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ity index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9초

건축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한 초기 단계에서의 Off-Site Construction 공법 도입 여부 의사 결정 시스템 개발 - 공동주택 골조공사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cision Making System in adopting Off-Site Construction Method in the Initial Stage Considering the Building Project Characteristics -Focused on Structure Work of Apartment Housing-)

  • 이성호;차희성;손보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9-97
    • /
    • 2022
  • 최근 국내 건설산업에는 생산성 저하, 기능 인력 유입 부족, 품질 저하, 안전사고 증대 우려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Off-Site Construction (OSC)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의 주체들은 기존의 현장 타설 공법뿐만 아니라, OSC의 도입 또한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를 하고 있다. OSC의 도입은 초기 단계에서의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위한 방법론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특성을 도출하여 그에 대한 공사 난이도 지수를 선정하고 각 공법별 cost model을 개발하여 표준 공사비를 산정하여 최종 공사비 점수를 도출하는 의사 결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사 결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초기 단계에서 OSC 공법의 효율적인 도입을 위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dividual and Occup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The First-ever Occupational Health Study Among Bangladeshi Online Professionals

  • Hossian, Mosharop;Nabi, Mohammad Hayatun;Hossain, Ahmed;Hawlader, Mohammad Delwer Hossain;Kakoly, Nadira Sultana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1호
    • /
    • pp.98-105
    • /
    • 2022
  • Objectives: Low back pain (LBP) is a common chronic condition among sedentary workers that causes long-term productivity los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and occupational factors with LBP among Bangladeshi online professional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468 full-time online professionals who usually worked in a sitting position. One-month LBP complaints were assessed using a musculoskeletal subscale of subjective health complaints.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measure associations between categorical predictors and LBP,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BP. Results: LBP within the last month was reported by 65.6% of participant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ge >30 years (adjusted odds ratio [aOR], 0.40; 95% confidence interval [CI], 0.23 to 0.70) and being married (aOR, 0.59; 95% CI, 0.36 to 0.97) had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with LBP.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were found for spending >50 hours weekly on average working in a sitting position (aOR, 1.61; 95% CI, 1.05 to 2.49), being overweight and obese (aOR, 1.87; 95% CI, 1.16 to 2.99), sleeping on a soft mattress (aOR, 2.01; 95% CI, 1.06 to 3.80), and ex-smoking status (aOR, 3.33; 95% CI, 1.41 to 7.87). Conclusions: A high prevalence of LBP was found among full-time online professionals. Long working hours in a sitting 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veloping LBP. Smoking history, body mass index, and sleeping arrangem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ile considering solutions for LBP prevalence among online professionals.

수도재배를 위한 농업지대기후구분 (Zoning of Agroclimatic Regions Based on Climatic Characteristics During the Rice Planting Period)

  • 최돈향;정영상;김병찬;김만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9-235
    • /
    • 1985
  • 우리나라의 농업기후자원량의 분포와 변동을 파악하여 벼의 안전재배기준을 설정하는 데 이용하고자 수집가능한 전국 155개소의 농업기상자료를 전산화하여 농업지대의 기후구분을 시도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4~5월의 평균기온은 10~16$^{\circ}C$의 분포를 보이며 유효온도 15$^{\circ}C$ 이상인 작물기간은 태백산맥의 고냉지대가 100~130일 이며, 남부해안지대에서는 180일로 50일 이상 차이가 있다. 2. 이앙기에 한발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4~6월 한발지수(∑E/∑R)가 1.2이상이 되는 영남분지 및 동해안지대이다. 3. 7~9월의 평균기온은 18$^{\circ}C$이하에서 $25^{\circ}C$까지 7$^{\circ}C$이상 차이가 있으며 태백산맥산간지와 소백산간지를 주향하는 22$^{\circ}C$이하 지역이 냉해우려지이며 표준편차 2.8$^{\circ}C$ 이상인 지역은 내륙성을 보인다. 4. 동해안지대와 태백산간지대는 영서내륙지대보다 특히 일조시수가 짧다. 5. 기후생산력지수는 태백고냉지대가 0.7~0.8로 가장 낮으며 소백산간지대는 0.9~0.95이다. 기후생산지수가 가장 높은 지대는 호남의 차영남부 평야지이다. 6. 기후자원량의 분포와 변동 및 기후지수를 중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태백고냉지대 등 19개 농업지대로 기후구분된다.

  • PDF

The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During Work From Ho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 Sjahrul Meizar Nasri;Indri Hapsari Susilowati;Bonardo Prayogo Hasiholan;Akbar Nugroho Sitanggang;Ida Ayu Gede Jyotidiwy;Nurrachmat Satria;Magda Sabrina Theofany Simanjunta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66-70
    • /
    • 2023
  • Backgroun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xtend the duration of using gadget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s. A prolonged usage of these gadgets in a static position can lea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while using gadgets during work from hom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online-based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from the University of Indonesia, consisting of lecturers, students, and managerial staff. The minimum number of respondents was 1,080 and was defin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Furthermore, the dependent variable was musculoskeletal symptoms, while the independent were age, gender, job position, duration, activity when using gadgets, and how to hold them. Resul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mobile phones but only 16% had tablets. Furthermore, about 56.7% have used a mobile phone for more than 10 years, while about 89.7% have used a tablet for less than 10 years. A multivariate analysis found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SD symptoms while using a mobile phone, such as age, gender, web browsing activity, work, or college activities. These activities include doing assignments and holding the phone with two hands with two thumbs actively operating. The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SD symptoms when using tablets were gender, academic position, social media activity, and placing the tablet on a table with two actively working index fingers. Conclusion: 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WFH and e-learning policies to reduce MSD symptoms and enhance productivity at work.

Multi-environment Trial Analysis for Yield-related Traits of Early Maturing Korean Rice Cultivars

  • Seung Young Lee;Hyun-Sook Lee;Chang-Min Lee;Su-Kyung Ha;Youngjun Mo;Ji-Ung Jeu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252
    • /
    • 2022
  • Genotype-by-environment interaction (GEI) refers to the comparative response of genotypes to different environments conditions. Thus, understanding GEI is a fundamental component for selecting superior genotypes for breeding programs. The significance of utilizing early maturing cultivars not only provides flexibility in planting dates, but also serves as an effective strategy to reduce methane emission from the paddy fields. In this study, we conducted multi-environment trials (METs) to evaluate yield-related traits such as culm length, panicle length, panicle number, spikelet per plant, and thousand grain weight. A total of eighty-one Korean commercial rice cultivars categorized as early maturing cultivars, were cultivated in three regions, two planting seasons for two years. The genotype main effect plus genotype-by-environment interaction (GGE) biplot analysis of yield-related traits and grain yield explained 70.02-91.24% of genotype plus GEI variation, and exhibited various patterns of mega-environment delineation, discriminating ability, representativeness, and genotype rankings across the planting seasons and environments. Moreover, simultaneous selection using weighted average of absolute scores from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WAASB) and multi-trait stability index (MTSI) revealed six highly recommended genotypes with high stability and crop productivity. The winning genotypes under specific environment can be utilized as useful genetic materials to develop regional specialty cultivars, and recommended genotypes can be used as elite climate-resilient parents to improve yield-potential and reduce methane emission as part to accomplish carbon-neutrality.

  • PDF

북극항로 무역 성장을 위한 러시아 북극의 항만 효율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rt Efficiency in the Russian Arctic as a Key Factor for Trade Growth in the Northern Sea Route)

  • 일라나;이향숙
    • 무역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21-148
    • /
    • 2023
  • 북극 해빙의 급속한 용해는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실행 가능한 대체 해로로서 북극항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켜 왔다. 현재까지 북극항로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 안전성, 수익성,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북극항로는 국제 교역의 중요한 루트가 될 것이며, 무역 원활화를 위해서는 항만 효율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극항로의 중요한 위치해 있는 항만들, 특히 러시아 북극 항만들의 효율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터 포락 분석(DEA) 모델과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적용하여 러시아 17개 항구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DEA 분석 결과, 주로 서부 지역에 속하는 항만들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무르만스크와 바란데이와 같은 항구는 지속적으로 높은 효율성과 꾸준한 규모의 수익을 보여주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DEA-Malmquist 모형 결과에 의하면 기술발전에도 불구하고 모든 항구에 대한 전반적인 자원 활용 효율성의 개선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프라 개발 계획 및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북극항로 항만 당국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의 생물종 다양성, 구조 다양성과 지상부 생물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Aboveground Biomass and Measures of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in Quercus mongolica-Dominated Forest, Mt. Jeombong)

  • 정헌모;장인영;홍승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2-1031
    • /
    • 2016
  • 본 연구는 강원도 점봉산에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군락에서 군락의 지상부 생물량과 생물종 다양성, 그리고 군락 구조의 다양성 간의 관계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에서 측정한 지상부 생물량은 총 $311.1ton{\cdot}ha^{-1}$였으며, 종 별 생물량 및 구성 비율은 신갈나무 $206.3ton{\cdot}ha^{-1}$(66.3%),까치박달 $36.9ton{\cdot}ha^{-1}$(11.9%),피나무 $30.6ton{\cdot}ha^{-1}$(9.8%)등의 순으로 적었다. 신갈나무의 지상부 생물량이 가장 많은 것은 전체에 비해 임목 밀도가 많지 않지만, 평균 흉고직경(DBH)이 50cm 이상인 개체수 비율이 다른 수종에서 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군락의 종 다양성 지수(H')와 종 균등도(J')를 추정해 본 결과 각각 2.015~2.166과 0.673~0.736의 범위 내에서 시간에 따른 점진적인 증가를 보여 주고 있다. 위의 종 다양성 지수와 종 균등도는 지상부 생물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는 시간이 변함에 따라 신갈나무군락의 지상부 생물량이 공간적으로 균일해진다는 것과 이러한 현상이 다양한 수종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생물량-종 다양성 지수(BS)와 종 풍부도-생물량-종 다양성 지수(ABS)도 각각 3.746~3.811, 4.781~5.028 범위 내에서 시간에 따른 점진적인 증가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들 지수와 지상부 생물량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는 신갈나무군락의 지상부 생물량이 다양한 수종에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경급에 따라 균일해 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점봉산 신갈나무군락은 군락의 구조적 다양성을 통하여 생산성과 탄소 저장 능력이 더욱 효율화 되어, 자원이 풍부한 생태계로서의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복원된 산림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의 유지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종과 다양한 DBH 수목의 선택적 식재를 제안한다.

부위별(部位別) 녹용(鹿茸)이 흑색종(黑色腫) 유발(誘發) 생쥐의 종양억제(腫瘍抑制)와 면역기능(免疫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artial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on Antitumoral Immune Response in Melanoma-induced Mice)

  • 오하석;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78
    • /
    • 2000
  • Introd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al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on antitumoral immunological, a group of mice are melanoma-induced and observed reponses in terms of the number of lymphocyte, CD4+ count, CD8+ count, CD4+/CD8+ ratio in blood and spleen, change in body weight, melanoma weight, spleen index, NK cell activity and productivity of IL-2 in each mouse Methodology: Male C57BL/6 mice were chosen as an experimental object and were divided into 5 groups randomly selection. The normal group did not receive any induction. The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normal saline in melanoma-induced' mice. Sample I group induced the upp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 melanoma-induced mice. Sample II group was induced the middle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 melanoma-induced mice. Sample III group was induced the low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 melanoma-induced mice. The dosage of medication was 0.2cc daily for 14days.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ymphocyte in spleen in the sample I (upp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duced) and the sample II (middle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sample III (lower part of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induced).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lymphocyte in blood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sample groups. 2. In the CD4+ T cell ratio in blood,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 groups. In the CD4+ T cell ratio in splee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 I and the control group, while the sample II and the sample III ha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ontrol group. And also, it has been observe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sample I and the other samples. 3. In the CD8+ T cell ratio in spleen,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ratio in blood. 4. In the CD4+/CD8+ T cell ratio in blood, the sample 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sample 1I and sample III showed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D4+/CD8+ T cell ratio in spleen, all three sampl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n the sample I had a difference to the other sample groups. 5. The spleen index of the sample I and the sample I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sample III and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groups, the sample I and the sample I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ample III. 6. In terms of the change in body weight and melanoma weight,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 groups showed the sample and the sample II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sample Ⅲ. 7. In comparison of NK cell activity, the sample I had a differenc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when the effector to target cell ratio was 2.5:1. With the ratio of 5:1, the sample I and sample I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sample Ⅲ showed a difference. When the effector to target cell ratio was 1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8. In the productivity of IL-2, all three sampl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between sampl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sample groups in order of the sample I , the sample II and the sample Ⅲ. Conclusion: As one can witness from the above results, administration of partial Cervus elaphus Linne extract played important role in antitumoral immune response in melanoma-induced mice,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sample I and sample II groups have prominent antitumoral immune effect.

  • PDF

얌빈의 온도별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산성 비교 (Germination of Yam Bean Seeds 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Its Productivity with Different Seeding Dates)

  • 엄미정;김치선;김은지;정현수;김정만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5-252
    • /
    • 2018
  • 얌빈(Pachyrhizus erosus, Yam bean)은 멕시코 원산의 아열대성 콩과 식물로서 아삭하고 즙이 많아 생으로 먹거나 다양한 요리재료로 사용되는 구근채소이다. 본 시험은 국내에서 얌빈 재배시 적정 파종시기를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국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2종을 대상으로 하여 온도에 따른 발아특성과 파종시기에 따른 적산온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발아율은 $18^{\circ}C$이상에서 86.0~94.0%를 보였으며, 발아 소요일수는 낮은 온도에서 길게 나타났다. 천군만마 품종이 태국 재래종에 비해 개화기나 구근 형성시기가 더 늦었고, 개화와 구근형성 및 비대에 필요한 적산온도도 각각 $293^{\circ}C$, $280^{\circ}C$, $108^{\circ}C$가 더 소요되었으며, 지상부나 구근의 건물량은 더욱 많았다. 또한, 4월 25일 파종은 다른 시기에 비해 구근형성기까지 일수가 더 소요되었고, 구근형성과 비대시기의 지연으로 수확지수가 낮았으며, 6월 9일 이후 파종시는 영양생장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10월 하순 이후 저온 및 서리로 인해 생육이 정지되어 구근의 충분한 비대가 어려웠다. 한편, 5월 10일과 25일에 파종한 경우에는 일장, 온도 등의 변화가 영양생장과 구근형성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얌빈 두 종 모두 구근 건물량과 수확지수가 높고 수량이 많아 파종시기로 적합하였다.

배 특화지역에서의 태풍내습 빈도에 의한 낙과 피해 경감 효과 (Alleviation Effect of Pear Production Loss Due to Frequency of Typhoons in the Main Pear Production Area)

  • 정재원;김승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3-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태풍에 의해 낙과피해가 큰 과수인 배에 대해서 연간 태풍횟수가 당해년도 배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배는 과실이 비대해지는 성숙기와 수확기가 태풍 내습 시기와 겹치면서 다른 과수에 비해 낙과피해에 의한 생산효율성이 크게 감소하는 과수이다. 이러한 낙과피해에 의한 생산효율성의 감소를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을 실시하여 계측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연재해인 태풍에 대해 배 생산이 특화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 있어 생산효율성의 감소가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배 생산 농가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특화계수 값을 구하였고, 이를 통해 배 생산이 전국에 비해 특화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태풍 횟수 변수와 특화여부 변수의 상호작용변수(interaction variable)를 분석에 포함하여 태풍에 의한 생산효율성의 감소와, 특화지역 여부에 따른 지역별 상이한 태풍 피해를 계측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Cobb-Douglas 함수 형태를 가정한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에서 토지, 노동, 자본 세 가지 투입요소는 생산량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술적 비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국내 영향을 미친 유효태풍 횟수, 지역특화여부, 상호작용변수, 도시여부, 시간 흐름에 따른 트렌드 변수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유효태풍 횟수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특화여부와 곱의 형태로 나타낸 상호작용변수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음(-)의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효태풍에 의해 배 농가의 생산효율성이 감소하지만, 배 생산이 특화된 지역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생산효율성이 적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해 특화된 지역일수록 피해를 저감시키는 기술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파풍망의 설치나 파풍수의 식재 등이 태풍에 의한 낙과 피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품종에 대해서도 과실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황금배 품종에 있어 낙과 피해가 적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태풍 피해를 경감시키는 기술 및 품종의 보급과 적용이 배 생산이 특화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는 향후 연구를 통해 살펴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지역특화여부 자체의 추정계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여부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한 값을 가지므로 광역시 이상의 도시지역에 위치한 배 농가의 경우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도별 트렌드 변수의 추정계수 값은 통계적으로 음(-)의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 농가들의 생산효율성은 조금씩 제고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농가소득 자료가 연도별 지역별 특정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된 패널자료의 형태임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은 분석방법에 있다. 추후 패널자료를 활용한 확률 프런티어 분석(panel 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통해 보다 정교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태풍의 크기나 강도 및 경로를 고려하지 않아 그로 인한 지역별 상이한 태풍의 영향을 계측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유효태풍 횟수에서 한 발 나아가 지역별 최대풍속자료 등을 활용하여 특화지역 여부에 의한 지역별 태풍피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태풍의 이동경로나 태풍의 규모까지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를 갖는 격자화된 모델 기상자료(가령, Lee et al., 2016)와 연계될 경우, 최근 대두되고 있는 태풍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예보를 정량적으로 수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