대학생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1-15
  5. 박혜성.김선국 (2011). "민관합동형 PF사업의 단계별 리스크 분류 및 위험도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17-126
  6. 이만형.홍성보 (2007).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에 근거한 복합용도 개발의 타당성 분석",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6권 제1호
  7. 이치주.김상기 (2009).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리스크 인자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제2호, pp. 159-166
  8. 정호근.이상범 (2006).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사업타당성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9. 최시웅.차희성.김경래.신동우 (2011). "중.소형 개발사업의 PF성공요인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1-28 https://doi.org/10.6106/KJCEM.2011.12.4.21
  10. 최주원.최선영.유승규.김주형.김재준 (2011). "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의 건설사업관리의 효율적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Han, S. H. and Diekmann, J. E. (2001). "Approaches for Making Risk-Based Go/No-Go Decision for International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 Ye, S. and Tiong, L. K. (2000). "NPV-at-Risk Method in Infrastructure Project Investment Evalu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Cited by

  1. Impact of Interest and FX Rate on Breach of DSCR in Project Finance vol.6, pp.4, 2017, https://doi.org/10.4018/IJSDA.2017100105
  2. Predicting Project Performance by Analyzing Key Success Factors on Project Fiancing(PF) Development vol.15, pp.5,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5.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