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otella intermedia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Prevotella intermedia G8-9K-3을 동정할 수 있는 DNA 프로브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DNA probe for identifica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G8-9-3)

  • 백종성;김세훈;김동기;성진효;김병옥;국중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281-29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ecies-specific DNA probe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P. intermedia) G8-9K-3. This study procedure includes (1) whole-genomic DNA extraction of P. intermedia G8-9K-3 (2) construction of the genomic DNA library, (3) screening of strain-specific DNA probe by reverse dot hybridization, (4) confirmation of strain-specific DNA probe by Southern blot hybridization, (5) determination of nucleotide sequences of strain-specific DNA probe. Twenty-eight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Hind III-digested DNA fragments of P. intermedia G8-9K-3 were obtained. Reverse Dot Hybridization and Southern blot analysis data showed that one of them, Pig3, could be P. intermedia G8-9K-3-specific DNA probe. This datum indicates that this Pig3 DNA probe could be useful i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P. intermedia G8-9K-3 strain.

(-)-Epigalocatechin의 Fusobacterium nucleatum, Prevotella intermedia 및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pigalocatechin on Fusobacterium nucleatum, Prevotella intermedia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 박재윤;김화숙;국중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1-165
    • /
    • 2010
  • 녹차의 폴리페놀류 중 수용성인 (-)-epigalocatechin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세균 작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epigalocatechin은 주요한 치주질환 원인균들인 F. nucleatum, P. intermedia 및 P. gingivalis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가 0.625 mg/ml 이하로 항균 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Time-kill 분석법을 실시한 결과 (-)-epigalocatechin은 F. nucleatum, P. intermedia 및 P. gingivalis에 살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epigalocatechin은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주 치료 후 예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가글린 및 치약 등의 구강위생용품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한 소아에서 발생한 Prevotella intermedia에 의한 간농양 1예 (A Case of Pyogenic Liver Abscess Due to Prevotella intermedia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김형석;은병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65-172
    • /
    • 2023
  • 건강한 소아에서 화농성 간농양은 선진국에서는 드문 질환이지만 진단과 치료가 늦어진다면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Staphylococcus aureus이며 국내의 경우 Klebsiella pneumoniae가 가장 흔하지만, 혐기균에 의한 화농성 간농양도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발열과 우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응급실에 온 14세 남아가 우상복부 압통을 보이고 백혈구 상승, 빈혈, 간효소치 상승을 보여 조영증강 복부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간농양을 진단하였다. 환자는 2주간의 경피적 도관 배액술과 4주간의 항생제 치료 후 완쾌되었다. 간농양 배양검사에서 혐기균이자 구강 상재균인 Prevotella intermedia가 확인되었으나 감염의 근원이 치아조직 감염이라는 증거를 찾지는 못하였다. 본 증례와 같이 건강한 소아에서도 화농성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진단적 접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Detec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using Pn17 and Pn34 DNA Probes

  • Park, Chan-Ho;Kim, Pan-Soon;Kim, Hwa-Sook;Min, Jeong-Bum;Hwang, Ho-Keel;Jang, Hyun-Sun;Cho, Ki-Woon;Baek, Dong-Heon;Kook, Joong-Ki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5권1호
    • /
    • pp.13-19
    • /
    • 2010
  • The DNA probes Pn17 and Pn34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specifically detect clinical strains of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from a Korean population by dot blot hybridization. These probes were sequenced by extension termination and their specificity was determined by Southern blo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n17 sequence (2,517 bp) partially encodes an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and that Pn34 (1,918 bp) partially encodes both rpoB (1-169 nts) and the RNA polymerase beta subunit (rpoB'; 695-1918 nts). These probes hybridized with both HindIII- and PstI-digested genomic DNAs from the strains of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used in this study. Interestingly, each of the hybrid bands generated from the HindIII-digested genomic DNAs of the two bacterial species could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m vi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hese results thus indicate that Pn17 and Pn34 can simultaneously detect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구강내 임플랜트-지대주 연결부에서 치주질환관련 세균의 검출 (Detection of periodontal disease related bacteria from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in oral cavity)

  • 한명주;정재헌;김희중;국중기;유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6-124
    • /
    • 2008
  • 문제 진술: 임플랜트 시스템은 임플랜트와 지대주 사이에서 빈 공간이 발생하여 세균의 저장소로서 작용하게 되어 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에 염증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목 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랜트-지대주 간극의 미세 누출에 관여하는 치주질환원인균으로 추정되는 Porpyromonas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의 검출률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시료채취는 27명의 환자들에서 행하였고 소독된 페이퍼포인트를 이용하여 $1{\times}PBS$로 옮겼다. 치주질환원인균의 검출은 16 rDNA에 근거한 종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지닌 중합효소체인반응을 이용하였다. 결과: 임플랜트 고정체내에서의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의 검출률은 59%와 82%였다. 환자의 임플랜트 연구에서는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의 검출률은 44%와 82%였다. 환자혀에서의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의 검출률은 82%와 82%였다. 결 론: 현재의 임플랜트 시스템은 임플랜트 내부의 세균 군집화와 미세누출을 안전하게 예방할 수 없다.

Pig6 DNA probe를 기반으로 하는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균주-특이 PCR primer 개발 (Development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Strain-Specific PCR Primer Based on a Pig6 DNA Probe)

  • 정승우;유소영;강숙진;김미광;장현선;이광용;김병옥;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9-94
    • /
    • 2006
  • 본 연구는 치주질환 병인론 연구에 빈번히 사용되는 Prevotella intermedia ATCC 49046 균주를 특이적으로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PCR primer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P. intermedia ATCC 49046 유전체 DNA를 추출하고, Hind III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무작위 클로닝법으로 유전체 DNA 절편을 얻었다. Southern blot 분석법을 이용하여 DNA 절편의 특이성을 조사하였고, chain termination 법을 이용하여 핵산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PCR primer를 설계하고, P. intermedia ATCC 49046에 대한 균주 특이성 및 검출 한계(민감도)를 조사하였다. Southern blot 분석 결과 Pig6 DNA probe는 서양인에서 분리 동정된 P. intermedia 균주와만 hybridization하였고, 한국인에서 분리 동정된 P. intermedia균주들과는 반응이 없었다. Pig6 DNA probe는 813 bp의 핵산염기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Pig6-F3와 Pig6-R3 primer 쌍에 의해서는 서양 균주에 특이적인 PCR산물이 증폭되었다. Pig6-60F와 Pig6-770R primer 쌍에 의해서는 P. intermedia ATCC 49046 유전체 DNA에서만 특이적인 PCR 산물이 증폭되었다. 두 가지 primer 쌍들 각각에 대한 P. intermedia 유전체 DNA량의 검출 한계를 알아보기 위한 민감도실험 결과 두가지 primer 쌍들 모두 4 pg (약2000마리)까지 검출 가능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ig6-60F와 Pig6-770R primer쌍은 P. intermedia ATCC 49046을 균주 특이적으로 동정할 수 있어, 이 균주의 보존적 측면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아 근관 감염 검체에서 검은 색소 형성 Prevotella species와 Porphyromonas species의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Black-pigmented Prevotella Species and Porphyromonas Species from Infected Dental Root Canals)

  • 김은숙;김신무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5-53
    • /
    • 2006
  • Anaerobic black-pigmented bacteria have been implicated in the endodontic infections. This group of microorganisms includes Porphyromonas endodontalis, P.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and Prevotella nigrescens. The organisms display a wide variety of virulence factors that may be pertinent to acute endodontic infec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 endodontalis, P. gingivalis,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by using the special potency disk test, filter paper spot test, 16S rRNA gene-directed PCR, and API 32A system. Microbi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oot canals of 33 intact teeth with necrotic pulp and apical periodontitis. Conventional laboratory methods were used to identify the strains of anaerobic black pigmented bacteria. Eighteen out of 33 samples were positive for the growth of black-pigmented bacrteria. Five colonies were cultured from each pure cultured colony from Brucella agar plates. Seventy seven colonies were positive for the growth of black-pigmented bacteria. Thirty three out of 77(42.8%) were identifed as P. nigrescens, 10 out of 77(13%)were P. gingivalis, 6 out of 77(7.8%) were P. endodontalis, 10 out of 77(13%) were P. intermedia. On the contrary the reference strains of P. nigrescens, experimental strains of P. nigrescens were susceptible to kanamycin in the special potency disk test. We concluded that after rapid presumptive identification methods, such as the special potency disk test and filter paper spot test were done, 16S rRNA gene PCR and API 32A test would be accurate detection methods for black-pigemented bacteria.

  • PDF

치주낭 내의 치은 염증의 감소와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전동 칫솔의 효과 (Influence of the Sonic Power Toothbrush on Reduc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on the Amount of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and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in Periodontal Pocket)

  • 홍지연;채경준;정성원;엄유정;최성호;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409-426
    • /
    • 2007
  • 세균성 치태는 치은의 염증과 치주 조직 파괴를 동반하는 치주염의 주요한 인자로서 치주 조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치태 조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12주 동안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염에 대한 임상 지수의 감소, interleukin-6 (IL-6) 농도와 치주질환 원인균인 Prevotella intermedia (P.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효과를 일반 칫솔과 비교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총 82명의 환자를 선택하였으며, 30명은 일반 칫솔, 52명은 소니케어 전동 칫솔 군으로 분류하여 칫솔질 교육을 실시하였다. 전악을 전치부와 구치부로 나누어 초진, 1, 4, 12주에서의 치태, 치은 지수 및 탐침 시 출혈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을 보이는 치아 3개를 선택하여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를 측정하였고, 선택된 치아에서 초진, 1, 12주에 채취된 샘플을 통해 치은열구액 내의 IL-6 농도와 P. intermedia, A. actinomycetemcomitans의 CT값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니케어 전동 칫솔과 일반 칫솔군 모두 치은 염증을 나타내는 임상 지수 (치태지수, 치은지수, 탐침 시 출혈)는 12주 기간 동안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으나, 전동 칫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더욱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2. 전치부를 제외한 구치부 치아에서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은 12주 기간 동안 탐침 시 출혈의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3.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 깊이를 보이는 3개의 선택된 치아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는 두 군 모두 초진에 비해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18.47{\pm}10.05%$, 일반 칫솔군이 $14.19{\pm}8.16%$로, 부착 정도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24.26{\pm}12.51%$, 일반 칫솔군이 $15.65{\pm}9.92%$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4. 치은열구액의 IL-6 농도는 두 군 모두 12주 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p<0.05)를 나타내었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전동 칫솔군은 51%, 일반 칫솔군은 37%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5. Prevotella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관찰에서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사용이 일반 칫솔에 비하여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태의 제거, 치은 염증 및 임상 지수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으며 IL-6의 감소 경향에도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