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lleviation Effect of Pear Production Loss Due to Frequency of Typhoons in the Main Pear Production Area

배 특화지역에서의 태풍내습 빈도에 의한 낙과 피해 경감 효과

  • Received : 2017.02.17
  • Accepted : 2017.05.1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yphoons on pear production. Pears are typical fruits that are vulnerable to typhoon damages, so typhoon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ar productivity. However, relatively less pear damages by typhoons in the main pear production area, comparing to the average in Korea, have been reported. The main production area seems to adopt better agricultural techniques or practices to cope with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Thus, this study tests the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production losses due to typhoons between the main pear production area and the rest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main production area is defined by Location Quotient Index (LQI), and we found that LQI had a significant effect to decrease the productivity losses in the main production areas, which shows that those production areas alleviated the pear production loss due to typhoons.

본 연구에서는 태풍에 의해 낙과피해가 큰 과수인 배에 대해서 연간 태풍횟수가 당해년도 배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배는 과실이 비대해지는 성숙기와 수확기가 태풍 내습 시기와 겹치면서 다른 과수에 비해 낙과피해에 의한 생산효율성이 크게 감소하는 과수이다. 이러한 낙과피해에 의한 생산효율성의 감소를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을 실시하여 계측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연재해인 태풍에 대해 배 생산이 특화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에 있어 생산효율성의 감소가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배 생산 농가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특화계수 값을 구하였고, 이를 통해 배 생산이 전국에 비해 특화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태풍 횟수 변수와 특화여부 변수의 상호작용변수(interaction variable)를 분석에 포함하여 태풍에 의한 생산효율성의 감소와, 특화지역 여부에 따른 지역별 상이한 태풍 피해를 계측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Cobb-Douglas 함수 형태를 가정한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에서 토지, 노동, 자본 세 가지 투입요소는 생산량에 양(+)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술적 비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국내 영향을 미친 유효태풍 횟수, 지역특화여부, 상호작용변수, 도시여부, 시간 흐름에 따른 트렌드 변수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유효태풍 횟수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특화여부와 곱의 형태로 나타낸 상호작용변수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음(-)의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효태풍에 의해 배 농가의 생산효율성이 감소하지만, 배 생산이 특화된 지역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생산효율성이 적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해 특화된 지역일수록 피해를 저감시키는 기술의 파급효과(spillover effect)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파풍망의 설치나 파풍수의 식재 등이 태풍에 의한 낙과 피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고, 품종에 대해서도 과실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황금배 품종에 있어 낙과 피해가 적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태풍 피해를 경감시키는 기술 및 품종의 보급과 적용이 배 생산이 특화된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는 향후 연구를 통해 살펴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지역특화여부 자체의 추정계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여부의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한 값을 가지므로 광역시 이상의 도시지역에 위치한 배 농가의 경우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도별 트렌드 변수의 추정계수 값은 통계적으로 음(-)의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 농가들의 생산효율성은 조금씩 제고되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농가소득 자료가 연도별 지역별 특정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된 패널자료의 형태임에도 이를 고려하지 않은 분석방법에 있다. 추후 패널자료를 활용한 확률 프런티어 분석(panel 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통해 보다 정교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태풍의 크기나 강도 및 경로를 고려하지 않아 그로 인한 지역별 상이한 태풍의 영향을 계측하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유효태풍 횟수에서 한 발 나아가 지역별 최대풍속자료 등을 활용하여 특화지역 여부에 의한 지역별 태풍피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태풍의 이동경로나 태풍의 규모까지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를 갖는 격자화된 모델 기상자료(가령, Lee et al., 2016)와 연계될 경우, 최근 대두되고 있는 태풍이 농업에 미치는 영향예보를 정량적으로 수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igner, D., C. A. K. Lovell, and P. Schmidt, 1977: Formulation and estimation of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models. Journal of Econometrics 6, 21-37. https://doi.org/10.1016/0304-4076(77)90052-5
  2.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286-306.
  3. Battese, G. E., 1992: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and technical efficiency: a survey of empirical applications in agricultural economics. Agricultural Economics 7(3), 185-208. https://doi.org/10.1016/0169-5150(92)90049-5
  4. Battese, G. E., and T. J. Coelli, 1992: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technical efficiency and panel data: With application to paddy farmes in India.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3, 153-169. https://doi.org/10.1007/BF00158774
  5. Beeson, P., 1987: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and agglomeration economies in manufacturing, 1959-73.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7(2), 183-199.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7.tb01154.x
  6. Cho, G. O., C. H. Song, and D. H. Jang, 2014: Forma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main producing areas of vegetables-focused on on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History 13(2), 45-65.
  7. Cho, K. S., S. S. Kang, D. S. Son, M. S. Kim, J. B. Kim, J. H. Song, Y. K. Kim, S. B. Jeoung, and G. U. Park, 2004: Survey of typhoon 'Maemi' damage in pear orchards in Ulsan distric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2(S2), 54pp.
  8. Choe, J. I., and K. C. Kang, 2016: An impact of industrial agglomeration economies on regional labor productivity: Using panel cointegration approach. The Korean-Japanese Journal of Economics & Management Studies 73, 67-87.
  9. Choi, Y. M., 2000: An uninvited typhoon-How did it affect fruit farming? Life and Agrochemicals 21(10), 11-13.
  10. Gye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2017: Gyengsangbuk-do Agricultural Information Database. http://db.gba.go.kr
  11. Hong, S. J., and J. H. Park, 2008: An analysis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garlic farming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2(4), 59-67.
  12. Jacobs, R., 2001: Alternative methods to examine hospital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Health Care Management Science 4, 103-115 https://doi.org/10.1023/A:1011453526849
  13. Jun, I. S., 2015: Analysis of managerial efficiency composition of red pepper farm by inter- and intra-region.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9(1), 201-210. https://doi.org/10.14397/jals.2015.49.1.201
  14. Jung, J. H., J. S. Roh, H. J. Cho, and S. B. Kim, 2013: The diffusion of new agricultural technology suitable for elderly farmers: A case of elevated hydroponics for strawberry cultivation.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4(4), 245-262.
  15. Kang, S. S., K. S. Cho, M. S. Kim, D. S. Son, and J. H. Han, 2003: Damage of pear(P. pyrifolia Nakai) fruit drop by typhoon called 'Rusa'.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1(S1), 70.
  16. Kathuria, V., 2001: Foreign firms, technology transfer and knowledge spillovers to Indian manufacturing firms: 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Applied Economics 33, 625-642. https://doi.org/10.1080/00036840121940
  17. Kim, A. Y., and E. J. Kim, 2007: Productivity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ts adjacent provinces. Journal of the KRSA 23(2), 53-83.
  18. Kim, C. W., and T. W. Kim, 2012: A study of selection of the growth potential agricultural products in Ulsan c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1-9.
  19. Kim, H. J., and S. W. Lee, 2013: Spatial shift of specialized crops with the application of multi-level model and spatial clustering method. Journal of the KRSA 29(4), 61-81.
  20. Kim, J. H., 2010: Empirical analysis on the economies of agglomeration for the local industrial clusters projects in Korea.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4(2), 157-179. https://doi.org/10.18398/kjlgas.2010.24.2.157
  21. Kumbhakar, S. C., and C. A. K. Lovell, 2003: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Lee, D. S., K. S. Kim, and D. H. An, 2012: An analysis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determinants in transition countrie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4(2), 169-177.
  23. Lee, S. J., J. Song, and Y. Kim, 2016: The NCAM Land-Atmosphere Modeling Package (LAMP) version 1: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 307-319. https://doi.org/10.5532/KJAFM.2016.18.4.307
  24. Lin, B., and H. Long, 2014: 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of China's chemical industry.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87, 235-244.
  25. Lin, Q. L., Z. W. Rhee, N. K. Hong, and T. K. Kim, 2014: An analysis of production efficiency of controlled tomato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1(3), 380-399.
  26. Meeusen, W., and J. van den Broeck, 1977: Efficiency estimation from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s with composite error.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18, 435-444. https://doi.org/10.2307/2525757
  2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Agricultural Insurance Yearbook.
  28.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ural and Herbal Science, 2005: https://www.nihhs.go.kr/nihhs/news/notice_view.asp?f_cd=1002&t_cd=&curpage=78&c_cd=ca10112&d_no=12477
  29. National Typhoon Center, 2017: Typhoon statistics. http://typ.kma.go.kr/TYPHOON/statistics/statistics_02_1.jsp
  30. Oh, M. G., 2004: A study of competitiveness and marketing on vegetables main producing districts. Cooperative Management Review 32, 85-116.
  31. RDA, 2017: Nongsaro Dictionary of Agricultural Terms.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menuId=PS00064&searchWord=%ED%8A%B9%ED%99%94%EA%B3%84%EC%88%98&totalSearchYn=Y
  32. Yeom, S. S., D. G. Choi, and J. H. Song, 2011: Effect of windbreak net on growth, fruit quality, and pest control of pear(Pyrus pyrifola C.V. Niitak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2(2), 27-32.
  33. Yi, H. M., J. T. Goh, and J. S. Kim, 2013: A production efficiency analysis of summer Chinese cabbage farm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4), 209-222.
  34. Yoon, S. E., J. K. Kim, and H. H. Kim, 2013: An analysis on the spatial spillovers of the chili pepper production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4(2), 29-53.
  35. Yun, S. J., and S. R. Yang, 2014: DEA analysis of management efficiency: The cases of raddish and Chinese cabbage farm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S2), 114-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