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 Effectiveness

검색결과 3,206건 처리시간 0.029초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Self-sufficiency Service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Self-sufficiency Effectiveness: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elf-sufficiency program)

  • 임진섭;장용언;공정석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271-29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그리고 자활효과의 수준과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경로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31개의 지역자활센터에 소속된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분석결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활사업의 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자활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일자리형과 시장진입형, 자활공동체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자활서비스의 질, 직무만족, 자활효과의 정도는 모두 동일함을 의미한다. 둘째, 비록 자활사업유형에 따른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 그리고 자활효과에 대한 집단 간 수준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이론모형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현행 자활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정책적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Peer Relation Improvement Program on Peer Relation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이은희;이경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05-61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전후실험 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U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후원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가정의 아동들 가운데 집단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초등학교 재학 중인 18명의 아동들이다. 이 아동들 가운데 무작위로 9명은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9명은 통제집단으로 집단 구성을 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동질성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후, 실험집단은 주 2회 1회기 당 50분씩 총 10회기의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은 후,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에 나타난 교우관계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나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향상프로그램을 실시할 시 유의점 및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 박정윤;유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9-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가족생활교육의 이론과 청소년의 요구도를 근거로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부모 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모와 나, 이대로 좋은가? - 세대의 벽을 넘어서" 프로그램은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 인식, 부모에 대한 이해,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H 여자 고등학교에서 주 1회씩 5회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참여한 학생들은 중년기 부모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감정을 이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훈련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 PDF

춘천지역 일부 비만인 성인대상 식생활교육과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Obese Adults in Chuncheon Area)

  • 원선임;유영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3-13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using dietary consult and physical exercise conducted by public health center in Chuncheon city for obese adults. This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8 out of 90 obese adults with body mass index (BMI) greater than $25kg/m^2$ who completed all education sessions for 8 weeks. Data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nutritional knowledge,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biochemical indices and daily nutrient intakes assessed by a 24-hour recall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program effectiveness.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exercise status and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ccuracy. Especially, the answer of 'I drink a cup of milk every da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01), and the answer of 'I don't overeat', which is a dietary attitude ques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Dietary intakes of most of nutr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But calcium (p<0.05), potassium (p<0.05), vitamin A (p<0.01), vitamin E (p<0.05), and folic acid (p<0.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emale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Weight (p<0.05), BMI (p<0.01), blood pressure (p<0.00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rogram, but changes of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were not significant. Resting heart rate (p<0.01), flexibility (p<0.001), whole body reaction (p<0.05), grip strength (p<0.01) and balance (p<0.01) showed positive changes after the intervention. Blood glucose level in ser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not only for weight reduction but also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in obese adults.

집단상담으로서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as a Group Psychotherapy)

  • 이현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1-3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집단상담으로서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1)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기존 집단상담의 장점을 포괄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안전한 치료방법임을 확인하였다. 2) 모방행동, 응집력, 현실수용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조사된 것은, 대학에서 진로를 주제로 하는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3)청년들의 암울한 현실에 비추어, 대학생들이 사랑을 논하고 연애에 소망을 드러낸 희망적 현상이 의미가 있었다. 독서치료에서 집단상담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독후 활동 방안 및 대학에 요구되는 특정 주제나 매체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접근하기 쉽고 전문적인 집단 독서치료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명상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반응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tation Program on Stress Response Reduction of the Elderly)

  • 허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32-240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명상 프로그램은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크리야 요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노인집단에서 명상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성, 우울, 불안,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명상 프로그램이 명상집단에서 노인의 불안, 우울, 스트레스 반응성이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사후검사 결과 집단비교에서도 통제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명상집단은 삶의 질의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사후검사 결과 통제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노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명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불안, 우울, 스트레스 반응성을 낮추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추후연구를 위하여 논의하였다.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Effectiveness of a Mobile Wellness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Office Workers)

  • 하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369-37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돕기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설계로서 총 26명의 사무직 근로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 전후에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사무직 근로자의 보행수(t=-2.52, p=.018),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t=-2.12, p=.044), 웰니스(t=-2.83, p=.009)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들의 보행수를 증가시키고,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과 웰니스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수 있다.

글로벌 Start-up 교육 프로그램 체험의 효과성 분석 (The Effectiveness of Global Start-up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 이에스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4-174
    • /
    • 2019
  • 본 연구는 글로벌 start-up 교육 프로그램 체험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K대학교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 중 프랑스 'Eklya Global Entrepreneurship Camp'에 선발된 1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질문지 그리고 FGI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프랑스 현지 교육 프로그램에 3주간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회수된 설문은 SPSS(24.0)와 FGI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글로벌 start-up 교육 프로그램 체험 사전-사후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3.1점의 차이는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창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후 실시한 FGI인터뷰에서 자신의 글로벌 창업에 대해 구체적 계획 수립, Finance 체계적 교육, 창업에 대한 자신감 향상, 토론형 교육 등이 참여 학생들의 창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그 효과성이 나타났다. 향후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타대학교의 참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비교분석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effectiveness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electronic games in developing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in the age group 2-5 years

  • Felemban, Bashayer Muhammed;Alqudah, Derar Mohamme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322-332
    • /
    • 2022
  •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electronic games in developing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in the age group of (2-5) years, using the quasi-experimental approach with one group, and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1)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mple and medium intellectuals enrolled in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at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Center for Day Care in Makkah Al-Mukarramah and were deliberately select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ers prepared and applied the visual perception scale after ensuring its validity and stability. Three electronic games were also designed and applied to the sample for (17) sessions. The result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ronic games program in developing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in the age group (2-5) years and maintaining this improvement over time. Whe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α = 0.05) between the grades of the group children in the pre and post-measurements on the visual perception skills scale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post-measurement after applying the program, in favor of the post measuremen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level (α = 0.05) between the grades of the group children in the two post and follow-up measurements on the visual perception skills scale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ollow-up measurement which indicates the long-term impact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s recommend the necessity of activating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various electronic games to develop the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mploy them effectively in the educational proces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 on Organizational Difference: Perceived Training Effectiveness Model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 Malik, Beenish;Karim, Jahanvash;Noreen, Tayyaba;Han, Sang-Li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75-98
    • /
    • 2017
  • Our study is trying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training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Technological Acceptance Model (TAM) and inten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perceived training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of individuals. The main purpose is to evaluate the perceived training effectiveness, and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all the hypothesis that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 of creative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EI) will have greater inclinations to learn. Results showed that perceive training effective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training transfer and training transfer increase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Study results significantly agree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hich was applied to measure the perceived training effectiveness and suggest trainee's perception of usefulness, ease and benefits enhance learning dimensions of participants that make any program effective. The study has highlighted a number of issues that influence the perceived training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