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chooler's Development Pla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and Space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 강태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9-81
    • /
    • 2018
  • 최근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계획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워크숍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숲체험원의 조성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필요와 요구를 담은 계획요소(숲놀이 활동과 공간)를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해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발달상의 요구가 충족된 유아 참여디자인 주요 도구를 선정하고, 단계별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전 워크숍단계에서 유아참여(K유치원 6, 7세 통합반 41명) 결과를 통해 계획요소의 표준유형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본 워크숍단계에서 대상지(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참여유아(사전워크숍 참여유아)들의 선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 참여과정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워크숍에서 '그림그리기', 본 워크숍에서 계획요소 표준유형 차트(숲놀이활동 픽토그램 차트, 숲놀이공간 실사이미지 차트)이다. 그 결과, 첫 번째 도출된 숲놀이 활동의 표준유형은 38개이다. 인지놀이 27개(기능 16, 구성 4, 상징 4, 규칙 있는 게임 3), 기타 놀이 9개(감각(탐색) 5, 기타 4), 사회놀이 2개(혼자, 집단) 유형으로 구성된다. 숲놀이 공간의 표준유형은 21개이다. 놀이시설 공간 8개(시설 5개, 자연 3개), 수공간 2개 외 5 공간 11개로 구성된다. 두 번째, 대상지에 적용한 결과,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활동은 전체적으로는 기능놀이가, 단위활동으로는 오르기와 물놀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아발달놀이 측면에서는 기능, 구성, 상징, 규칙 있는 게임, 기타 놀이가 고르게 선택되었다.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공간의 경우, 유아의 성별 나이별 선택결과는 유아의 전체 선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남아는 여아보다 신체, 모험 등의 기능놀이공간을, 여아는 남아보다 쉼터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의 숲놀이 행태에 대하여 직접 관찰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유아들이 대상지를 인지하고, 대상지 내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참여디자인 워크숍 과정과 과정별 도구들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축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유아숲체험원 조성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

유아도서관의 공간구성과 가구배치 유형 계획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and Furniture Arrangement of Preschooler's Library)

  • 박지민;윤정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7-1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cept about a plan direction of preschooler's library, and provide a design type of preschooler's librar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For the preschooler's reading area, it should be segregated between schooler and preschooler.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library use action and a development characteristic, it needs to be segregated to avoid conflict using library for both of those groups. 2) The space composition of preschooler's library stands up, and of a tube considers a traffic line of a user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systematizes a child, and to cause an interest of preschoolers. 3) Furnitures and equipment of preschooler's library must arrange in consideration of human body size of a user in a tube.

유아참여를 통한 유아숲체험원 설계안 도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riving Process of a Design Alternative to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 강태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13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의 설계참여를 통하여 유아 선호에 부합하는 유아숲체험원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 참여설계에 대한 전체과정을 대상지 인지단계, 계획요소 도출단계, 설계안 도출단계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안 도출 단계를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과 K유치원(6, 7세 통합반; 전체 41명) 유아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계안 도출을 위해 3회의 설계과정(유아 참여과정 2회, 연구자 분석과정 1회)과 과정별 도구구축, 유아 참여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워크숍을 통한 유아의 설계안은 총 41개안으로, 유아 1명이 평균 7.66개소의 공간을 그렸다. 6세 남아가 가장 적게(평균 6.80개소), 7세 여아가 가장 많게(평균 9.0개소) 설계하였다. 전체, 성별, 나이별 모두 신체 및 모험놀이공간을 가장 많이(38.9%~48.7%) 설계하였다. Base map을 활용한 유아설계의 가능성 분석을 위해 41개의 설계안에서 대상지 내 물리적 환경특성(7개 항목)의 출현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72번의 환경특성이 나타났고, 이러한 환경특성은 87.8%(26개안)의 설계안에서 1개 항목 이상 나타났다. 둘째, 설계대안으로 APS type(동적 놀이시설공간 집중배치) 15개 안, NS type(자연공간 위주 설계) 14개 안, SPS type(정적 놀이시설공간 위주 설계) 12개의 안의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설계대안별 선호도(5점 척도) 평가와 3개 유형의 대안 비교평가를 통해 최종 선정된 NS type은 자연공간(숲공간, 숲길, 쉼터, 자연탐색공간, 생태연못)이 주요 공간으로 설계되었고, 동적놀이시설공간, 물놀이 공간, 흙(모래)놀이 공간 등이 적정한 양으로 배치되어 인지적 발달놀이(기능놀이, 구조놀이, 극(상징)놀이) 모두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설계안으로 판단된다.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 오혜인;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0
    • /
    • 2023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preschoolers between the ages of 3 and 5 and their mothers.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beliefs about pla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y provided, as well as their child's playfulness and happines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Additionall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The children's playfulness was also identifi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Conclusion/Implic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imed at modifying mothers' play beliefs and the home environment.

이식형 포트 삽입 학령전기 아동의 주사공포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Fear-Reduction Program for Malignant Disease Children with Inserting Implanted Port)

  • 양경아;장숙;김일옥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8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y education program to reduce children's fear of needle insertion to the implanted port, and to assess the effect of this program. Method: The play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play education before needle insertion, encouragement during needle insertion, and a present to reward then after needle insertion.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the Procedure Behavior Check List(PBCL) and Faces Rating Scale(FRS).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e PBCL point of children with malignant disease would decrease after play education program", was rejected(before insertion : Z=-0.189, p= .850, during insertion : Z=-0.350. p= .727, after insertion : Z=-0.590, p= .555). The second hypothesis, "the FRS point of children with malignant disease would decrease after play education program education", was rejected(observer 1 : Z=-0.245, p= .806, observer 2 : Z=-0.912, p= .362, self-report : Z=-0.181, p= .856). The third hypothesis, "the Time of needle insertion would decrease after play education program", was rejected(Z=-0.464, p= .642). Conclusion: The effect on fear-reduction of pla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malignant disease inserted implanted port was not significant but continuous education is needed for parents and children.

  • PDF

생애 초기 보육경험과 만 4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간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 Care Experience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t Age 4)

  • 장영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4호
    • /
    • pp.1-19
    • /
    • 2016
  •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child care experienced in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t age 4 indicated by problem behaviors and peer competence. Using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the information of 1,699 children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y child care experience, hours in child care, full-time child care and early entry to child ca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play disruption at age 4. Some significant 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child care experience and better peer competence as well. Interestingly, the patterns of relations were different for boys and girls. Being in child care, a greater amount of child care and early entry to child care tended to be related to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boys and whereas they were more related to peer competence of girls indicated by play interacti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Child care hours at age 3 were relative stronger predictors of children's development compared to those at age 1 or at age 2. The findings imply that the amount of child care during the first 3 years of life does not have strong harmful effects on preschoolers'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hild care on boys and girls.

부산지역 유치원 아동의 우식치 실태와 부모의 구강보건지식에 관한 연구 (Knowledge, Cognition and Behaviour of the Parents and the State of Dental caries of Preschoolers living in Pusan Province)

  • 박춘호;정인성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93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parents, knowledge, cognition and behaviour about dental health care on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in preschoolers. Subjects were comprised of 170 preschoolers collected from three preschoolers placed in Pusan and Kimhae area and study period were 6 months from January, 2000. Examination on the preschoolers' dental health and questionnarie survey on parents' knowledge, cognition and behaviour about dental health care were conduc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t-test using SAS program. Dental caries was so prevalent as the rate of 73.5%. And, the rate was different by the area(p=0.001), and increased with preschooler's age(P=0.004). The parents gain the knowledge about dental health care mainly from dentist or dental hygienist(32.9%), newspaper, magazine booklets(26.5%), TV and VTR tape(20.0%), etc, but rarely from school health education(4.7%). Caries prevalen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case of regular brushing than that of insufficient brushing(p=0.002) and in case of consistently informing brushing time to their children(p=0.014).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dental health care for preschoolers is insufficient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aries prevention is regular brushing. And it seemed that the parent's concern and knowledge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prevention of preschooler's dental caries. Dental health education would be focused on the parents, especially for th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by preschoolers themselves.

  • PDF

미취학 아동의 편식지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 양일선;김은경;배영희;이소정;안효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5-13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118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to understand of children's food preferences and prejudices. The preference for vegetable showed the lowest score(2.345) and fruit was the favorite food(4.11). These results imply the consequence of teaching balanced diet with emphasizing vegetables for preschoolers. Thu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teaching material were developed to provide the preschoolers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ctivities in order them to the familiar with vegetables. The program were consisted of following five parts: 1. Read-A-Story includes six stories with follow-up activities. 2. Grow-A-Plant gives instructions for growing vegetables. 3. Play-A-Game stimulates children's imagination and learning. 4. Take-A-Trip suggests places to visit that grow, sell, and prepare vegetables. 5. Eat-A-Treat presents easy ways to prepare and enjoy vegetables. Twenty one-Standardized recipes for vegetable dishes were also developed for preschooler's luncheon and snack in daycare center.

  • PDF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해가는 만 3세 교실의 역할 놀이 영역 (Constructing 3-year-old classroom with role play areas based on field-trips)

  • 서혜정;한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115
    • /
    • 2010
  • 이 연구는 현장학습을 중심으로 구성해가는 만 3세 교실의 역할 놀이 영역과 그 과정에서 교사가 알게 된 것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동영상, 사진, 교사일지, 서술식 질문지, 심층면담 자료이다. 역할 놀이영역을 구성하기 과정은 현장학습 전 사전활동(질문목록과 질문할 역할 정하기, 현장 학습 시 지켜야 할 규칙 정하기, 현장 학습 목적 인지하기) 현장학습(현장 학습 장소 둘러보기, 질문목록에 따른 질문하기), 현장학습 후 현장학습 장소를 역할 놀이 영역으로 구성하기(현장학습 활동 회상하기, 역할 놀이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계획, 자료 준비하기, 수집된 자료로 제작하기), 역할 영역놀이 및 중간 평가, 역할 영역 놀이 평가로 이루어졌다. 성인들의 큰 사회를 교실 안으로 들여오는 과정에서 현장학습은 역할놀이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으며, 언어발달의 기회, 공공질서를 배우는 더 많은 배움의 기회로 작용함을 알게 되었다.

학령전기 장애 아동 부모와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과 놀이 참여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lay Perception and Play Participation of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in Preschool Age)

  • 박다솔;이은영;이선희;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1호
    • /
    • pp.69-78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전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부모들에게 자녀의 놀이에 관한 포괄적인 설문을 시행하여 놀이 인식을 알아보고 각 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놀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제작된 설문지를 설문요청에 동의한 대상자 700명에게 발송하였다. 미회수 및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596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으며 이 중 106부가 장애아동 부모의 설문지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dow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 검정이 시행되었다. 결과 : 장애 아동 부모는 비장애 아동 부모에 비해 자녀와의 놀이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자녀와의 놀이에 대한 즐거움 인식은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간에 큰 점수 차이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3). 자녀와의 놀이 참여시간은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모두 부 보다 모와의 참여시간이 많았다. 모의 경우 장애아동의 모가 놀이참여 시간이 더 많았고, 부의 경우 비장애 아동의 부가 더 많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장난감을 사주는 빈도는 '보통' 정도가 가장 많았으며 두 집단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 모두 놀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인터넷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놀잇감을 살 때 고려사항은 흥미 유발, 발달수준, 안전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령전기 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 부모의 놀이 인식 및 참여 실태를 비교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부모들이 놀이 시 실질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알 수 있고, 추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놀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