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hop floor control system (SFCS) is the central part of a CIM system used to control the activities of several pieces of manufacturing equipment (e.g., NC machines, robots, conveyors, AGVs, AS/RS). The SFCS receives orders and related process plans, and then performs selecting a specific process routing, allocating resources, scheduling the workpieces, downloading the processing instructions (e.g., RS-274 instructions for NC machines, VAL II programs for robot), monitoring the progress of activities, detecting and recovering from errors, and preparing reports on the status of the manufacturing system. Simulation has been utilized in discovering control policies used for resolving shop floor be control problems such as resource contentions, part dispatching, deadlock. The simulation model must be designed to respond to real-time data coming from a shop floor. However, to rapidly build a realtime simulation model of SFCS cannot be easily accomplished. This talk is to address an automatic program generator of discrete event simulation model for shop floor control from process plans and resource models. The program generator is capable of constructing complete discrete simulation models for multi-product and multi-stage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조선업은 한정된 자원을 사용하는 single-product production방식이며,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선박 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생산관리기술이 중요하다. 때문에 많은 조선사에서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적용함으로써 현장 내 다양한 제약 조건이 고려된 선박 생산계획 및 공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갑작스런 일정 및 공정변경 시 정확한 생산계획을 제공하기 어려우며, 블록을 생산하는 각 공정 간의 상호연관성 파악이 어렵다. 뿐만 아니라, 블록의 세부 공정 및 일량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생산계획과 현장계획에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내업공정 내 스케줄 된 전체 블록의 공정작업 순서 및 설계정보, 그리고 자원 제약을 고려하는 모델링 방법인 통합 프로세스 기반 모델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통합 프로세스 기반 모델을 통해 사용자는 내업공정 내 블록 간의 조립관계, 정반정보 및 조립공정의 선후관계 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조선 내업공정에서 공유하는 리소스의 일량을 고려하여 부하 평준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시뮬레이션 및 리소스의 모델링 절차 없이 리소스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전체 생산계획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 신뢰도 향상의 한 방안으로 기존 공정 관리 기법 상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써 린 생산 원리를 적용한 건설 생산 공정 개선 모델인 CPAM(Construction Process Analysis Model)을 제시하였다. CPAM의 변이 관리 기법을 통해 작업 변이를 최소화시켜 공정계획의 신뢰도 향상 및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CPAM에서 제시된 세부작업 일정 계획과 주간작업계획을 통해 건설 현장의 작업 흐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재, 장비, 인력등의 재고(Inventory or Work In Process, WIP)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건설 생산을 작업 흐름의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분석에서 놓치기 쉬운 작업 흐름상에서의 불확실성을 최소화시키고 작업 처리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제2권2호
/
pp.36-44
/
2012
Adop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BPM yet remains at a theoretic and methodological level for many industrial sectors. As for construction industry, adapting BPM into enterprise resource across all business processes could cause problems due to rapid change in corporate operation systems. Furthermore, it is unable to predict potential risks of business process while BPM are being applied. Therefore, applying BPM model to core strategy and individual task seems more effective than applying BPM model to the entir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n this paper, we define BPM and suggest a BPM model by analyzing each business unit in order to evaluate each business unit which is included in the business process architecture based on quantitative standards. This paper also presents a sequential application plan for business process model. Finally, a case study is demonstrated for the application of BPM system, focusing on cost management business, which turned out to be a top priority in the aspect of efficiency and ease based on priority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4D CAD의 객체정보에 자원 및 비용정보를 연동한 nD CAD시스템의 기능 구성방안을 제안하며, 제안된 기능들은 플랜트공사의 시각화된 방식 공정모델을 선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기반 공정분석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다양한 공사관리 정보를 nD CAD기반으로 통합함으로써 최적 일정계획과 자원 및 비용정보의 효율적인 시각화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최적 공정 시나리오 분석 및 분석정보의 공유 기능을 통해 발주자의 효율적인 의사결정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건설공사의 시공공정을 관리자의 경험적 판단에 의하여 작업팀을 구성하여 운영하면, 시공공정의 진행이 비효율적으로 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시공계획단계에서 모의조작을 통하여 자원할당, 공사비, 공사기간의 최적 안을 산출하면 시공공정을 정량화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공정을 계획할 때 작업팀 운영의 변화에 따른 자원할당 변동치, 자원 손실비, 총공사비, 공사기간의 최적 안을 모의조작 할 수 있는 수식모형의 시안 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수식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공공정의 수평작업역과 수직작업 역이 각각 상이하게 구성된 공동주택 골조공사에 적용하여 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식모형을 적용하여 모의 조작을 실시한 결과가 실제 사례공사에서 적용된 작업팀의 운영실적보다 효율화를 달성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develop models for determining the aggregate budget size in long-range R&D planning of KT(Korea Telecom.) and for allocating it by strategically adopted technologies for KT's TOP(Telecommunication-Oriented Paradise) Strategy. In the model of R&D budget size determinatio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s applied. In allocating the R&D expenditure, criteria weighting and technological importance ranking are determined by mea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s a decision aid, along with hierarchical representation and pairwse comparisons. R&D budget analysis provides to basic data for the mid-and long-range R&D planning. The model then needs to be adjusted as the TOP project plan becomes specific. Resource allocation model for R&D based on AHP can be us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technologies for TOP according to short-, mid-, and long-term perspectives without further mod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D budget analysis model works as the basis for planning R&D investment strategies and that the resource allocation model for R&D contributes to the effective use of the limited resource.
Since 1980's, many enterprises have constructed Strategy Information System and tried BPR, ISP. Also, they implemented ERP and practiced the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for Management Innovation in todays. Although most companies had previous good plans, but those are not satisfied. Because of failed to change management and continued next activity. Many Project for Process innovation are ended as disposal project in my case, if they want next project, they need a new plan which needs additional fund and resource. This paper studied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in many things and proposed new model for continued project on the master plan. Also it proposed next study subject about ERP Optimization and Harmonization after implemented ERP which is considered as next step of PI.
최근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 변화에 대한 교육적 대응의 주요 방향이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과 로봇 중심의 미래산업 핵심기술 인재육성에 집중됨에 따라, 고등교육과 직업능력개발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기술을 가진 융합적 인재 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변화하는 환경을 고려하여 최근 맞춤형 교육훈련 흐름과 AI 융합형 인재 양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학습자 맞춤형 AI 융합형 인재양성" 훈련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모델 방안을 수립하였다. 인공지능 및 교육혁신 전문가를 대상으로 총 2회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훈련프로그램 운영모델 기본구조, 교육과정, 운영전략의 하위 구성요소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검증된 훈련 모델을 온라인 직업훈련 허브인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STEP)에 적용하여 AI 융합인재 양성 학습자 맞춤형 훈련모델 수립 방안을 제안하였다.
Seung-Uk So;Myeong-Ki Han;Young-Hun Kim;Jun-Soo Park
한국해양공학회지
/
제37권5호
/
pp.190-197
/
2023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digital transformation activities are promoted primarily by large shipyards. However, bottlenecks are observed across value chains, and digital transformation effects are reducing because of the cost and technical challenges encountered by suppli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win-win cooperation model for larg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using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through case studies. We investigated the digital transformation progress in German and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addition, we identified information-sharing methods and management challenges encountered i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in the collaboration process of pipes, panels, blocks, etc. of SMEs that are suppliers of a Korean shipyard, and clarified communication by building a platform based on a common format between shipyards and suppliers. Further, we proposed a standard model of a digital transformation system for enhanc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uppliers and proposed a basic plan including strategies to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uild a digital trans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standard mode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