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수학 예비교사들의 분수에 대한 표상의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 이대현;서관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31-41
    • /
    • 2003
  • Representation has been main topic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a long time. Moreover, teachers' deficiency of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results in teaching algorithms without conceptual understanding. So, this paper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size the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38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only model of a fraction that was familiar to the preservice teachers was the part of whole one. And research showed that, they solved the problems about fraction well using algorithms but seldom express the sentence which illustrates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by a fraction. Specially, the division aspect of a fraction was not familiar nor readily accepted. It menas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used to using algorithms without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by a fraction. This results give us some implications. Most of all, teaching programs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have to devise to form a network among the concepts in relation to fraction. And we must emphasize how to teach and what to teach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course. Finally, we have to invent the various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we want to improve the mathematical ability of students, we will concentrat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 PDF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 허남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64-372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한 H대학교의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52명의 예비수학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흥미 요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디지털교과서가 학생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디지털교과서가 수업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일부 예비수학교사들은 함수 영역과 기하 영역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필요함을 강조하였으며, 일부 예비수학교사들은 서책형 교과서가 더 적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범대학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Designing Rehearsals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Mathematics Methods Course

  • Kim, Yeo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463-486
    • /
    • 2018
  • This study identifies elements involved in designing rehearsal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capacity to teach mathematics. Observation of a second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and regular interviews with the teacher educator following each class were used in this research. After characterizing what is considered and enacted in rehearsals as a way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the work of teaching mathematics, I illustrate them with examples from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 then discuss the challenge of dual contexts-the teacher education classroom and the secondary mathematics classroom-and dual perspectives-the mathematical and pedagogical-in designing and enacting rehearsals. I conclude with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예비 고등 수학교사들의 Geometer's Sketchpad 를 이용한 수업 시연에 관한 다중 사례 연구 (A Multiple-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Demonstrations with Geometer's Sketchpad)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03-323
    • /
    • 2017
  • 이 연구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이 수학 개념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어떻게 가르치는 지에 관한 다중 사례 연구이다. 예비 교사들은 퍼포먼스 인터뷰에서 Geometer's Sketchpad(GSP) 를 사용해 특정 수학 개념을 어떻게 가르칠 것 인지를 실제 수업처럼 시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예비 교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학습지도안을 디자인 했으며, 그들의 수업 시연에서 각기 다른 교수학적 그리고 공학적 기술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테크놀로지 통합 수학 수업의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수학 교사 교육자들은 예비 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수학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이 강력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PDF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Analysis on the Belief about Mathematics Teach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Mathematics Teacher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1호
    • /
    • pp.201-21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들과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에서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과 수학적 활동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 대한 15개 문항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 대한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만들었고, 초등교사 114명과 예비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지식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개념적 지식에서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들은 절차적 지식과 메타 인지적 지식, 인식적 지식에서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학 지도에 초점을 두는 수학적 활동에서는 지식의 표현, 지식의 생성, 지식의 심의, 지식의 발표에서 예비교사들이 초등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지식(구문)의 사용에서 만 초등교사들이 예비교사들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초등교사들과 예비교사들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수학적 지식과 활동의 항목이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예비교사들과 초등교사들은 다양한 수학적 지식과 활동을 강조하고 있었다.

  • PDF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Preservice secondary matheam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irrational numbers)

  • 이선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9-518
    • /
    • 2013
  •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수학 개념을 가르치고,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무리수 정의와 무리수 연산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들이 갖고 있는 이해는 어떠하며, 어떠한 차원으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기 위해 Skemp(1976)의 연구와 Tirosh et al.(1998)의 연구를 참고하여 '형식적 차원', '직관적 차원', '알고리즘적 차원', '도구적 차원'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 5곳에서 65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무리수 정의와 연산과 관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무리수 정의에 대해 대체적으로 올바른 지식을 갖고 있었으나, 그러지 못한 예비교사들도 몇 명 있었다. 무리수 연산(덧셈)에 대해서 예비교사들은 많은 잘못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은 주로 직관적 차원으로의 이해나 도구적 차원으로의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 PDF

예비 교사의 수학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Beliefs Related to Technology Use in Mathematics Class on Their Technology-related Knowledge)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59-478
    • /
    • 2016
  • 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으로 인한 혜택과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예비 교사의 기술적 교육학적 내용 지식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그들의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의 수학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경험과 신념이 그들의 TPACK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테크놀로지 사용 경험이 많고 학생 중심적 테크놀로지 사용에 관한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이, 경험이 적고 교사 중심의 신념을 가진 예비 교사들 보다 테크놀로지에 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의 TPACK과 신념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예비 교사들이 TPACK을 발전 시키고 테크놀로지 통합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지원 해야 할 것인지에 관한 통찰을 제공한다.

강원지역 수학과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 오주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79-39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data collected from 126 preservice teachers in Gangwon-do who major in mathematics. The data collected include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Most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mathematics have had no experience of multiple cultures. But they have shown a high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their experience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Furthermore, the female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much more high than the male pre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sex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n Possibility of Research Community for Mathematics Classroom of Expert-Inservice Teacher-Preservice Teacher)

  • 강현영;탁병주;고은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857-880
    • /
    • 2016
  •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은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핵심적인 요소이나,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시기에 수업 경험의 기회가 충분히 부여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현장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로 구성된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과제 개발과 수정, 그리고 수업 관찰과 분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전문가와 현장교사, 예비교사가 모두 참여함으로써, 이 모델이 현장교사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어떠한 가능성을 지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현장교사-예비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을 통해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는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경험과 이해를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예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 등 교사효능감과 교직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현장교사-현직교사 수학수업 연구 공동체 모델이 하나의 교사교육 체계로서 지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의 수학교사교육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Exploring Whi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y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Practices

  • Cho, Eunhye;Albert, Lillie R.;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the construction of preservice whit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acial identities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CRT) practices. We examined five white female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at a private university in the US. We collected data consisting of lesson plan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reflection of a taught lesson in the 2018 fall term and examined the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raci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their backgrounds, K-12 school experiences, and practicum school environment. We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o racial issues and their endorsement of CRT strategie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practicum school context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