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ity index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37초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거제 · 한산만 굴 먹이 공급량 추정 (Estimating the Carrying Capacity of a Coastal Bay for Oyster Culture -I . Estimating a Food Supply to Oysters Using an Eco-hydrodynamic Model in Geoie-Hansan Bay-)

  • 박종수;김형철;최우정;이원찬;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5-407
    • /
    • 2002
  • 거제 $\cdot$ 한산만 굴 양식어장의 수용력 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월별 먹이량 변동을 생태-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양식시기인 5월의 거제 $\cdot$ 한산만의 chlorophyll $\alpha$ 농도는 $0.29\~4.72$ (평균 $1.73{\mu}g/L$)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수평분포 특성은 화도 주변 수역에서 $2.0{\mu}$g/L 이상의 높은 농도 분포를 보인 반면, 만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산달도에서 봉암도 및 율포에 이르는 수역에서 1.4$\mu$g/L 이하의 낮은 농도 분포를 보였다. 거제 $\cdot$한산만의 잔차류는 표층의 경우 외양과 접한 남쪽의 협수로에서는 10 cm/sec의 유속으로 남쪽 방향으로 유출하고, 송도와 비산도 부근에서는 5cm/sec 내외의 유속으로 북서 방향으로 흐름이 진행되었으며, 만 중앙부에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출하는 형태였으나 유속의 크기는 3cm/sec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중층은 전반적으로 유속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만 중앙부근에서는 표층의 흐름과는 반대로 만 내측으로의 흐름이 뚜렷하였으며, 저층에서는 수로를 중심으로 흐름이 나타났다. 생태계 모델에 의해 비 양식시기로 가정한 5월의 식물플랑크톤 분포를 재현한 결과 실측치와 계산치의 적합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R^{2}$값은 0.70, 상대오차는 $10.3\%$이었고, 재현된 분포 특성은 화도와 거제시 둔덕면 사이의 수로 부근 수역과 하천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만 내측 수역에서 높은 농도분포를 나타내었고, 외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만내로 유입하는 유입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비교적 정체수역인 만 내측에서 기초생산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9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월별 먹이 공급량을 추정한 결과 $0.19\~l.27gC/m^{2}/day$ 범위에 평균 $0.62gC/m^{2}/day$로 나타났다 9월에 1.12gC/m^{2}/day$의 높은 값을 나타낸 이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월에 0.19gC/m^{2}/day$의 최소 값을 나타내었으며, 봄철로 접어들면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5월에 $1.27gC/m^{2}/day$의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수고-직경 상대생장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ree Height-Diameter Allometry for Major Tree Species in South Korea)

  • 김문일;박태진;고영진;최고미;손순철;강예준;유재희;김민경;박현지;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71-82
    • /
    • 2023
  • 산림 바이오매스는 임목의 크기와 산림의 성숙도, 임지의 생산성(Productivity)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로 활용된다. 따라서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산림경영과 수확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CO2) 흡수를 포함한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의 평가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상대생장식(Allometric equation)은 식물의 상대생장관계(Relative growth rate)를 통해 각 부분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폭 넓게 활용되는 방법론이다. 최근 대기중의 CO2 농도증가와 이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수목의 상대생장관계가 바뀌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도출되면서, 기존에 개발된 상대생장식과 계수들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NFI)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주요 4개 수종[소나무(Pinus densiflora; PD), 낙엽송(Larix kaempferi; LK),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 QV),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QM)]의 수고-DBH 상대생장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 수확표 정보와 비교하여 지난 10년간 상대생장의 변화 유무 및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수종에서 NFI 차수가 증가할수록, 동일 DBH에 대한 기대 수고값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모형 분석결과 PD, LK, QV, QM의 DBH 25 cm에 대한 수고의 기댓값은 5차 NFI 자료에서는 12.48, 19.17, 14.47, 13.19 m로, 7차 NFI 자료에서는 13.61(+9.1%), 21.58(+12.7%), 15.76(+8.9%), 13.93 m (+5.6%) 로 추정되어 수종별로 5~13%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주요 수종들의 임목 생장은, 과거 조사자료를 통해 파악된 수종별 수고-DBH 발달경향과 비교 했을 때, 직경생장보다 수고생장을 더 활발하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양검정에 의한 논토양 유형별 질소시비량 결정 (Determination of Nitrogen Fertilizer Recommendation Rates Estimated by Soil-Testing for Different Types of Paddy Soils)

  • 문영훈;권영립;안병구;이진호;최동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3-38
    • /
    • 2010
  • 토양화학성을 고려한 기존의 토양검정 시비추천방법을 보완하기 워하여 논토양 유형별 질소시비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12개 벼 시험포장에서 토양유형별 질소검정시비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유형별 토양검정에 의한 질소시용량은 질소표준권장량 보다 많게 환산되었고, 질소수준별 회귀분석에 의한 최소 수량 생산시비량은 염해답에서 315 kg/10a, 사질답에서 168kg/10a로 최고와 최저시비량을 보였다. 유형별 질소흡수량은 질소시비량과 비례관계였고, 질소이용률은 미숙답에서 36.7%로 가장 높았으며, 질소시비량과 반비례 관계였다. 쌀의 식미치는 논토양 유형에 관계없이 무질소에서 높았고, 유형별로는 염해답에서 가장 낮았다. 시비효율지수와 환경지수 및 쌀 품질을 표준화하여 얻은 최적시비량은 보통답과 사질답에서는 토양검정 시비량의 1.0배, 미숙답과 염해답에서는 각각 0.92와 0.83배 했을 때 최적 시비량 수준을 보였다.

병원경영의 수익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Managerial Performance of Hospitals)

  • 정범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7권
    • /
    • pp.107-13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trend of profitability classified by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and to analyze related facto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survey material conducted by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on 33 hospitals in Korea between 1993 and 2002. Profitability was measured in the aspect of investment profit rate and operation profit rate with net profit to total assets, normal profit to total assets and operating margin to gross revenue a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by general factors (ownership, number of beds, period of establishment, region), financial factors (total asset turnover, liabilities to total assets, current ratio, fixed ratio, inventories turnover, personnel costs per operation profit,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composition of manpower and facilities(personnel and area per beds), productivity index(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medical doctor, 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nurse), the score of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First, Concerning the specialists per beds or area per beds and profitability of hospitals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ose hospitals having the most daily patients per nurse had significantly higher profitability than the others, but 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medical doctor had little effect on the profitability. Thirds, Those hospitals having a higher proportion total asset turnover tend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profitability compared to other hospitals, but the liabilities to total assets and liquidity ratio had a little difference to the profitability. Those hospitals having a higher proportion personnel costs per operation profit and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tended to show significantly lower hospital profitability compared to other hospitals. Fourth, In regression analysis, hospital profitability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personnel costs per operation profit or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While i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asset turnover, the number of daily patients per nurse. In conclusion, private hospitals had higher profitability than that of public hospitals. Though factors related to profitability of hospital were different according to ownership, it is important for securing appropriate profitability by operating appropriate number of nurse, raising total asset turnover, and reducing personnel costs, material costs per operation profit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planning of hospital management. But the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its small sample size. However, this longitudinal observation of 33 hospitals over ten year period has significant merit alone.

  • PDF

Genetic Parameter Estimates of Carcass Traits under National Scale Breeding Scheme for Beef Cattle

  • Do, ChangHee;Park, ByungHo;Kim, SiDong;Choi, TaeJung;Yang, BohSuk;Park, SuBong;Song, Hyung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8호
    • /
    • pp.1083-1094
    • /
    • 2016
  • Carcass and price traits of 72,969 Hanwoo cows, bulls and steers aged 16 to 80 months at slaughter collected from 2002 to 2013 at 75 beef packing plants in Korea were analyzed to determine heritability, correlation and breeding value using the Multi-Trait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REML) animal model procedure. The traits included carcass measurements, scores and grades at 24 h postmortem and bid prices at auction. Relatively high heritability was found for maturity ($0.41{\pm}0.031$), while moderate heritability estimates were obtained for backfat thickness ($0.20{\pm}0.018$), longissimus muscle (LM) area ($0.23{\pm}0.020$), carcass weight ($0.28{\pm}0.019$), yield index ($0.20{\pm}0.018$), yield grade ($0.16{\pm}0.017$), marbling ($0.28{\pm}0.021$), texture ($0.14{\pm}0.016$), quality grade ($0.26{\pm}0.016$) and price/kg ($0.24{\pm}0.025$). Relatively low heritability estimates were observed for meat color ($0.06{\pm}0.013$) and fat color ($0.06{\pm}0.012$). Heritability estimates for most trait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literature. Genetic correlations of carcass measurements with characteristic scores or quality grade of carcass ranged from -0.27 to +0.21. Genetic correlations of yield grade with backfat thickness, LM area and carcass weight were 0.91, -0.43, and -0.09,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s of quality grade with scores of marbling, meat color, fat color and texture were -0.99, 0.48, 0.47, and 0.98,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s of price/kg with LM area, carcass weight, marbling, me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were 0.57, 0.64, 0.76, -0.41, -0.79, and -0.42,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s of carcass price with LM area, carcass weight, marbling and texture were 0.61, 0.57, 0.64, and -0.73, respectively, with standard errors ranging from ${\pm}0.047$ to ${\pm}0.058$. The mean carcass weight breeding values increased by more than 8 kg, whereas the mean marbling scores decreased by approximately 0.2 from 2000 through 2009.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genetic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carcass quality could be obtained under the national scale breeding scheme of Korea for Hanwoo and that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breeding scheme should be made to increase genetic progress.

원도심 활성화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서구 원도심의 지역 회복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ld Down-town Activation Indicator -Focusing on Improving Urban Resilience in the Old Down-town of Seo-gu, Incheon-)

  • 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61-569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진단하여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천시 서구 원도심지역의 회복력향상을 위한 활성화 지표개발을 위해 도시재생의 범주에서 활용중인 회복력 유사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예비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의견조사를 통해 지표의 적합성과 중요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활성화지표는 인구의 안정성, 사회적 포용성, 산업의 다양성, 지역의 생산성, 환경적 지속성, 사회기반의 편의성 등 총 6개 구성영역으로 정립하였다. 도출된 60개의 예비지표를 기준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선정된 지표는 42개로 경제활동가능 인구의 확보, 생활형인프라 구축과 정주환경개선, 그리고 산업단지가 포함된 서구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의 고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지표의 객관성을 보완하고 회복력 지수 산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정량적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지역의 쇠퇴진단에 주목하는 기존연구를 보완하며, 회복력의 개념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한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이다.

아까시나무 임분의 임목수확량 및 탄소저장량 추정 (Estimation of Stand Yield and Carbon Stock for Robinia pseudoacacia Stands in Korea)

  • 손영모;김소원;이선정;김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64-269
    • /
    • 2014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군락에 대한 현재 생육지 분포면적의 파악과 임분수확량 및 탄소저장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아까시나무에 대한 분포면적은 1:5,000 임상도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임분수확량은 Weibull 직경분포모델을 이용하였고, 탄소저장량 및 흡수량은 임분수확량에 탄소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임분수확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임분 평균직경, 임분 흉고단면적, 최소 및 최대 직경 등 임분 생장인자에 대한 추정식을 산출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모든 생장인자의 추정식이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유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지의 생산력을 판정할 수 있는 지위지수를 도출한 바, 지위지수는 16~22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을 종합하여 임분수확표를 만들었다. 우리나라 아까시나무는 경상, 충청 및 경기도의 내륙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면적은 26,770 ha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탄소저장량으로 전환한 결과 2,517,598 tC 였으며, 연간 3.76 tC/ha를 흡수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탄소흡수량이 높은 수종으로 알려져 있는 참나무류와 유사하여, 추후 아까시나무가 기후변화 시대에 온실가스를 저장하는 수종으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만든 임분수확표는 아까시나무 경영 및 관리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벼의 생산력(生産力) 분석(分析) II 생산구조(生産構造) 평가(評價)와 군낙평점(群落評點) (Analysis of Productivity in Rice Plant II Evaluation of Canopy Structure and Canopy Score)

  • 박훈;김영섭;윤종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5
    • /
    • 1972
  • 새로 육종(育種)된 다수성(多收性) 품종인 IR677계통(수원 213 및 214)과 진흥(振興) 및 팔달(八達)을 사용 포장상태(圃場狀態)에서의 군란구조(群落構造)를 비교분석(比較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IR667계통 (IR8${\times}$Taichung Native 1${\times}$Yukara)은 군락(群落)높이가 낮고 개벽도(開蘖度)가 크며 개엽도(開葉度)가 적고 엽장비율(葉長比率)(지엽장(止葉長)/3엽장(葉長))이 적고 4+5절간장(節稈長)이 짧으며 5절간(節幹) 직경(直俓)이 커서 결과적으로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가 크며 수중형(穗重型)이고 엽중비율(葉重比率)(엽중(葉重)/엽초십간중)이 큰 장점을 갖는 반면 엽폭(葉幅)이 크고 엽수(葉數)(잎수/$m^2$)가 적고 비엽면적(比葉面積)( $cm^2/g$)이 적고 노화(老化)에 의한 군락파양율(군낙파양율)이 큰 단점(短點)을 갖고있다. 2) IR667 계통은 군락구조(群落構造)의 10개(個) 구성요소(構成要素)에 의한 구조(構造)의 평가방식(評價方法)으로 제안(提案) 한 "군락평점(群落評點)"이 훨씬 높으며 결과적으로 수량(收量)도 높았다. 3) 개별엽(個別葉)의 질(質)은 장려품종이 좋은때문에 보다 높은 수량을 위한 조합(組合)은 장려품종의 엽(葉)으로 IR667의 구조(構造)를 갖는 것이다.

  • PDF

Meadow fescue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I. 영양생장기에 있어서의 형질과 건물수량과의 관계 (Studies on Productivity in Meadow Fescue ( Festuca Pratensis Huds. ) I.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bical characters and dry metter yield at Vegetative Growth stage)

  • 정충섭;이주삼;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17
    • /
    • 1983
  •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의 형태적(形態的)과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하여 수량(收量)에 관여(關與)되는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과 품종(品種)의 특성(特性)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개체중(건물중(乾物重))은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및 경면적(莖面積)과 유의(有意)한 정상관(正相關)을 나타내어, 개체중의 증가(增加)는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 경면적(莖面積)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라고 할 수 있다. 2. 경면적(莖面積)은 건물중(乾物重)을 증가(增加)시키는 중요(重要)한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의 하나라고 생각되었다. 3. 초형지수(草型指數)에 의하여 품종(品種)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경중형(莖重型)에는 M이 중간형(中間型)에는 Leto, First, Trader, 경수형(莖數型)에는 Bundy, Tammisto가 속(屬)하였다. 4. 경중형(莖重型) 품종(品種)은 초장(草長)이 낮고, 경수(莖數)가 적으나 경건(莖巾)이 두껍고 1 경중(莖重)이 무거웠으며, 경수형(莖數型) 품종(品種)은 초장(草長)이 크고 경수(莖數)는 많으나 1 경중(莖重)이 가벼운 특징(特徵)을 나타 내었다. 5. 경중형(莖重型) 품종(品種)(M)이 다수(多收)를 얻기 위해서는 경수(莖數)를 증가(增加)시키고 초장(草長)을 높게 하는 조건(條件)이 필요(必要)하다고 생각되었다.

  • PDF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Supplemented with Bacillus licheniformis in Drinking Water

  • Liu, Xiaolu;Yan, Hai;Lv, Le;Xu, Qianqian;Yin, Chunhua;Zhang, Keyi;Wang, Pei;Hu, Jiy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5호
    • /
    • pp.682-689
    • /
    • 2012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acillus licheniformi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Nine hundred one-d-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experimental groups with three replicate pens of 100 broiler chicks. Three treatments were i) control, ii) basal diets supplemented with 1 ml of B. licheniformis for each in feed water per day iii) basal diets supplemented with 2 ml of B. licheniformis per chick in feed water per day. The supplementation of B. licheniformis significantly increased body weight in grower chickens (p<0.05), and significantly improved the feed conversion in 3 to 6 and 0 to 6 wk feeding perio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Additionally, the supplement also resulted in increased protein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decreased fat content in chicken breast fillet (p<0.05). Furthermore, improvement in sensory attributes was observed in broilers fed with the probiotic. In conclusion, B. licheniformis treatm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p<0.05) in broiler productivity based on an index taking into account dail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Meanwhile, the probiotic contributed towards an improvement of the chemical, nutritional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breast fillet. Overall, the study indicates that B. licheniformis can be used as a growth promoter and meat quality enhancer in broiler poul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