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ymidon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13초

배추김치와 깻잎지의 제조과정에 따른 잔류농약의 제거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during the Preparation of Baechu Kimchi and Perilla Leaf Pickle)

  • 황래홍;조인순;김민정;조태희;박영혜;박혜원;박경애;김현정;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3-409
    • /
    • 2011
  • 배추와 깻잎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잔류농약이 김치제조 과정에서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추김치의 경우 농약처리 직후 배추에서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농도가 각각 $9.18{\pm}0.03$ mg/kg, $22.27{\pm}0.22$$10.46{\pm}0.02$ mg/kg 이었는데 12시간의 절임과정 후에는 각각 초기 농도의 22.5%, 25.3% 및 0.6% 가 제거된 것으로 조사 되 었다. 절임과 3회의 세척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9.9%, 85.6% 및 11.2%가 제거 되었다. 김치를 제조하여 4주간 발효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79.4%, 94.4% 및 21.0% 가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김치제조 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절임과정 에서 28.4%, 세척과정에서 59.7%, 발효과정에서 11.9%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26.9%, 세척과정에서 63.8%, 발효과정에서 9.3% 가 그리고 endosulfan 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3.2%, 세척과정에서 50.4%, 발효과정에서 46.4%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갯잎의 경우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초기농도가 각각 $18.11{\pm}0.62$ mg/kg, $31.80{\pm}0.33$$12.01{\pm}0.01$ mg/kg 이었으며 3회 세척과정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0.5%, 52.0% 및 23.7% 제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척과 2주간 절임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93.9%, 92.4% 및 49.6% 가 제거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깻잎지 제조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세척과 정에서 64.5%, 절염과정에서 35.5% 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 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56.3%, 절임과정에서 43.7% 가 그리고 endosulfan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47.8%, 절임과정에서 52.2%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포도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의 Procymidone 및 Chlorothalonil의 잔류량변화 (Residual Pattern of Procymidone and Chlorothalonil in Grape During the Period of Cultivation and Storage)

  • 고광용;김금희;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1
    • /
    • 2004
  • In order to know the residual pattern of pesticides and predict to the degradation period until below MRL we experimented procymidone and chlorothalonil for grape which were the most detected pesticide in grape by NAQS(National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management Service) survey. In this experiment we sprayed those pesticides 10 days before harvest and analyzed 0, 1, 2, 3, 5, 7, 10 day sample to establish logical equation and to calculate $DT_{50}$. Also the same day samples stored at $4^{\circ}C$ and $20^{\circ}C$, which were compared their degradation patterns. During the cultivating period, the residue amount of procymidone was changed from 1.85 mg/kg (0 day) to 0.33 mg/kg (10 day), $DT_{50}$ was 3.5 days, and chlorothalonil was changed from 5.5 mg/kg (0 day) to 3.49 mg/kg (10 day), $DT_{50}$ was 4.4 days. During the storage period, $DT_{50}$ of procymidone and chlorothalonil at $4^{\circ}C$ were 10.5 and 7.6 days, and 6.3 and 6.1 days at $20^{\circ}C$, respectively.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흡착성에 따른 용탈 잠재성 평가 (Leaching potential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as affected by adsorption characteristics)

  • 김찬섭;이병무;임양빈;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9-319
    • /
    • 2002
  • 주요 농약 5종의 토양에 대한 흡착계수를 구하여 이동성을 구분하고, 흡착계수와 토양 반감기를 이용하여 토양 중에서의 농약의 용탈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이온성 농약인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고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 3종의 토양을 대상으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토양에 대한 Freundlich 흡착계수(K)는 ethoprophos $0.35{\sim}0.95$, iprobenfos $0.98{\sim}2.2$, procymidone $1.2{\sim}4.3$, isoprothiolane $1.5{\sim}3.5$, butachlor $7.9{\sim}19$ 범위이었고, Koc에 의한 이동성 분류체계에 의하면 ethoprophos는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또한 유기물에 대한 흡착계수(Koc)와 토양 중에서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지수화한 Groundwater Ubiquity Score (GUS) index 방법과 Koc와 분해상수 및 토양환경조건의 영향을 고려하는 흡착/분해 표준지수 방법을 이용하여 용탈잠재성을 평가하였다. 두 평가방법에 의하여 isoprothiolane과 iprobenfos은 중간 정도의 용탈 가능성이 있고 ethoprophos가 약간의 용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utachlor와 procymidone은 용탈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대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양토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낮은 식양초에 비하여 농약의 용탈잠재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약의 흡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토양 유기물이 용탈 잠재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살균제 저항성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mepanipyrim의 효과 (Effect of Mepanipyrim on the Resistant Isolates of Gray Mold fungus, Botrytis Cinerea to the Fungicides of Benzimidazole and Dicarboximide)

  • 구한모;안승준;신호철;도은수;신미호;김유석;김진희;천세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59-265
    • /
    • 2006
  • Benomyl과 procymidone에 대한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저항성 균주와 감수성 균주에 대한 mepanipyrim의 효과를 실내에서 조사하고 딸기, 오이, 포도에 대한 포장에서의 잿빛곰팡이병의 방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율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benomyl과 procymidone을 각각 $100{\mu}g\;a.i./ml$씩 첨가한 감자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서 benomyl과 procymidone 살균제에 저항성 또는 감수성인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저항성 균들의 포자발아는 mepanipyrim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저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포자 발아와는 대조적으로 균사의 생장은 benzimidazole 또는 dicarboximide계의 기존 다른 약제와 유사하게 억제되었다. Benomyl과 procymidone에 저항성인 분리 균주를 오이 잎에 접종한 후 mepanipyrim $250{\mu}g\;a.i./ml$을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의 침투력이 현저히 억제되었지만 benomyl과 procymidone을 처리하였을 때는 그렇지 못했다. Mepanipyrim $250{\mu}g\;a.i./ml$을 포장에서 딸기, 오이, 포도에 처리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이 현저히 억제된 것으로 나타나(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mepanipyrim이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등의 다른 살균제에 저항성인 잿빛곰팡이병원균에 의한 병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

인삼 잿빛곰팡이병균의 procymidone에 대한 감수성 변화와 carbendazim/diethofencarb 합제와의 다중 저항성 (Monitoring for the Resistance of Botrytis cinerea Causing Gingseng Gray Mold to Procymidone and Its Multiple resistance with the Mixture of Carbendazim/Diethofencarb)

  • 이선욱;김주형;민지영;배영석;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70-176
    • /
    • 2007
  • 인삼의 잎에서 발생한 잿빛곰팡이병의 병반으로부터 병원균인 Botrytis cinerea의 224개 균주를 단포자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리한 B. cinerea는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procymidone, carbendazim, carbendazim과 diethofencarb 합제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를 $EC_{50}$(균사생장을 50% 억제하는 농도)과 MIC(균사생장을 100% 억제하는 최소농도) 값을 조사하였다. Procymidone에 대한 MIC값을 가지고서 병원균을 분류하면 0.8과 $4.0{\mu}g/ml$ 사이에 속하는 그룹과 $20{\mu}g/ml$ 이상인 그룹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었다. 2005년에 분리한 균주들은 지역별로 procymidone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procymidone의 각각의 농도에 대한 균사 생장 억제 양상을 가지고 병원균을 각각 감수성($EC_{50}$ 값이 $2.0{\mu}g/ml$ 이하), 중도저항성($EC_{50}$ 값이 2.0과 $5.0{\mu}g/ml$ 사이), 저항성($EC_{50}$ 값이 $5.0{\mu}g/ml$ 이상) 등의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procymidone에 대해서 저항성인 B. cinerea의 비율은 2005년에 19.3%가 2006년에는 27.5%로 상승하였으며, 저항성 그룹의 평균 $EC_{50}$ 값도 $10.0{\mu}g/ml$에서 $237.3{\mu}g/ml$으로 상승하였다. Procymidone과 carbendazim의 경우에 다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90개로 전체의 40.2%이었으며, 합제와의 다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9개 밖에 없었다.

고체상 추출법과 GC/MS를 이용한 포도주 중의 fungicides 정량 (Determination of fungicides in wines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with mass selective detection)

  • 박교범;이석근
    • 분석과학
    • /
    • 제16권6호
    • /
    • pp.438-44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국내 및 외제 와인에 대하여 vinclozolin, dichlofluanid, penconazole, procymidone 등의 살균제 잔류함량을 고체상 추출법을 이용한 GC/MS-SIM 방법으로 정량 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시료에서 procymidone의 함량이 $2.2-76.1{\mu}g/L$가 검출되었고, 회수율은 81.3-93.1 %, 표준편차는 1.4-3.4 %로 나타났다.

Microwave를 이용한 인삼 중의 잔류 농약 추출 (Extra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Ginseng by Microwave)

  • 김택겸;김장억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5-371
    • /
    • 1999
  • 인삼시료에 있는 quintozene, tolclofos-methyl 그리고 procymidone 등의 농약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icrowave를 이용할 수 있을 지의 여부와 인삼을 가공제품으로 만들기 전에 microwave를 이용하여 잔류농약 성분을 신속히 추출하여 제거시킬 수 있는지 알고자 하였다. 인삼분말 시료에 hexane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microwave 추출의 최적 조건은 power 150 watts, 추출시간 2분이었고 그 추출 효율은 Soxhlet으로 7시간 동안 가열 환류 추출한 결과를 지수 100으로 하였을 때 quintozene 100, tolclofos-methyl 92, procymidone 100으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microwave 추출법을 사용함으로써 실제 Soxhlet 추출법에서 사용된 용매양의 최소 7배 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고 추출 시간 또한 7시간에서 2분으로 훨씬 단축되었다. 인삼 엑기스 제조 전 잔류농약 성분의 제거 실험에 있어서 45%나 60% ethyl alcohol을 용매로 사용하고 microwave로 power 150 watts 추출시간 2분 이내로 1회 추출하여 quintozene 100%, tolclofos-methyl 69%, procymidone 83%정도의 제거효과를 얻었다.

  • PD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의 토양 중 용탈과 이동성 예측 (Leaching and mobility prediction of butachlor, ethoprophos, iprobenfos, isoprothiolane and procymidone in soils)

  • 김찬섭;박경훈;김진배;최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00-308
    • /
    • 2002
  • 토주용탈실험으로 농약별 이동 양상을 파악하고, 흡착계수와 토양관련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대류 이동성 모형(Convective mobility test model)으로 예측한 용탈 속도와 비교 평가하였다. 토양살충제 ethoprophos, 원예용 살균제 procymidone, 도열병약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및 수도용 제초제 butachlor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고 토지이용 형태를 기준으로 논, 밭 및 산림토양으로 구분한 3종의 토양에 대하여 토주용탈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농약을 $50{\mu}g/cm^2$ 수준으로 토주 상단에 처리하였을 때 토심 30 cm 이동 후 용탈되는 농약별 peak 농도는 ethoprophos $0.74{\sim}3.61mg/mL$, iprobenfos $0.35{\sim}1.67mg/L$, procymidone $0.16{\sim}0.84mg/L$, isoprothiolane $0.16{\sim}0.67mg/L$, butachlor 0.15 mg/L이하 수준이었고, peak 농도 출현까지 소요된 용탈수량은 ethoprophos $2{\sim}4$ pore volume (PV), iprobenfos $3{\sim}10PV$, procymidone $5{\sim}13PV$, isoprothiolane $4{\sim}14PV$, butachlor $19{\sim}61PV$ 수준이었다. 대류 이동성 모형에 의한 예측 결과, 이동소요시간은 표준조건에서 ethoprophos $9{\sim}18$일, iprobenfos $17{\sim}35$일, isoprothiolane $24{\sim}54$일, procymidone $21{\sim}65$일 및 butachlor $105{\sim}279$일로 나타나 대류 이동성 모형 분류에 따르면 ethoprophos는 mobile${\sim}$most mobile, iprobenfos, isoprothiolane 및 procymidone은 moderately mobile${\sim}$mobile 그리고 butachlor는 slightly mobile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주용탈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대류 이동성 모형에 의하여 이동소요시간을 예측한 결과는 대부분의 토양-농약 조합에서 잘 일치하여 이동소요시간의 예측에 대류 이동성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깻잎의 재배, 저장 및 세척에 따른 잔류농약 분해특성 (The Degradation Patterns of Three Pesticides in Perilla Leaf by Cultivation, Storage and Washing)

  • 서정미;김종필;양용식;오무술;정재근;신현우;김선주;김은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9-208
    • /
    • 2007
  • 들깻잎에서 부적합 빈도가 높은 농약성분 중 안전사용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indoxacarb, procymidone과 들깨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dimethomorph의 재배 및 저장기간에 따른 잔류량 변화, 세척방법에 따른 제거효과를 실험하였다. 들깻잎에서 dimethomorph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표준량 처리시료와 배량 처리시료가 각각 2.91일, 3.11일이었고, indoxacarb는 2.53일과 3.14일, procymidone은 2.62일과 2.92일이었다. 회귀식을 이용하여 MRL이하로 잔류량이 떨어지는 시점을 예측한 결과, 표준량 처리시료와 배량 처리시료가 dimethomorph는 각각 12.2일, 14.6일이였고, indoxacarb는 11.6일과 15.5일, procymidone은 11.7일과 13.9일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잔류량 감소율이 농약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저장온도 별로는 $2.1{\sim}3.8$배의 감소율 차이를 보여 실온 대비 저온 보관에서 농약의 감소가 적었다. 세척방법에 따른 잔류농약의 세척률은 indoxacarb가 $74.1{\sim}9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procymidone $57.9{\sim}81.6%$, dimethomorph $51.3{\sim}73.3%$ 순으로 나타났다.

연작으로 인한 토양잔류 Procymidone의 비의도적 후작물 흡수이행 (Uptake and Carry-over of Procymidone Residues to Non-target Succeeding Crop from Applied on Preceding Crop)

  • 곽세연;이상협;;김효영;신병곤;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3-210
    • /
    • 2021
  • BACKGROUND: Pesticides can persist in soil due to multiannual uses. To decrease the concerns for potential carry-over of such residues from treated soil during preceding crop cultivation to non-target crops grown in rotation, an uptake study of procymidone was conducted under the actual cultivation condition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Procymidone was sprayed twice by foliar application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 according to the safe use guidelines for Korean cabbage up to 14 days before harvest. Arable land was kept fallow for 4 days after harvesting Korean cabbage, and spinach was cultivated as a succeeding crop. Initial residues in soil were 5.670-14.175 mg/kg that were degraded to 3.098-4.555 mg/kg until harvest of Korean cabbage, and then persisted at 1.026-1.300 mg/kg by spinach harvest. Procymidone residues in edible part of succeeding crops from soil uptake were in range of 0.020-0.048 mg/kg for recommended dose and 0.055-0.116 mg/kg for double dose. Root concentration factor (RCF) values of procymidone at different concentration ranged from 0.053 to 0.123, and translocation factor (TF) ranged from 0.176 to 0.768 for spinach. The value of TF was higher than RCF, indicating that the capability of translocation to shoo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root uptake and accumulation. CONCLUSION: Procymidone applied on Korean cabbage can be carried-over to spinach and detected at a level similar to MRL (0.05T mg/k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llow-up study for establishment of plant back interval (PBI) of succeeding crops reflecting the actual agricultural conditions as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