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ivate education expens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rom a viewpoint of housewives)

  • 강성호;임병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543-558
    • /
    • 2012
  • 본 연구는 가계지출 부담을 주고 있는 사교육비의 증가원인을 여성 전업주부의 영향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째, 사교육비 정의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형별 모형에 관계없이 여성전업주부는 가구의 사교육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5분위 소득계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분위를 제외하고는 2분위 이상 소득계층에서는 소득이 많을수록 가구의 교육비부담에 대한 전업주부 효과가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유형을 근로자 가구와 비근로자 가구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사교육비 부담에 대한 전업주부 효과가 비근로자 가구보다 근로자 가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규칙적으로 소득을 벌어들이고 있는 근로자 가구가 비근로자 가구에 비해 전업주부를 통해서 사교육비에 더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아동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제공이 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ublic Care Servi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 배지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503-517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아동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제공이 사교육 참여 및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여성가족패널조사 자료를 패널 프로빗 분석과 최소자승더미변수 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아동 대상의 공적 돌봄 서비스 제공은 자녀의 사교육 참여 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경제활동상태와는 무관하게 공적 돌봄 서비스의 제공은 자녀의 사교육비 경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및 실천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자녀를 양육하는 '일하는 어머니'의 양육 부담 경감을 위해 공적 돌봄 서비스의 제공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 돌봄 서비스의 질 제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책적으로는 서비스의 통합적 관리와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처우개선이 수반되어야 한다. 실천적으로는 초등아동을 대상으로 공적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교육과 슈퍼비전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의 돌봄 서비스 질을 제고해야 한다.

부모의 사교육비 및 감독.애정, 자녀의 학습가치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parents' monitoring.affection, their children's learning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on middle-school boys's and girls' academic achievement)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3-131
    • /
    • 2014
  • 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의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의 사교육비 및 감독 애정, 자녀의 학습가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현재 우리나라 사교육 참여율이 가장 높은 과목이 수학과 영어라는 현실을 고려하여 수학과 영어과목의 사교육 경험이 있는 중학생 1,123명과 그 부모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조사도구는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 월평균 사교육비, 부모의 감독 애정, 중학교 자녀의 학습가치, 중학교 자녀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기입식 설문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성별과 상관없이 부모의 월평균 사교육비 수준과 부모의 감독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남녀 중학생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제시된 반면 그 밖에 남자 중학생의 경우 학습가치 및 부모 감독의 순으로, 여자 중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만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 중학생 모두 사교육비가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의 감독 애정 및 중학생의 학습가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조절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모 및 '가정교과'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 PDF

대학교육비 지출 실태와 대학교육비가 가계재무에 미치는 영향 (Household Expenditures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Their Effects on Household Finance)

  • 문한나;이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71-8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education expenditure and how university education expenditure affected household finance such as total household expenditure after excluding education expenditure, savings, and debts respectivel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8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n Labor Institute, and 563 households with children attending university were selected. The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s post hoc test), OLS, and Heckman's two-step estimation were utilized by SAS 9.1 and SPSS 12.0 for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verage annual tuition was found to be 6,170,000won(21.5% of total annual household expenditures) and average annual private education expenses were 4,920,000won(15.9% of total annual household expenditures). Second,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levels, the more spent on university education, whereas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level, the lower the household expenditure-to-university education ratio. Third, tuition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d a negative impact on household expenditures after excluding education expenditure.

가계의 재무구조가 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 소득계층별 접근연구 - (The Effect of Household Financial System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 Focused on Income Classification -)

  • 이승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1-169
    • /
    • 2003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factor for househol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financial management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income level is classified by comparative poverty and analyzed the influence power The data for this study was "the Korean Labor Panel" conducted by Korea Labor Institute in 2000. The result showed the demographic factors by the income level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have big difference. Also, income level affects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lower income level, demographic factors affect more than financial factors. This result explaine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s luxurious goods. For middle income level, financial factors affect more than demographic factors. This explaine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s choice goods. For upper income level,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was explained as investment goods.

사교육비와 수능성적과의 관계 연구 -외국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Ccollege Entrance Examination - Focused on English section)

  • 임응순;정영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60-2666
    • /
    • 2013
  • 한국에서는 교육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그 중에 영어교육에 상당히 치중해 있다. 이러한 교육에는 공교육과 사교육이 있는데, 대다수의 가구에서는 사교육에 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가구에서 지출하고 있는 사교육비와 수능성적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교육비의 지출과 수능성적 간에는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총 투입시간과 수능성적 간의 관계에서도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패턴과 학습습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Patterns and Study Habits on Academic Achievement)

  • 박은정;고정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5호
    • /
    • pp.443-45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terns of private education,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education pattern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udy habit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youth on the basis of private education patterns. In this study, we used the data from the 2012 Panel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th-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analysis were two-step clustering, Chi-squared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ivate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 namely financial investment, time investment, and reduction of investment; and four categories, namely; private education methodology, private education tim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number of youth with access to private education. Seco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ivate education patterns were parents' education, parents' job type, father's working hours, sex of children, housing form, and income. Third, the study found that financial investment and a reduce of investment led to better study habits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time investment and no investment. Fourth, private education and study habit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study habits had strong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udy habits of the youth were suggested.

소득계층을 중심으로 본 영유아 자녀 돌봄 및 교육 실태와 정책적 함의 (A Study on the Income Class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the Policy Implications)

  • 이성림;성미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23-37
    • /
    • 2012
  • Using data from the 2008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come class differences in the modes, amount of time, and expenses for caring and educating a child in early childhood. The sample consisted of 1,849 households with a child aged 6 years or le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er-income class was more likely to rely on child care centers and less likely to use services provided by kindergarten or private education. Their total amount of time required to provide care and education for their child was about 4 or 5 hours less than that of the other income classes; this result was due to the fact that they consumed less hours for home care, kindergarten, and private education. Second, we found there we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middle-income and upper-income classes in the modes, amount of time, and expenses to care for and educate their young children; however, the middle-income class used less private education than the upper-income classes in terms of usage rate and length of time. Lastly, the other variables which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mount of time and expense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included mother's employment, age of the child, and having siblings, and the family siz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o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were suggested.

스토킹 범죄와 민간경비의 필요성 (Stalking Crimes and the Need for Private Security)

  • 이재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78-785
    • /
    • 2022
  • 연구목적: 최근 스토킹 범죄로인한 범죄가 사회적으로 이슈되고 있다. '스토킹 대응 매뉴얼'을 따라 피해자를 보호하는 조치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충적 대안으로 민간경비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스토킹 범죄와 경찰의 '스토킹 대응 매뉴얼'의 피해자 보호조치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민간경비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이 담당하는 1인당 담당인구수는 398명으로 경찰만으로는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민간경비에 위탁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본다. 경찰과의 효과적인 업무 분장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치안서비스제공이 가능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결론: 2021년에 스토킹 처벌법이 제정되면서 스토킹 대응 매뉴얼에 피해자 보호조치 방안이 명문화되었지만 여러 가지 문제로 피해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민간경비를 이용해 피해자 보호 할 방안을 연구해야할 것이다.

사교육목적과 방과후학교 참여에 따른 사교육비지출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ccording to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and After School Program Participation)

  • 이준호;황혜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2호
    • /
    • pp.1-14
    • /
    • 2016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usehold's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at aggravates a burden on households by using the data from the 2014 Private Education Survey published by Statistics Korea. The effects of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program that is pushed by the government on household's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lean toward preparing to enroll in school and relieving parents'uneasiness rather than prior learning Secon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the differences of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ere verified. Households spend the highest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o enroll in school contrary to the lowest level, which was for the purpose of compensatory learning. Third,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program that is regarded as a method of moderating households' private education burden,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Forth,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as influenced by the purposes of privat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program. In 2014, the Korean government enforced a law that prohibits schools'education in advance (prior learning) and regulate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advertisement about prior learning. Regarding this regul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urposes and expenditure of private education to provide an empirical reference to determine the improvement of related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