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on perception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인과 폴란드인의 한국어 모음 발음을 기초로 한 발음과 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 vowels by Koreans and Poles)

  • 안나 이사벨라 파라돕스카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2년도 11월 학술대회지
    • /
    • pp.153-156
    • /
    • 2002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vowels by Koreans and Pol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proved that the relation is not linear and that there might be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than those investigated here. In most of the cases, the comparison of the formant values (F1, F2) between Koreans and Poles proved to determine the perception. However, in some cases certain vowels pronounced by Poles were not perceived as the intended ones, although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ose pronounced by Koreans and perceived as they were intended to be.

  • PDF

음 변화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어 어두 폐쇄음의 발화 및 지각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word-initial stops from a sound change perspective)

  • 김진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39-51
    • /
    • 2021
  • 본고에서는 2020년에 수집된 자유 발화 자료를 바탕으로 어두 폐쇄음 평음, 격음, 경음의 발화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그리고 지각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의 통제된 실험에서와 다르게, 자유 발화에서는 30대 남성까지도 VOT(voice onset time)에 의해 평음과 격음의 변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각실험은 언어 변화의 주도 계층인 젊은 여성 세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어두 폐쇄음의 지각에서 F0이 평음과 나머지 둘을 변별하는 역할을 하였고, 그 다음 VOT가 격음과 경음을 변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F0이 낮을 때에는 VOT의 길이가 짧든 길든 간에 항상 평음으로 지각되었다는 점은 평음의 지각에서 F0이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어떤 F0의 경우에는 VOT에 따라 평음과 격음이 변별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20대 여성의 발화와 지각 체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음 변화의 관점에서 발화와 지각 체계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음 변화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20대 여성에서처럼 발화의 변화가 지각의 변화에 앞서는 경우는 음 변화가 후반 단계에 있을 때이다. 이처럼 언어 변화를 주도하는 계층에서 여전히 지각에서 이전의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의 부모 세대의 발화에서 VOT에 의한 평음과 격음의 변별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이를 습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집단과의 소통을 위해 여전히 VOT를 지각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어 모음의 지각적 차원 -지각과 산출간의 연동- (Perceptual Dimensions of Korean Vowel: A Link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 최양규
    • 음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81-191
    • /
    • 2001
  • The acoustic quality of a vowel is known to be mostly determined by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formant(Fl) and the second formant(F2). The perceptual(or psychological) dimensions of vowel perceptio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lso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ual dimensions, acoustical dimensions(Fl & F2), and articulatory gestures of vowel were discuss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MDS) techniqu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perceptual dimensions of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 In the experiment 8 Seoul standard speakers performed the similarity rating task of 10 synthesized Korean vowels. Two-dimensional MDS solution based. on the similarity rating scores was obt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wo perceptual dimensions, D1 and D2 were correlated strongly with F2 and F1(r = -.895 and .878 respectively), and were so interpreted as 'vowel advancement' and 'vowel height'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ual dimensions of vowel and the articulatory positions of tongue suggested that perception may be directly linked to production. Further research problems were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

  • PDF

건설 근로자의 직업의식 실태분석 및 향상방안 (An Analysis on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the Construction Worker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 신원상;김민재;이강협;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0-211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improvement in professional perception among construction workers engaged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by analyzing the reality of their professional percep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professional percep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managerial workers made their positive reply to items regard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workers but had their negative attitude towards construction as a job and as a recommendable job for others; whereas production workers showed their negative reply to all the items. Second, with respect to factors for construction being firmly regarded as an 3D industry, managerial workers selected 'long working hours' and production workers replied with 'low wages and income insecurity.' Third, as for improvement activities for professional perception of construction, most of construction workers simply knew about activities being performed but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 PDF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인지와 발화에 대한 훈련효과 (Training Effect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Graphem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초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26-233
    • /
    • 2019
  • 다섯 가지 미국 영어 모음 [ʌ, ju, ʊ, u, ə]으로 실현되는 영어 철자 를 어떻게 듣고 발음하는지 그리고 훈련의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서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철자 를 포함한 24개의 영어 단어들에 대하여 사전 시험-훈련-사후 시험의 형태로 인지와 발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적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시험에서 인지와 발화 점수가 모두 사전 시험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다섯 가지 모음 소리가 모두 향상된 것은 아니었다. 인지에서는 긴장 모음 [u]와 이완 모음 [ʊ]을 제외한 모음 소리들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되어서 훈련의 효과를 보였으며 발화에서는 [ʌ], [u], [ʊ]를 제외한 모음들이 훈련의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한국 학생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워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발화에서 이완 모음 [ʊ]를 한국어 [우]와 가장 비슷한 음향적 성질을 가진 긴장 모음 [u]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오류를 우세하게 보였으며 [ʌ]의 경우에는 [u]-비슷한 소리들로 대치함으로써 철자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인지와 발화 시험의 오류 유형을 통해서 목표 모음이 [t, d, n, s]같은 혀끝소리 뒤에서는 미국 영어에서 [j]-탈락이 일어난다는 것을 한국 학생들이 모르고 [j] 삽입하는 경우가 기회 수준이상으로 발생하였다. 반대로, 입술소리 ([p, b, f, v, m])나 연구개소리 ([k, g]) 뒤에서는 [j] 소리가 있지만 철자에는 구현되지 않아서 [j]를 탈락시키는 오류도 보였다. 본 연구의 발견점들을 바탕으로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할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하였다.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Postvocalic Voicing by Korean and English Speakers

  • Chang, Woo-Hyeok
    •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107-120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learners can use the vowel duration cue to distinguish voicing contrasts in word-final consonants in English. Given that the Korean group's performance on the auditory task was much better than their performance on the identification task or on the production task, we conclude that the AX discrimination task makes contact with a different layer of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AX discrimination task can be done at the auditory or phonetic level, where differences in vowel length are still encoded in the representation. In contrast, the identification and production tasks are probing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vowel length and voicing. It was also founded that Korean speakers stored neither vowel length nor voicing in memorized representations and did not internalize the lengthening of the preceding vowel as a rule to differentiate the voicing contrasts of final consonants, even though they were able to detect the acoustic differences in vowel duration provided that they were tested in an appropriate task.

  • PDF

음성 훈련에 따른 영어 모음의 인지와 발화 관계 (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by Phonetic Training)

  • 정순용;초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42-5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 모음들을 어떻게 인지하고 발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영어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42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1개의 영어 목표 모음 /i, ɪ, eɪ, ${\varepsilon}$, ${\ae}$, ${\alpha}$, ɔ, oʊ, ʊ, u, ʌ/이 들어간 영어 단어를 가지고 인지와 발화테스트를 사전과 사후 두 차례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영어음성학 전공수업을 통한 이론학습만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이론학습과 더불어 인지와 발화 훈련을 4주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사전테스트를 실시한 이후 4주간의 훈련과 연습을 통해 사후 인지와 발화 정확도가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과 두 집단이 보인 인지와 발화의 상관관계가 사전과 사후테스트에서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테스트 결과 사전테스트에서는 통제와 실험 두 집단이 인지와 발화에서 강한 상관성을 보인 반면, 사후테스트에서는 두 집단 모두 인지와 발화 간에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집단의 사후 인지와 발화 정확도의 변화가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인지에서 사후 변동 폭이 컸던 반면, 실험집단은 발화의 변동 폭이 더 컸고, 이러한 사후 인지와 발화의 변동이 상관관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되었다.

한국어 어중 공명 중첩자음과 단자음의 조음 및 지각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Word-medial Singleton and Geminate Sonorants in Korean)

  • 김태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145-15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ticulat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ton and geminate sonorants in the word-medial position, effects of the duration of the sonorant consonant and the preceding vowel on percep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of Korean in perceiving the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 contrast. The Korean sonorant consonants(/m, n, l/) are examined from the VCCV, VCV sequences through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experi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uration of the sonorant consona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native Korean speakers to recognize whether sonorants are overlapped, and the duration of preceding vowel and other factors affect the recognition of singleton/geminate consonant contrast if the duration is not obvious. A perception experiment showed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did not clearly distinguish singleton consonants from geminate conson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recognition of singleton/geminate consonant contrast in word-medial of Korean language, and can be utilized for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as a foreign language.

Variations in the perception of lexical pitch accents and the correlations with individuals' autistic traits

  • Lee, Hyunj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53-59
    • /
    • 2017
  •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individual listeners' perceptual vari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indexed by the Autistic Spectrum Quotient (AQ).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lexical pitch accent contrast in the Kyungsang Korean currently undergoing a sound change, and then tested if listeners' perceptual variations were correlated with their AQ scores. Eighteen Kyungsang listener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experiment where they identified two contrastive accent words for auditory stimuli systematically varying F0 scaling and timing properties; the participants then completed the AQ questionnaire. In the results, the acoustic parameters reporting reduced phonetic differences across accent contrasts for younger Kyungsang generation played a reliable role in perceiving the HH word from HL, suggest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in the context of sound change. This study also observed that individuals' perceptual varia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Q sub score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ound change might appear differently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with a different time course, and deviant percepts could be explained by individuals' cognitive measure.

영어파열음 시구간신호의 음향과 지각 비대칭성 연구 (The Study on Asymmetry between Acoustics and Perception of the Temporal Cues of English Plosives)

  • 강석한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5권
    • /
    • pp.15-31
    • /
    • 2005
  • This study tests the hypothesis that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acoustics and perception.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are conducted with temporal cues in different environments(CV, VCV, VC). The result showed that acoustic cues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oiceless/voiced plosives do not behave just as do in perception.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re existed an asymmetry between acoustics and perce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