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ization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1초

Interference Priority: A New Scheme for Prioritized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 Lozano, Angel;Biglieri, Ezio;Alrajeh, Nabil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4권5호
    • /
    • pp.487-494
    • /
    • 2012
  • A standard paradigm for the allocation of wireless resources in communication demands symmetry, that is, all users are assumed to be on equal footing and hence get equal shares of the system's communication capabilities. However,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prime users" should be given priority, as for example in the transmission of emergency messages. We examine prioritization policies that could be implemented at the physical layer and propose a new one, termed interference priority (IP), which is shown to have excellent performance.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se prioritization techniques both in controlled settings and within the context of a full cellular system and discuss the impact of prioritized use of resources on the unprioritized users.

위험도 기반의 하수관로 CCTV 조사 우선순위 결정 연구 (Sewer CCTV Inspection Prioritization Based on Risk Assessment)

  • 손주영;이재현;오재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85-592
    • /
    • 2017
  • 도심 내 매설된 대다수의 하수관로는 노후가 심각하게 진행되어 파손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도시개발의 집중도가 높아 인구밀도나 통행량이 많으므로 하수관로가 붕괴되면 사회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관로 파손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한정된 재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파손의 가능성과 피해의 규모를 동시에 고려한 위험도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여 위험도 기반의 하수관로의 조사 우선순위 결정 방법을 도출하였고 도심지 배수분구에 적용 검토하였다. 우선, 서울시 하수관로 GIS DB를 통해 확보 가능한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각 영향인자들의 가중치, 구분항목, 영향점수를 결정하여 가중치 환산법으로 하수관로 파손결과를 산정하였다. 또한, 하수관로의 예상 내용연수 대비 사용연수를 계산하여 파손가능성을 도출하였으며, 내츄럴 브레이크 방법으로 파손결과와 파손가능성을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위 방법을 서울시 내 위치한 소규모 배수분구에 적용하여 위험도 매트릭스와 위험도 등급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 대상의 26%가 위험도 4-5등급인 CCTV조사 우선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위험도 기반의 CCTV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활용하여 조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대상을 체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Optimistic vs Pessimistic Use of Incomplete Weights in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 Park, K. Sam;Lee, Pyoungsoo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21권2호
    • /
    • pp.9-11
    • /
    • 2015
  • This note is concerned with the use of incomplete weights in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In an earlier study, an optimistic use of incomplete weights is developed to prioritize decision alternatives, which applies the most favorable set of weights to the alternative to be evaluated. In this note, we develop a method for a pessimistic use, thereby applying the least favorable weight set to the evaluated alternative. This development makes possible a more detailed prioritization of competing alternatives, and hence enhances decision-making powers.

경제성에 기반한 배전계통 설비투자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 Strategy of Investment Priority Focused on Economics in Distribution Network)

  • 박창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31-3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경제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배전 설비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배전계통 구성, 설비 및 부하정보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을 모델링 하고, 현 계통의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설비투자 대안들을 설계한 다음, 이 대안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경제성을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투자대안들의 신뢰도 영향과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전의 주요 배전설비(15종)의 신도율(시변고장율)과 설비투자시 영향을 받는 고객들의 정전비용을 적용하여 경제적 효과를 산출하였으며, 이러한 투자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전의 배전사업소 실제 투자안을 대상으로 하여 경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최급 강하법 기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다기능 레이다 표적 우선순위 할당에 대한 연구 (Target Prioritization for Multi-Function Rada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on Steepest Descent Method)

  • 정남훈;이성현;강민석;구창우;김철호;김경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68-76
    • /
    • 2018
  • 표적 우선순위 할당은 다수의 표적이 존재하는 전술 환경에서 다기능 레이다(Multifunction Radar: MFR)가 중요한 표적을 추적하고 레이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다에서 수집한 정보로부터 표적에 대한 우선순위를 산출하는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모델을 구현한다. 더 나아가, 기존의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 기반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발전시켜 표적 우선순위 할당에 더욱 적합한 최급 강하법(steepest descent) 기반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훈련 데이터와 신경망의 결과값 사이의 오차와 특정 테스트 시나리오에서 할당된 우선순위의 합리성을 분석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한다.

회귀 테스팅의 테스트 케이스 우선 순위화 기법의 실험적 연구 (Empirical Study on Test Case Prioritization Techniques of Regression Testing)

  • 소선섭;채의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2호
    • /
    • pp.283-288
    • /
    • 2005
  • 테스트 케이스 우선 순위화는 회귀 테스팅이 시간 제약 하에서 주어진 모든 테스트 케이tm를 수행할 수 없을 때 테스트 케이스의 실행 순서를 스캐쥴링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장기적인 회귀 테스팅 환경에서 과거의 테스트 실행 및 오류 검출 정보를 활용한 HED우선 순위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존의 Random 및 LRU 방법과 비교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몇 가지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우선 순위화 방법들이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성능 면에서 상호 보완적이라는 점이다. 오류를 찾는 테스트 케이스들을 많이 갖고 있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Random이 효과적이고, 상대적으로 오류를 찾는 테스트 케이스의 비율이 작은 경우에는 제안된 HED방법이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LRU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둘째, 전체적인 성능이 테스트 스위트의 크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이다. 테스트 스위트의 크기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오류의 수명 값과 그 성능 순위에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체 테스트 케이스의 $20\%$만을 실행하여도 전체 테스트 케이스 모두를 실행하는 것과 성능 면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이다.

Relay Station 기반 최적 핸드오프 우선화 제어 알고리즘 (Relay Station based Optimal Handoff Prioritization Control Algorithm)

  • 유혜인;강해린;김낙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7호
    • /
    • pp.24-31
    • /
    • 2009
  • 차세대 멀티미디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예약 기법은 핸드오프 call의 Qos를 보장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핸드오프를 위한 자원 예약은 new call의 blocking 확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핸드오프 dropping 확률과 new call의 blocking확률 사이의 tradeoff관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relay station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핸드오프 우선화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relay가 핸드오프 과정에 개입하여 핸드오프 직후의 단말에게 고효율의 데이터 전달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알고리즘을 Markov chain을 통해 모델링 하고, 핸드오프 패킷의 dropping 확률과 new 패킷의 blocking 확률의 성능을 도출한다. 수치 해석 결과를 통해, 제안된 핸드오프 알고리즘이 기존의 핸드오프 우선화 기법들에 비해 핸드오프 패킷의 dropping 확률과 신규 패킷의 blocking 확률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였다.

로버스트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Fuzzy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Application of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for Robust Prioritization)

  • 한봉구;정은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17-926
    • /
    • 2013
  • 본 연구는 로버스트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퍼지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타당성을 수자원 계획수립 문제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즉 일반적인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인 가중합계법, 계층화분석과정, 수정계층화분석과정, TOPSIS 방법과 퍼지가중합계법, 퍼지계층화분석과정, 퍼지수정계층화분석과정, 퍼지 TOPSIS 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사용된 각 평가기준별 자료는 동일하게 표준화되었으며 각 가중치도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분석결과 다기준 의사결정방법에 따라 조금씩 다른 순위가 도출되었으나, 퍼지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사용할 경우 사업들의 순위 변동성이 퍼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크지 않아 보다 일관된 순위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문제에서 자료와 가중치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는 퍼지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해서 방법의 변화로 인한 순위의 변동성을 최소화해서 로버스트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수원 보호를 위한 유역기반 토지관리 우선순위 모델 적용 (Application of a Watershed-Based Land Prioritization Model for the Protection of Drinking Water Reservoir)

  • 이지현;최지용;박석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97-408
    • /
    • 2004
  • Due to the growing impa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limitation of water treatment technology, a new policy of water quality management, called a source protection, is now becoming more important in drinking water supply. The source protection means that the public agency purchases the pollution sensitive area, such as riparian zone, and prohibit locations of point and non-point source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is new policy is more economical in drinking water supply than the conventional on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location and size of the pollution sensitive zone in the watershed.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e scientific criteria for the priority of the pollution sensitive zone, along with a case study of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Paldang Reservoir, Han River. This study includes applications of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and a watershed-based land prioritization(WLP) model. After major criteria affecting water quality were selected, the AHP and geographic analysis were performed. The WLP model allowed us to include both quantity and quality criteria, using AHP as the multi-criteria method in making decision and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needs. By adding a travel-time function, which represents the prototype effectively, the results secured adaptability and scientific objectivity as well. As such, the WLP model appeared to provide reasonable criteria in determining the prioritization of land acquisition. If the tested data are used with a validated travel-time and AHP method is applied after further discussion among experts in such field, highly reliable results can be obtained.

수도권 국도교량 세굴위험도 평가 및 등급화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Bridge Scour Vulnerability Evaluation and Prioritization for National Highway Bridg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 박재현;김정훈;안성철;이주형;정문경;곽기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7-21
    • /
    • 2008
  • 홍수 시 세굴로 인한 교량 기초의 파괴는 국내외적으로 교량 붕괴의 첫 번째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실제 국도교량에 대하여 세굴 위험도 평가 및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30개소 교량을 선정하여 지반 시추조사를 포함한 현장조사, 설계 홍수량에 대한 교량세굴 해석, 그에 따른 교량기초의 지지력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량세굴 위험도를 등급화 하였다. 위험도 평가 결과 직접확대기초 교량 26개소 중 9개소 교량이 장래 세굴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17개소 교량은 안정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말뚝기초 교량 4개소 중 3개소의 교량이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지지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