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nailurus bengalensi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HSI와 MaxEnt를 통한 삵의 서식지 예측 모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SI and MaxEnt Habitat Prediction Models: About Prionailurus bengalensis)

  • 유다영;임태양;김휘문;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14
    • /
    • 2021
  • Excessive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have destroyed animal, plant, habitats and reduced biodiversity. In order to preserve species diversity, habitat prediction studies are have been conducted at home and overseas using various modeling techniq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optimal habitat modeling research by comparing HSI and MaxEnt, which are widely used among habitat modeling techniques. The study was targeted on the endangered species of Prionailurus bengalensis in nearby areas (5460.35km2) including Cheonan City, and the sam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o compare those models. According to the HSI analysis, Prionailurus bengalensis's habitat probability was 74.65% for less than 0.5 and 25.34% for more than 0.5 and the top 30% were forest (99.07%). MaxEnt's analysis showed that 56.22% of those below 0.5 and 43.79% of those above 0.5 were found to have a high explanatory power of 78.3% of AUC. The Paired Wilcoxn test, which evaluated the significance of thoes models, confirmed tha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ose models using the matrix table shows that score 24.43% HSI and MaxEnt was accordance,12.44% of the 0.0 to 0.2 section, 7.22% of the 0.2 to 0.4 section, 2.73% of the 0.4 to 0.6 section, 1.96% of the 0.6 to 0.8, and 0.08% of the 0.9 to 1.0. To verify where the score difference appears, the result values of those models were reset to values from 1 to 5 and overlaid. Overlapping analysis resulted in 30.26% of the Strongly agree values, 56.77% of the agree values, and 11.92% of the Disagree values. The places where the difference in scores occur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forest (45.23%), agricultural land (34.57%), and urbanization area (7.65%). This confirmed that the analysis of the same target species within the same target site also has differences in forecasts depending on the modelling method. Therefore, a novel analysis method combining the advantages of each modeling in habitat prediction studies should be developed, and future study may be used to select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species-protected areas and species protection area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is judged to require higher accuracy studies through the use of various modeling techniques and on-site verification.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분석을 통한 한국 내 삵의 유전적 다양성 조사 (Genetic diversity in Korean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based on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sequence analysis)

  • 김영섭;유미현;정배동;김종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3-359
    • /
    • 2010
  • Nucleotide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mtDNA) of 19 leopard cats (Prionailurus bangalensis euptilura) obtained from Seoul grand park zoo in South Korea were determined for analysing genetic diversity. In the leopard cats, 3 haplotypes of the partial cytochrome b sequences (603 base-pairs, bp) were identified. Haplotypes obtained from those genes showed existences of at least 3 maternal lineages of leopard cats in Korea. Tamura-Nei nucleotide distance among 3 haplotypes were 0.00. Molecular phylogenetic tree showed the similar clustering of haplotypes for genes. Meanwhile, no individual variations within the leopard cats in S. Korea. Genetic surveillance system of leopard cats in S. Korea is warranted for maintaining biological conservation.

Estimating Population Density of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from Camera Traps in Maekdo Riparian Park, South Korea

  • Park, Heebok;Lim, Anya;Choi, Tae-Young;Lim, Sang-Jin;Park, Yung-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239-242
    • /
    • 2017
  • Although camera traps have been widely used to understand the abundance of wildlife in recent decades, the effort has been restricted to small sub-set of wildlife which can mark-and-recapture. The Random Encounter Model show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stimate the absolute abundance from camera trap detection rate for any animals without the need for individual recognition. Our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Random Encounter Model for the density estimation of endangered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in Maekdo riparian park, Busa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model, the estimated leopard cat density was $1.76km^{-2}$ (CI 95%, 0.74-3.49), which indicated 2.46 leopard cats in $1.4km^2$ of our study area. This estimat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leopard cat population count ($2.33{\pm}0.58$) in the same area. As follows, our research demonstrated the application and usefulness of the Random Encounter Model in density estimation of unmarked wildlife which helps to manage and protect the target specie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status.

소백산국립공원내 서식하는 중형포유류 3종의 행동권 분석 (Home Range Analysis of Three Midium-Sized Mammals in Sobaeksan National Park)

  • 이화진;차진열;정철운;김영채;김성철;권구희;김정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1-60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home ranges of three medium-sized mammals(Nyctereutes procyonoides,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Meles leucurus) inhabiting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Three individuals of each species were captured using live traps(Tomahawk live trap 210A) and radio tracking was conducted from June 2012 to May 2014 using VHF and CDMA methods. We determined that the home range of N. procyonoides was $6.53{\pm}6.66km^2$(MCP 100), $3.39{\pm}4.73km^2$(FK 95), and $0.48{\pm}0.62km^2$(FK 50), that of P. bengalensis was $7.13{\pm}5.61km^2$(MCP 100), $7.77{\pm}3.91km^2$(FK 95), and $1.88{\pm}0.96km^2$(FK 50), and that of M. leucurus was $1.77{\pm}1.82km^2$(MCP 100), $3.17{\pm}4.52km^2$(FK 95), and $0.63{\pm}0.87km^2$(FK 50). The home ranges of both N. procyonoides and P. bengalensis were greater than that of M. leucurus, and moreover, both were larger than $6km^2$(P. bengalensis>N. procyonoid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for each species, 1.2~4.4% of the home range overlapped with that of the other two species and that this overlap occurred in the vicinity of a water system.

농촌지역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선택과 관리방안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 최태영;권혁수;우동걸;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2-332
    • /
    • 2012
  • 본 연구는 원격무선추적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삵의 행동권, 서식지 선택, 개체군 위협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3개체(수컷 2, 암컷 1)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권은 평균 $2.64{\pm}1.99km^2$(K 95)와 $3.69{\pm}1.34km^2$(MCP 100)이었으며, 핵심공간은 평균 $0.64{\pm}0.47km^2$(K 50)를 나타냈고, 겨울철에 추적된 수컷의 행동권이 가장 넓었다($5.19km^2$, MCP 100). 둘째, Jacobs index에 기반을 둔 Johnson의 서식지 선택모형을 분석한 결과 삵은 2단계 선택(경관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 초지와 논을 선호하고 산림은 회피하는 반면에, 3단계 선택(행동권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는 하천변의 초지를 매우 선호하고 논을 회피하였다. 셋째, 로드킬은 삵의 심각한 개체군 위협요인으로 판단되며, 논의 토지피복 비율이 높고, 하천변에 도로가 존재하며, 산림이 마을 주위에만 소규모로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삵의 개체군 유지가 매우 불안정할 수 있어 이러한 지역에 로드킬 대책과 하천변 초지보호 등의 노력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삵에서 TR-FIA를 이용한 분변내 Estradiol과 Progesterone의 검사 (Time-resolved Fluoroimmunoassay (TR-FIA) Analysis of Fecal Progesterone and Estradiol in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 김영섭;김지용;정소영;이봉주;신남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3-697
    • /
    • 2010
  • 본 연구는 총 4두의 삵에서 발정기와 비발정기, 임신기와 비임신기 동안의 분변에서 steroid metabolic materials를 추출한 후, TR-FIA kit를 이용하여 estradiol과 progesteron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발정기간 (2월) 중 estradiol 농도의 최저는 평균 $4.02{\pm}1.9$ng/g 이었고, 최고는 평균 $86.01{\pm}35.2$ng/g (dry fecal weight) 이었다. 비발정기(11월)의 최저는 평균 $4.42{\pm}1.32$ng/g 이었고, 최고는 평균 $15.62{\pm}6.84$ng/g 이었다. 임신기 (3월) 중 progesterone농도의 최저는 평균 $427{\pm}24.49$ng/g 었고, 최고는 평균 $1490{\pm}265.27$ng/g 이었다. 비임신기 (11월)의 progesterone의 최저는 평균 $71.25{\pm}29.61$ng/g 이었고, 최고는 평균 $291.75{\pm}90.30$ng/g 이었다. 위의 결과에 따라 삵에서 TR-FIA에 의한 분변내 steroid hormone 의 측정은 발정과 임신에 관련된 난소활동을 비 침습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삵과 같이 접근이 어렵고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의 사육관리의 효율화와 번식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메타개체군 이론을 활용한 도시개발에 따른 생물 종 영향 평가 활용 가능성 분석 (Analyzing the Impact of Species on Urban Development Using Meta Population Model)

  • 김은섭;모용원;박태윤;전윤호;최지영;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2호
    • /
    • pp.61-71
    • /
    • 2023
  • 공간 스케일에 따른 생물 종 별 영향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도시 개발 사업에 따른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경관규모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는 도시개발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생물종 영향을 분석하기위해 메타개체군 이론을 기반한 Incidence Function Model (IFM)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모델은 최소 점유영역이 10개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모니터링이 어려운 생물종에 대한 활용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을 중심으로 종 분포 모델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IFM 모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모델을 통해 환경영향평가서 중 자연생태환경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도시개발에 따른 삵의 최소 점유율은 56.5%, 생존가능성은 28.7%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식지 개수 감소에 따른 개체군 수용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230개소와 70개소에서 개체군의 수용 능력이 급격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계획 관점에서 서식지 면적 감소에 따른 삵의 환경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삵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서식지 개수 및 면적 설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개발 프로젝트 전, 후 영향평가 및 저감방안 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저감방안의 실효성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도 자연환경연구공원의 육상 포유류 종다양성 (Species Diversity of Terrestial Mammalia in the Nature Environment Research Park in Gangwon Province)

  • 이기영;김의경;조중현;박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5
    • /
    • 2011
  •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8년에 걸쳐 강원도 자연환경연구공원 내 산림 및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조사구역 I: 호수 및 주변 수변생태계, 조사구역II: 인가 및 주변 산림생태계, 조사구역Ⅲ: 산림생태계)으로 육상 포유동물의 종다양성과 분포현황 및 변화양상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 동안 멸종위기종인 하늘다람쥐, 수달, 삵 등이 연구지역 내에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유동물의 종다양성은 인가 접경 산림인 조사구역II보다는 수변지역인 조사구역I과 산림지역인 조사구역III에서 다양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종다양성의 변화는 2006년에 다소 증가했으나 2007년부터 미세하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종수의 미세한 감소와는 달리 개체수는 2007년부터 매우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산림에서 포유류의 종다양성과 개체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Home Range Size and Habitat use of the Tsushima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in a Suburban Area on the Tsushima Islands, Japan

  • Oh, Dae-Hyun;Moteki, Shusaku;Nakanish, Nozomi;Izawa, Masak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1호
    • /
    • pp.3-13
    • /
    • 2010
  • The Tsushima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us, a small felid, inhabits only the Tsushima Islands in Japan. Previous studies of the Tsushima leopard cat revealed that natural factors; including sex, reproductive activity, season, and prey distribution and abundance affect leopard cat home range variation and habitat us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larifying how anthropogenic factors influenced home range variation and habitat use of a male Tsushima leopard cat living near a suburban area in January, March, May and September 2005 using radio-tracking. The home range size (100% MCP) of this cat was $0.78\;{\pm}\;0.26\;km^2$ (mean ${\pm}$ SD, n = 4 tracking sessions) across the whole study period. However, the cat did not use all parts of its home range uniformly; rather it used some habitat types selectively. The cat avoided agriculture areas and residential areas in all of the tracking-sessions. On the other hand, the cat showed a weak preference for artificial structures and a strong preference for baiting sites in January and March, while it avoided them in May, and no baiting site was included in its home range in Septemb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hropogenic factors influenced the ranging patterns and habitat use of the leopard cat living near a suburban area. Artificial structures might provided good resting spaces for the cat in bad weather. When the density of its main prey was low in the winter, the cat tended to rely on artificial prey and had a small home range size.

운문산의 포유류상 (Mammal Fauna in Mt. Unmun, South Korea)

  • 김태욱;김병수;장민호;박수곤;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1권1호
    • /
    • pp.53-59
    • /
    • 2013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일대의 포유류상을 밝히기 위해 2007년 1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6목 11과 24종의 포유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우점종으로는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다람쥐 Tamias sibiricus, 두더지 Mogera wogura, 흰넓적다리붉은쥐 Apodemus peninsulae 등이었다. 특히, 천연기념물(NM)과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ES)인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NM #328, ES II급), 수달(Lutra lutra; NM #330, ES I급), 삵 (Prionailurus bengalensis; ES II급), 담비 (Martes flavigula; ES II급) 등 법적보호종 4종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포유류 종과 법적보호종의 서식에 대한 지리적 분포를 확인한 이 결과는 조사지역이 포유류의 서식에 필요한 자연생태계의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임을 반영한다. 반면, 관리동물 종으로 지정된 들고양이가 다수 관찰되었다. 운문산 자연 생태계의 건전한 유지와 생태계 위해 동물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