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 pressure

검색결과 6,556건 처리시간 0.033초

비대칭구조의 폴리이서설폰 기체분리용 중공사막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CO_2/CH_4$ 분리특성 (Preparation of Asymmetric PES Hollow Fiber Gas Separation Membranes and Their $CO_2/CH_4$ Separation Properties)

  • 박성률;안효성;김정훈
    • 멤브레인
    • /
    • 제21권4호
    • /
    • pp.367-376
    • /
    • 2011
  • 매립지나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성소화에서 발생되는 바이오 메탄가스 혼합물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고농도의 메탄을 연료로 정제하는 기술은 온실가스의 저감과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두 가지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분리막기술은 메탄의 분리에 경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메탄의 선택도가 50, 이산화탄소의 투과도가 3.4 barrer로 알려진 폴리이서설폰[1]을 고분자 소재로 사용하고, 비용매 첨가제로 폴리이서설폰을 잘 팽윤시키는 아세톤의 함량을 달리하여 비대칭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아세톤의 함량 9 wt%, 방사높이 10 cm, 4 wt% PDMS 코팅을 거친 폴리이서설폰 중공사막은 이산화탄소 투과도 36 GPU 및 이산화탄소/메탄 선택도 46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최적조건의 비대칭 폴리이서설폰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이산화탄소/메탄 순수가스 및 혼합가스 투과특성을 압력, 유입조성의 변화에 따라 관찰하여 분리막 공정을 구성한 결과 10 atm의 압력조건에서 95%의 메탄을 58%의 회수율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여과/역삼투 공정을 이용한 기능성 미네랄의 농축 (Concentration of Functional Mineral by NF/RO Processes)

  • 이호원;문수형;고경수
    • 멤브레인
    • /
    • 제19권4호
    • /
    • pp.277-284
    • /
    • 2009
  • 지하수 중의 바나듐 및 실리카의 농축에 적합한 막을 선정하기 위하여 2종류의 나노여과 막모듈(NE2540-90, NF90-2540)과 3종류의 역삼투 막모듈(BW30-2540, RE2540-TE 및 XLE-2540)에 대한 투과선속과 배제율을 측정하였다. 투과선속과 배제율에 대한 실험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나노여과 막모듈과 역삼투 막모듈 중에서 NE2540-90 막모듈이 바나듐과 실리카의 농축에 가장 적합하였다. NE2540-90 막모듈을 사용하여 막간차압을 $8\;kgf/cm^2$로 하였을 때, 바나듐 및 실리카의 배제율은 각각 98.2% 및 99.0%이였고, 알루미늄, 크롬, 철, 붕소, 스트론튬 및 바륨에 대한 배제율은 각각 92.0%, 83.6%, 96.0%, 45.1%, 98.6% 및 69.5%이였다. 서귀포지역 지하수를 각각 회수율 15%로 6단 처리하였을 때, 바나듐과 실리카 함량은 각각 $148.9\;{\mu}g/L$ 및 85.8 mg/L로 농축되었다. 나노여과 공정에 의한 농축수는 고농도의 바나듐과 실리카를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음료로의 상품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리모트 수소 플라즈마를 이용한 Si 표면 위의 Fe 불순물 제거 (Removal of Fe Impurities on Silicon Surfaces using Remote Hydrogen Plasma)

  • 이종무;박웅;전부용;전형탁;안태항;백종태;신광수;이도형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8호
    • /
    • pp.751-756
    • /
    • 1998
  • 리모트 수소 플라즈마에 의한 Si 웨이퍼 표면 위의 Fe 불순물의 제거효과를 조사하였다. 세정시간 10분 이하와 rf-power 100W이하의 범위에서 최적 공정조건은 각각 1분과 100W이였으며, 플라즈마 노출시간이 짧을수록, rf-power가 증가할수록 Fe제거 효과가 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압보다는 저압 하에서 Fe 제거효과가 더 우수하였는데, 저압 하에서는 $\textrm{H}_2$ 유량이 20sccm, 고압 하에서는 60sccm일 때 Fe 제거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플라즈마 세정 직후의 열처리는 금속오염의 제거효과를 향상시켰으며, $600^{\circ}C$에서 최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FM 분석결과에 의하면 표면 거칠기는 플라즈마 세정에 의하여 30-50% 향상되었는데, 이것은 Fe 오염물과 더불어 Si 표면의 particle이 제거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수소 플라즈마에 의한 Si 웨이퍼 표면의 Fe 제거기구에 관해서도 자세히 고찰하였다.

  • PDF

탄소흡착제에 의한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ree-componen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s)

  • 손미숙;김상도;우광재;박희재;서만철;이시훈;유승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6호
    • /
    • pp.669-67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산업공정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방향족류의 toluene, 케톤류의 MEK, 알코올류의 IPA에 의한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탄소계 흡착제에 대한 흡착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입상 활성탄,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단일흡착제와 입상 활성탄과 활성탄소섬유를 동시에 적용한 조합흡착제를 사용하여 흡착성능과 흡착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용 흡착장치를 사용하여 단일성분 및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흡착파과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경우에 대해 흡착량과 흡착성능을 비교하였다. 입상 활성탄은 toluene의 단일흡착 시 높은 흡착성능을 보였으나, IPA, MEK의 단일성분과 삼성분계 흡착실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였다. 활성탄소섬유와 조합흡착제는 단일성분 흡착결과에서 모두 우수한 흡착성능을 보였으나, 삼성분계 흡착의 경우에는 흡착제의 경제성과 흡착효율을 고려하였을 때 입상 활성탄과 활성탄소섬유를 동시에 적용한 조합흡착제가 흡착제로서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직배수재를 이용한 오염지반 복원의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Using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 박정준;신은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39-46
    • /
    • 2008
  • 개발사업과 산업발달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해화학물질과 유류사용량이 늘면서 화학물질과 유류를 저장하는 지하저장탱크에서의 오염물질 유출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산업지역, 공장지대가 밀집된 매립 지반에서는 투수계수가 낮아 오염물질 추출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의 하나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직배수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복원기술인 토양세정공법의 효율을 증진시킨 연직배수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염된 지반의 복원을 목적으로 사용한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유효성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직배수시스템의 적용성을 위하여 오염토양 복원시 오염지반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파일럿 규모의 실내 오염복원 실험을 통한 오염물질의 복원효율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염화나트륨을 복원실험의 추적자로 사용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SEEP/W와 CTRAN/W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력수두와 지속시간에 따른 농도변화, 각각의 지반조건에 대한 복원률의 오염물질 흐름 해석을 통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오염지반의 투수계수는 흐름속도와 연직배수재를 통한 추출률과 관계되며, 흐름속도와 추출률은 분산지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결국 원위치 오염복원 과정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PDF

단계성토에 따른 연약지반의 전단강도 및 압밀거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and Consolidation Behavior of Soft Ground according to Stage Fill)

  • 방성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7호
    • /
    • pp.17-26
    • /
    • 2020
  • 해성점토로 구성된 서남해안 지역의 연약지반은 퇴적물의 성분, 입자크기의 분포, 입자형상, 흡착이온 및 간극수의 특성, 조류, 온도 등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응력이력, 간극수의 변화, 용탈과정, 가스형성 등의 지반공학적 특성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안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압밀에 따른 강도증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연약지반의 물리적·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성토하중에 의한 지반의 침하, 간극수압, 수평변위 등 연약지반의 압밀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간극수압계, 침하계, 경사계, 층별침하계 등의 계측기를 설치하고, 지반의 전단강도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로 피에조콘 관입시험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단계별 성토에 따른 지반의 전단강도증가를 확인하고 압밀침하량을 측정하여 기존에 제시된 경험적 방법 및 이론에 의한 강도증가와 압밀측정치를 비교하여 강도증가율 및 압밀거동을 분석하였다.

질화규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h-BN 첨가의 영향 (Effect of h-BN Content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3N4)

  • 김승현;이영환;조원승;김준규;조명우;이은상;이재형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867-873
    • /
    • 2003
  • $Si_{3}N_{4}$-BN계 기계 가공서 세라믹스를 $1800^{\circ}C$에서 2시간동안 25MPa의 압력하에서 열간 가압소결하여 제조하였다. $Si_{3}N_{4}$ 매트릭스에 판상의 h-BN 첨가량을 5-30 vol%까지 증가함에 따라 굽힘강도는 $Si_{3}N_{4}$ 단미의 1000 MPa에서 720~400 MPa로 감소하였고, 파괴인성도 $Si_{3}N_{4}$ 단미의 7.6MPaㆍ$m^{1/2}$에서 6.5~4.1 MPaㆍ$m^{1/2}$로 감소하였다. $\beta$-$Si_{3}N_{4}$의 결정립 크기와 형상비는 h-BN 첨가에 의해 약간 감소하였다. $Si_{3}N_{4}$ 단미는 절삭시 취성 파괴를 나타내어 절삭이 불가능하였으나, $Si_{3}N_{4}$-BN계 기계 가공서 세라믹스는 파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절삭이 가능하여, 우수한 기계 가공성을 나타내었다. h-BN 함량이 증가할수록 절삭과 마이크로 드릴링시의 절삭력은 감소하였다.

1995 ${\~}$ 1998년 가스사고 분석 및 사고감소대척 제시 (An Analysis of Gas Accident between 1995 and 1998, and Suggestion of Accident Reduction Countermeasures.)

  • 박교식;김지윤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
    • /
    • 2000
  • 연료가스의 사용이 늘어나고 고압가스를 사용하는 공정이 날로 대형화$\cdot$복잡화됨에 따라 가스사고도 대형화되는 둥 이를 적절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95${\~}$'98년 동안 발생했던 사고를 체계적으로 분류$\cdot$분석하여서 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을 찾아내었다. 그 결과 사고감소분야에 대해서는 기존의 사고관리정책을 견지하도록 하며 사고가 소폭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분야에 대해서는 감소 대책을 제시하였다. '95${\~}$'98년 가스사고는 총 2,027건이며 띨6년 이후 연평균 $1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종류별로는 LPG(Liquefied petroleum gas), 도시가스 등 연료가스사고가 $96\%$로서 대부분이며 사용처별로는 주택, 요식업소 등 사용시설에서 주로 사고가 발생했다. 원인별로는 가스의 종류 및 시설에 따라 그 특징이 다르나 시설미비, 제품불량, 및 사용자 취급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료가스에 의한 고의사고는 311건으로 전체가스사고 중 $15\%$를 차지하며 연평균 $38\%$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발생 매커니즘이 다르므로 향후 좀더 체계적인 분석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번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PDF

Heater interlock by-pass로 인한 위험분석 및 사고방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isk Analysis and Acident Prevention Heater Interlock By-pass)

  • 손재근;박교식;강태연;여영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4-2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석유화학공장에서 운전되고 있는 CDU plant heater, NCC plant heater, CO plant Heater, aromatic plant heater 등 15개 plant heater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세부 내용으로는 heater 사고 예방을 위한 공정운전 표준, alarm 작동시 조치 및 setting 변경, 시운전 점검사항, interlock system 분석, interlock by-pass 운전현황, heater 주요 사고$\cdot$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interlock 방지 및 시설개선 대책으로 실시간 monitoring 설치, local 압력계 및 온도계추가설치, 초기 운전시 점검방법, interlock by-pass 관리, 오작동 계기 sensor maker 변경, 운전 mode 변경시 주요 현장확인사항, DCS alarm 관리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heater interlock에 관련되는 국내외 연구자료가 거의 없어서 주로 석유화학업체 운전 절차서, 공정trouble 일지, 부서장 및 현장 운전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interlock 방지 및 시설개선 대책을 운전 절차서에 반영한다면 interlock으로 인한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준설토 파종식물의 생육경향 및 관리방안 연구 -낙동강 14공구 중심으로-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Seeding Plants through Improvements of Dredge Vegetation-Base -Focus on Site 14 in Nakdong-gang-)

  • 김남춘;안필균;남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1-154
    • /
    • 2012
  • This study was launched to verify the effective composition of plant species and its management program most suited for the dredged soiled area near Nakdong River Site 14. The improvement methods of planting base and the composition of plants such as silver grass, reed, and some colonies in aesthetic effect were studied. To search the management methods to decrease the confining pressure risen from the burried seeds which would consequently harm the previously seeded plants, experimental construction process was measured on the sit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figure out which part of the improvement on the plant base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for the revegetation of infertile, dredged soil, to verify the easily seeded, developing plants among seeded plants, and finally, to find the restoration model using plants near the dredged soil around riverside. 8 seeded plants and 23 invaded species were appeared which among the emerged plants, development of Aster yomena MAKINO,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Trifolium repens L, and Dianthus longicalyx Miq were proved to be brought up well. Difference risen from the seed composition were not noticeable until 150day since the germination was proceeded mainly by Aster yomena MAKINO. The experimental plot with dredging sand+organic fertilizer method of construction and dredging sand+soil conditioner method showed most development while the effect of the plot with only the soil base of dredging sand stayed low. Another importa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infertile, dredged soil base would be the removal of disturbing species which the experiment showed the tied relationship between the removal of disturbing species and development of seeding plants. Although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Project, the study suggests the general management program that the removal of disturbing species such as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and Pueraria lobata (Willd.) Ohwi in times around rainy season(60days after seedling) would be effective for the easy growth of revegetation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