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imary students

검색결과 1,437건 처리시간 0.03초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재 평가 연구 (A Study of Evaluating the KSL Textbook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 장경숙;구영산;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3-4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개발된 한국어교재평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고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교재평가에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한국어교재를 평가할 수 도구를 활용하였다. 학교에서 표준한국어 교재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32명의 한국어 교사들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도구에 제시된 51개의 세부 기준에 따라 교재의 내적 외적 구성요소별 평가를 시행하였다. 평가 결과에 의하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어휘 제시, 어휘의 반복적 사용, 문화에 대한 내용 확대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었다. 한국어교재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표준한국어교재 개발의 방향, 한국어 교원의 교재평가 전문성 제고, 평가 결과 기반 교재 선정 및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중.고등학생의 수학과 내용 영역별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2003~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lassifying by Content Area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9-8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근거 자료는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동안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먼저, 2003년부터 2008 년까지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이용된 모든 선다형 문항을 내용 영역별로 분류하여 문항별 정답률을 조사하고 연도별 평균 정답률이 가장 낮은 내용 영역들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표시한 내용 영역별 문항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6년 동안 출제된 모든 문항에 대하여 전체 학생의 내용 영역별 평균 정답률을 산출함으로써 학교급별 학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내용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탐구과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초등과학 영재의 관찰방법과 의문에 미치는 영향 (Effect that Prior Knowledge about Research Subject Gets Primary Grade Science Brilliant Intellect's Observation Method and Question)

  • 임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105-11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 과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초등 과학 영재의 관찰방법과 의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거미와 거미줄' 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관찰방법과 의문이 사전지식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였다. 사전지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의 학생들은 사전지식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관찰의 방법과 양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지식이 양이 높은 집단이나 낮은 집단 모두 관찰 방법에서는 오감을 이용한 단순 관찰을 주로 하였다. 이는 사전지식의 양이 관찰의 양에는 영향을 미치나 관찰 방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관찰이 나타났다. 이는 관찰의 수준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사전에 충분한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들이 관찰을 이용한 수업을 수행할 경우에 사전에 관련된 지식에 대하여 충분한 수업이 이루어져야 보다 효율적인 관찰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 PDF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Teacher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and policy implications)

  • 박희진;최수진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89-123
    • /
    • 2022
  • 본 연구는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농촌지역 2개 군에 위치한 9개 학교의 교원 15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조차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가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에 긴박한 지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자료확보의 어려움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학교 한국어교육 자료 개선 및 통합교육 자료 보급, 일반교과 내용의 수정과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 한국어교육 전담인력의 육성과 배치를 통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소통지원 방안 마련,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 대책 등의 다문화교육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Library)

  • 신동준;이상호;임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5-179
    • /
    • 2009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은 기본적으로 교육 및 정보를 전달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교사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구성은 세부 공간 간의 기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공간과 가구의 경제적 배치(LAYOUT)가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공간과 가구를 잘 배치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기능공간의 배치유형을 조사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학교도서관의 전문화, 다원화, 개성화 하여야하는 목적과 교육환경 및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초등학교 도서관의 사용자인 학생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의 점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도서관 계획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문제해결을 학습을 위한 수학 교실 문화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for Problem Solving)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2호
    • /
    • pp.105-110
    • /
    • 2000
  • This paper is discussing about the culture of mathematics classroom for problem solving. The mathematics classroom which we have to aim at is where every students make proper belief and attitude about mathematics, and also can express their own idea and make question freely. In that classroom, the students can meet with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and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and then elaborate their own method.

  • PDF

척추측만증 검진을 위한 모아레 체형측정법과 설문조사의 상관성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3-Dimensional MOIRE Topography and Questionnaire for School Screening in Scoliosis)

  • 유한길;김혜정;신병철
    • 대한추나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1-153
    • /
    • 200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for correlation between Moire topography results and questionnaire which include obesity rate, height, weight, posture, pain aspect (low back pain, headache, fatigue, neck pain etc), studying posture, school attendance method, menarche. Methods : The authors practiced Moire topography and questionnaire for primary & middle school 24,419 students [male 12,843, female 11,576] in Jeonbuk, korea in 2002. After we distinguished students who had abnormal finding in Moire topography and statistically analysed the data. Results :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abnormal finding in Moire topography results was 37.3% (9,105 students), and students needed X-ray re-examination were 3.9% (953 students).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male/female and primary/middle school students have no difference in deformity degree of the body surface examined by Moire. Height and weight have low correlation with deformity degree of the body surface examined by Moire and menarche, pain aspect have no correlation. But, school attendance method by bicycle and $90^{\circ}$upright sitting in study posture is the best way to decrease the deformity degree of the body surface examined by Moire. Conclusions : Following this research, throughout Moire topography could detect trunk asymmetry that couldn't be found existing X-ray examination, and school attendance by bicycle and $90^{\circ}$upright sitting in study posture is good for school students to prevent back deformity.

  • PDF

초, 중, 고 학생들의 가정환경, 영양섭취 실태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ships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한성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6호
    • /
    • pp.691-70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the three factors: 1) characteristics of family, 2) nutrient intake status and 3) academic achievem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698 boys and girls attending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was made and distributed to the student to answer the questions about family background and food intake status. Food intake frequency method was used to examine nutrient intake status.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last semester were taken from students school record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1. Most of the mean nutrient intakes were above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However, calcium, iron, and vitamin A intakes were below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the intake of these nutrients in these students to meet the RDA.2. Total amounts of food intake were decreasing in higher grades and food intake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3. Educational period of parents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had grades influenc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nutritional status. The students with parents of higher education and higher economic status had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nd balanced nutritional status. 4. When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the percentage of recommended nutrient intake, the group with nutrient intake of 75-125% of RDA achieved better academic achievement than other groups. In conclusion, educational length and economic status of parents and optimal intake of nutrients (75-125% of RDA)by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 PDF

생명윤리와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Primary School Teach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Bioethical Issues and Bioethics Teaching)

  • 박인옥;박지영;조은희;소경희;김희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571-582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imary school teach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bioethical issue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bioethics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3 primary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Major findings of the studys are as follows. First, most prim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interest about bioethical issues, but they had the limited understanding about bioethical issues. Primar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about' respect for human life' and the lowest understanding of 'awareness of current biotechnology' Second, the prior reasons why primary teachers wanted to teach specific bioethical issues in the classes were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social phenomena' and 'they were appropriate for enhancing students' awareness of the value of life'. Third, the lack of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bioethics and limite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were found to be barriers, which prevent them from teaching bioethical issu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or the improvement of bioethics teaching in primary school education.

  • PDF

조선총독부하 초기의 우리 나라 초등과학교육의 상황 -조선총독부편찬 "보통학교이과서" (1913)- (Status of Education on Primary Science thereof in Korea the first stage under CHOSUN Government General - "Science Textbook for Commom School" (1913) compiled by CHOSUN Government General-)

  • 송민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67-77
    • /
    • 1998
  • The result of studying primary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first stage under CHOSUN Government General is as follows and it could be seen that it was managed under considerably different philosophy of education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Japan. 1) Weekly 2 hours of 'science' were taught at 3rd and 4th grade of primary school. 2) CHOSUN Government General emphasized 'practicality' in the regulation of primary science education. 3)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science text compil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was revised and used. 4) First primary science text compiled by CHOSUN Government General was "Science Textbook for Commom School" (1913) and it was filled with sentences stimulating interest of students and at end of each chapter there were exercise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