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based Learning (PBL)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학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창의성통합교육모형(C-PBL)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of Creativity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Nursing Education)

  • 강소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3-44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aimed at (a) developing an instructional model of creative thinking education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C-PBL) i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at one University, and (b) examining its effect on nursing students' level of creativity and outcomes from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The C-PBL model was implemented on 43 jun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30 hour-nursing class during one semester. The control group, with 54 seniors, received 4 hours of problem based learning training in an adult nursing class. Pre-and post-tests were done with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for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 Integrated Creativity Instrument for creative motivation and attitudes,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questionnaire,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Instrument. Results: The C-PBL model was developed using a caring situation scenario to solve nursing problems with 3 training steps of 'encountering a patient in a caring situation', 'exploring nursing knowledge', and 'designing creative caring beyond given knowled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p<.010), problem-solving ability (p<.010), and self-directed ability (p<.010). Conclusion: This C-PBL method could contribute in increasing creative competency as well as problem-solv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문제 중심 학습(PBL)을 적용한 「무기화학실험」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the Inorganic Chemistry Laboratory Classes)

  • 김영은;신예진;윤회정;우애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71-7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대학의 "무기화학실험" 수강생을 대상으로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전략을 적용한 실험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진행한 후, PBL 전략이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실험 수업에 적용한 PBL 문제와 PBL 실험 수업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전략을 적용한 "무기화학실험" 수업 후,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특히,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은 7개의 하위 영역 중 '학습자적 신념'을 제외한 6개의 영역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는 5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의 유용성'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둘째, 학생들은 PBL 문제가 '자기 주도 학습'을 가능하게 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면서 학습 과제를 선정해 나가는 수업 과정에 대해서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PBL 실험 수업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으며, PBL이 실험 교과에 적합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방식이라고 응답하였다.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요소설계를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School : Focused on an Element Design Class)

  • 이근수;김삼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71-676
    • /
    • 2015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요소설계 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 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요소설계에 해당하는 '공학설계 1'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2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71.87%),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87.5%), 실제적 경험, 문제해결력(90.63%), 프리젠테이션 스킬(96.8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96.87%)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의안(醫案)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PBL(Problem Based Learning)과의 접목 가능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Eui'an (醫案) - the Possibility of Combination between PBL (Problem Based Learning) and Eui'an -)

  • 구민석;차웅석;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3-90
    • /
    • 2018
  •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combination between PBL (Problem Based Learning) and Eui'an (醫案). Recentl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people have been raising issues related to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The point of issue is 'competence centered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which has set the goal of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To achieve the goal, PBL is considered as a very useful tool.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direct application of PBL to Korean Medicine. This study aims to lay out the specific reason for the limitations and to search for solutio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hen applying PBL to Korean Medicin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between PBL and Eui'an might be a sound solution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

성찰일지에 기초한 간호학생의 문제중심학습 경험 (Percep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 in Reflective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황선영;장금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5-76
    • /
    • 200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tion in perceptions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nursing students of a junior college (3-year program). Method: Students (n=39) learned the respiratory and cardiac system with seven PBL packages and group-based learning for a semester in 2002.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that focused on their learning perception after an experience with each learning package. A total of 208 journal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at PBL making them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fel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process, and had a confidence in the use of clinical nursing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ey negatively perceived that PBL was a burden because it took more time than traditional learning tasks, and they experienced an anxiety about regular tests and felt conflicts and diffid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negative perceptions were expressed more often from students with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ow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others. Conclusion: Students perceived the PBL 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cepts i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PBL need to be supplemented by feedback-based lecture and facilitative strategies for academically low-achieved students.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tion in perceptions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the nursing students of a junior college (3-year program). Method: Students (n=39) learned the respiratory and cardiac system with seven PBL packages and group-based learning for a semester in 2002.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that focused on their learning perception after an experience with each learning package. A total of 208 journal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at PBL making them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fel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process, and had a confidence in the use of clinical nursing interventions. On the other hand, they negatively perceived that PBL was a burden because it took more time than traditional learning tasks, and they experienced an anxiety about regular tests and felt conflicts and diffid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negative perceptions were expressed more often from students with a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low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others. Conclusion: Students perceived the PBL 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learning concepts in the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PBL need to be supplemented by feedback-based lecture and facilitative strategies for academically low-achieved students.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탐색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of Problem-based Learning)

  • 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1-635
    • /
    • 2010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수업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중고등학교에서는 PBL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PBL에 대한 인식과 PBL 수업 진행 방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교사 9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 후, Nvivo 2.0을 이용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PBL의 학습 효과,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PBL 수업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PBL이 자기주도학습, 협동학습, 문제 해결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제 개발에 대한 부담, 학생지도에 요구되는 시간, 학생들의 토론 능력 부족, 수업 시간의 부족, 입시 등이 PBL 적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이 외에도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 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이는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PBL 수업 경험에 따라 교사들의 PBL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업 방식을 통해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PBL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이우숙;조갑출;양선희;노영숙;이규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2
    • /
    • 200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 A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for 9 weeks in a group of 283 nursing students. The PBL group of 141 students participated in PBL classes with simulation, 4 hours a week for 9 weeks compared to control group of 142 students who received the usual fundamental nursing class. Results: The group that had PBL with simul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ication competenc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BL with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may increase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suggest that utilizing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may be beneficial a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strategy.

  • PDF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 유명란;최윤정;강명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6-5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BL 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or the experimental group PBL was used during one semester (14 weeks).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Kim, 1997),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K won et al., 2006) and Problem Solving Process Scale (Lee, 1979).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PB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education. Therefore, PBL should be used for more subjects in the nursing curriculum.

  • PDF

PBL을 기반으로 한 건축구조공학 교육시스템의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 System based on PBL for Architectural Structure Engineering)

  • 강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1-58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건축구조공학의 창의성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문제기반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교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에서는 먼저 건축구조공학 교육의 PBL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과제도출 및 교육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교육시스템은 크게 구조 모형의 하드웨어 시스템과 교육 시스템상에서 활용 가능한 코스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공과대학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 인공지능 과목을 중심으로 (Case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PBL in Engineering School : Focu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54-160
    • /
    • 2018
  • 본 논문은 공과대학에서 인공지능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 : Problem-Based Learning)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협동 학습 능력, 자율적인 학습능력, 통합지식 활용 능력, 창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학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능력 향상과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PBL 활동은 이러한 실천을 위한 적합한 학습방법이다. 연구대상은 '인공지능'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2학년 학생 37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문제의 활동이 끝난 후에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86.48%),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94.59%), 실제적 경험(75.67%), 문제해결력(89.18%), 프리젠테이션 스킬(97.29%), 창의성 향상(81.08%), 지식획득 능력(86.48%), 의사소통 능력 향상(97.29%), 통합지식 활용 능력(78.37%),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86.48%), 자신감(97.29%)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