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ure Distribution

검색결과 4,218건 처리시간 0.036초

보강옹벽개발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유용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2권3호
    • /
    • pp.51-66
    • /
    • 1986
  • 본 연구는 재래식 옹벽의 단점을 보완하여 skin element로써 간단한 L-type concrete block을 사용하고 reinforcing strip재로써 plastic fabric strip를 이용하며, back fill재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하는 나강암풍화토를 사용하여 만든 보강벽체를 통하여 몇가지 실험을 한 결과 이들 서반재료의 특성을 발안하여 개발된 이론식에 의하여 결정한 벽체의 보강은 삽입한 strip의 간격, 층수, 뒷채움 재의 입도분포, 다짐상태 및 strip의 인장강맥에 좌우되며 본보강옹벽체는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함이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 특히 강원도와 같은 유간지역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한 파이프랙 구조물의 열적 거동 (Thermal Behavior of a Pipe-Rack Structure Subjected to Environmental Factors)

  • 이종한;이종재;김성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65-170
    • /
    • 2015
  • 파이프랙 구조물은 고온 고압의 파이프를 지지하며 플랜트의 운전 안전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 구조물이다. 따라서, 파이프랙 구조물의 손상은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옴과 동시에 인명 및 재산상의 막대한 피해까지 가져오게 된다. 특히, 파이프랙 구조물은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구조물의 적절한 설계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환경적 영향에 의한 거동 특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장 널리 설계되어지는 하나의 파이프랙 구조물을 대상 구조물로 선정하여 열-구조 연성해석을 실시하여 파이프랙 구조물의 온도분포와 열응력을 평가하였다.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는 국내의 여수지역과 중동의 사우디 지역을 고려하여 파이프의 운전조건과 함께 외부환경 영향인자에 대한 고려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45${\circ}$ 문합각을 가진 동맥과 PTFE 단측 문합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Artery and PTFE End-To-Side Anastomosis with 45${\circ}$ Anastomotic angle)

  • 한근조;김형태;안성찬;신정욱;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59
    • /
    • 1997
  • Von Mises stress and compliance distribution was evaluated using a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anastomosis of an artery with length of 20mm(z direction, along the horizental artery), inner diameter of 4mm, thickness fo 0.5mm and a PTFE graft with length of 5.7mm, inner diameter of 2mm, thickness of 0.2mm when anastomotic angle was $45^{\circ}$ and inner pressure of 1330 dyne/mm2 was applied inside the 2 conduits. From the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rtery diameter increased in both horizontal x(along the length of artery) and vertical y(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artery)directions and the magnitude of that in x direction was bigger than that in y direction. (2) The compliance was maximum on the anastomosis, especially on that with acute angle. The reduction of compliance was observed from the anastomosis area to the either right or left end. (3) The equivalent stress was maximum on top in the y direction and minimum on the nodes apart $110^{\circ}$ in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op. (4) The equivalent stress was maximum in t도 vicinity of anastomosis with acute ang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tery. This trend was also observed along the PTFE graft.

  • PDF

RFID와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 공통 인터페이스 (Integrated Common Interface Based on RFID and Sensor Networks)

  • 문경보;이영수;김도현;박희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19-1624
    • /
    • 2008
  • 현재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개별 미들웨어 및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있다. GPS는 주로 위치기반 서비스에, RFID를 식별을 통한 유통 물류 서비스에, 센서 노드는 온도, 습도, 기압 등의 상황 정보 수집에 응용되고 있다. 최근에 2 또는 3개의 이들 요소들이 농축산, 건설, 의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면서 GPS, RFID 및 센서 노드를 통합하는 인터페이스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RFID, GPS,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집된 상황데이터를 통합 처리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동작을 확인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필터링, 파싱, 인터페이스 관리, 큐잉, 하드웨어 및 미들웨어 접근 기능 등의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을 구현하고 동작을 검증한다. 그리고 GPS, RFID 및 센서 노드를 수집된 상황 데이터를 결합한 통합 프레임 구조를 제시하고, 복합형 유비쿼터스 응용 시스템에 제공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RFID, GPS,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얻어진 상황 데이터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다양한 유비쿼터스 응용 서비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해화 처리 폐석면의 재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Detoxified Waste Asbestos)

  • 김태형;송태협;신현규;장경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61-166
    • /
    • 2020
  • 현재의 석면의 문제는 사용단계에서의 공기 중 석면의 비산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문제, 해체단계에서 석면 비산을 최소화하여 해체하는 문제, 해체된 폐석면 건축자재를 안정적으로 최종 처리 하느냐의 문제이다. 석면 폐기물의 처리는 매립 또는 부분적 응용처리 등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석면 건축자재를 무해화 하면, 이를 일반 폐기물로 분류하거나 또는 재활용 가능 폐기물로 분류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해화 처리한 폐석면 분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 이를 활용한 2차 제품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 저온 화학적 처리를 통핸 석면 무해화 시 촉매반응을 위한 적정한 온도와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Al-B-C 조제 β-SiC의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에 미치는 α-SiC seed 첨가 영향: 미세 구조 변화 (Influence of α-SiC Seed Addition on Spark Plasma Sintering of β-SiC with Al-B-C: Microstructural Development)

  • 조경식;이현권;이상우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2
    • /
    • 2010
  • The unique features of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are the possibilities of a very fast heating rate and a short holding time to obtain fully dense materials. $\beta$-SiC powder with 0, 2, 6, 10 wt% of $\alpha$-SiC particles (seeds) and 4 wt% of Al-B-C (sintering aids) were spark plasma sintered at $1700-1850^{\circ}C$ for 10 min. The heating rate, applied pressure and sintering atmosphere were kept at $100^{\circ}C/min$, 40 MPa and a flowing Ar gas (500 CC/min). Microstructural development of SiC as function of seed content and temperature during spark plasma sintering was investigated quantitatively and statistically using image analysis. Quantitative image analyses on the sintered SiC ceramics were conducted on the grain size, aspect ratio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SiC. The microstructure of SiC sintered up to $1700^{\circ}C$ consisted of equiaxed grains. In contrast, the growth of large elongated SiC grains in small matrix grains was shown in sintered bodies at $1750^{\circ}C$ and the plate-like grains interlocking microstructure had been developed by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The introduction of $\alpha$-SiC seeds into $\beta$-SiC accelerated the grain growth of elongated grains during sintering, resulting in the plate-like grains interlocking microstructure. In the $\alpha$-SiC seeds added in $\beta$-SiC, the rate of grain growth decreased with $\alpha$-SiC seed content, however, bulk density and aspect ratio of grains in sintered body increased.

스월 예혼합 버너의 연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Swirl-stabilized Conical Burner)

  • 김구;조주형;이동석;김한;손채훈;이상민;김민국;안국영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
    • /
    • 2014
  •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swirl-stabilized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for power generation. $NO_x$ and CO emissions, extinction limit, pressure los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ere measured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Results show that, with increasing inlet air temperature, $NO_x$ is increased due to a higher adiabatic flame temperature while CO is increased or decreased for low or high A/F ratio regime,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flame location. With decreasing load from the design condition, $NO_x$ is decreased as thermal load is reduced. With further decreasing load, however, $NO_x$ is increased due to a longer residence time. CO is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with decreasing load. Flame extinction limit is extended with increasing inlet air temperature as the recirculation strength is enhanced.

박판판재 경화를 고려한 다이 캠 드라이브의 구조해석 최적화에 대한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Analysis Optimization of Die Cam Drive Considering the Thin Plate Hardening)

  • 이종배;김선삼;우창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769-5777
    • /
    • 2015
  • 프레스 가공에서 포밍이나 굽힘 등의 변형에 따라 판재는 가공경화를 발생하게 되며, 판재 경화와 가스 스프링 반력에 의한 캠 성형 과정에서 캠 및 판재의 변형과 미 성형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알루미늄 판재 성형 과정에서 판재경화를 고려한 응력, 변형이 주어진 판재 물성치와 캠 성형 압력에 맞게 입력 값으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유한요소 해석툴인 Hyperstudy와 Abaqus 연동으로 캠 형상을 비선형적으로 형상 최적화 해석을 수행 했다. 그 결과 판재의 변형이 제거 되면서 허용되는 최대, 최소 응력 범위와 최소 변형을 갖는 조건하에서 캠 형상을 최적화 하였다. 따라서 해석 결과를 통해 응력-변형 곡선과 응력-두께의 정규 분포도를 얻을 수 있었고, 또한 Iteration 처리로 판재 경화와 가스 스프링 반력을 고려한 다이캠 두께에 맞는 응력과 변형에 대한 최적화 형상을 얻을 수 있었다.

수은의 밀도차에 의한 무전극 램프의 광특성 분석 (Opt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Electrodeless Lamp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of Mercury)

  • 이계승;이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77-486
    • /
    • 2017
  • 무전극 램프의 광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연구에서는 램프 표면의 온도를 모두 동일하게 취급해 왔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광학적 특성을 해석하는 것은 정확도를 고려할 때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벌브 내부를 열점과 냉점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온도에 의한 수은의 밀도차이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온도와 밀도의 분포가 선형적임을 가정하였다. 열점과 냉점의 밀도의 재분배를 통한 광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재분배된 방전기체 간의 밀도의 비가 광 특성의 포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정을 통한 설계 방법이 실제의 설계에서 매우 유용함을 입증하였으며, 또한 광 특성이 안정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에 대한 성과도 확보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원통형 무전극 방전램프의 효율적인 설계의 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동차 연소실 효율 향상을 위한 와류장치 연구 (Study on Vortex Apparatus for Efficiency Improvement of Combustion Chamber of Automobile)

  • 최해규;국정한;유중학;김세환;김기선;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45-2950
    • /
    • 2011
  • 자동차의 연비개선을 위한 대책으로 연소 효율 증대를 위해서 흡입라인에 연소실의 와류를 형성시켜주는 장치를 모델링하였다. 와류발생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것과 와류발생장치의 형태가 다른 모델들을 각각 장착하여 유동해석을 실시한다. 와류발생장치는 공기의 연소실 흡입 전에 설치되어 와류발생장치의 날개에 의해 흡입공기를 휘감으며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와류발생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흡입 공기의 유동과 흡입행정의 압력분포를 해석하여 와류발생장치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