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23.02.23
  • Accepted : 2023.04.06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Objecti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preschoolers between the ages of 3 and 5 and their mothers.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their beliefs about pla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they provided, as well as their child's playfulness and happines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Additionall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The children's playfulness was also identifi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their preschooler's happines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preschoolers' happiness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playfulness. Conclusion/Implic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imed at modifying mothers' play beliefs and the home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연, 이진희 (2020).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의 관계: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453-461. https://doi.org/10.5762/KAIS.2020.21.7.453
  2. 권기남, 성미영 (2010).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2), 257-270.
  3. 곽은영 (2012). 학령기 아동의 놀이성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갑순, 채신영 (2021). 유아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 인식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참여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49-64.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6.49
  5. 김경철, 한유진, 김인애 (2019). 유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놀이신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9(6), 349-375.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5
  6.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https://doi.org/10.5723/KJCS.2012.33.2.69
  7.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4.
  8. 김수예, 김현경 (2021). 부모의 놀이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3), 19-37.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3.019
  9.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https://doi.org/10.16978/ECEC.2012.7.2.002
  10. 김지윤 (2016). 가정환경 및 어머니의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진희 (2020). 유아의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 인식, 놀이참여가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7(1), 49-64.
  12. 김혜숙, 고재홍 (2018). 어머니의 지혜와 자녀의 행복: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1), 355-376. https://doi.org/10.20497/jwce.2018.7.1.355
  13. 김호, 유영의 (2011). 유아의 놀이성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과정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333-352.
  14. 도남희, 배윤진, 김지예 (2014).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15.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16. 박주은 (2016). 유아의 행복결정요인에 관한 기초연구-유아행복의 개념, 관련 변인, 측정도구에대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25(3), 76-94. https://doi.org/10.17643/KJCE.2016.25.3.05
  17. 송민영 (1998).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송민영, 박현선 (2020).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과 놀이지원 행동이 자녀의 생활시간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51(2), 125-146. https://doi.org/10.16999/kasws.2020.51.2.125
  19. 심미영, 이문옥 (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 유아의 놀이성,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 509-536.https://doi.org/10.22590/ecee.2018.22.4.509
  20. 안미현, 김정미 (2017). 유아의 놀이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213-228.
  21. 안선희, 성은현 (2016). 창의성에 대한 부모인식,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특성간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16(1), 63-79.
  22. 안세은, 김지현 (2022). 부모의 놀이신념이 부모-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40(1), 1-10. https://doi.org/10.7466/JFBL.2022.40.1.1
  23. 오미형, 최보가 (2006).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창의적 가정환경 척도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4(1), 1-10.
  24. 오혜선, 김지현 (2021). 부모 참여적 놀이신념이 유아기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가정환경의 질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475-487.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5.475
  25. 우혜진 (2017).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7. 이경선 (2017). 유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305-324.
  28. 이승미, 김언경 (2018). 유아 사교육 현황, 사교육에 대한 유아의 불만족도 및 행복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9(3), 31-48. https://doi.org/10.15854/jes.2018.9.49.3.31
  29. 이은주 (2010).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주연, 이지영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 기기중독에 미치는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7(4), 263-275. https://doi.org/10.20496/cpew.2020.7.4.263
  31. 이하정, 탁정화 (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39-6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4.039
  32. 이현지, 정혜욱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참여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1(4), 77-9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59
  33. 이효임, 신나리 (2020).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시간의 매개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59-77.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59
  34. 임예슬, 한유진 (2015).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부-자녀 간 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2), 1-16. https://doi.org/10.5723/KJCS.2015.36.2.1
  35. 임진경, 노은호 (2014). 교육조력자로서의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1.
  36. 장영숙, 조혜정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51-268.
  37. 장은정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전미경, 장재숙 (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39. 조해연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최목화, 손승희, 박정아 (2017). 보육실 환경 변화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및 놀이성의 차이. 한국생활과학회지, 26(4), 271-282. https://doi.org/10.5934/kjhe.2017.26.4.271
  41. 최민자, 김진경 (2022).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6(2), 167-193. https://doi.org/10.21459/kccr.2022.26.2.167
  42. 최성열 (2016). 유아행복 관련변인 연구동향. 아동교육, 25(4), 369-378. https://doi.org/10.17643/KJCE.2016.25.4.19
  43. 최유석, 임지영 (2021).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 ch, 59(1), 71-82. https://doi.org/10.6115/fer.2021.006
  44. 최은혜 (2022).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유형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 특성.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최정화, 김정화 (2021). 아동 권리를 존중하는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5(4), 511-530. https://doi.org/10.21459/kccr.2021.25.4.511
  46. 홍지명 (2021).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2(5), 2687-2699. https://doi.org/10.22143/HSS21.12.5.190
  47.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48.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1), 51-74.
  49. Barnett, L. A. & Kleiber, D. A. (1982). Playfulness and the early play environment.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44(2), 153-164. https://doi.org/10.1080/00221325.1984.9923421
  50. De Neve, J.-E., Diener, E., Tay, L., & Xuereb, C. (2013) The objective benefits of subjective well-being. In J. Helliwell, R. Layard, & J. Sachs (Eds.), World happiness report 2013 (pp.54-79). UN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51. Dewey, J. (1993). How we think. D.C. Heath and Company.
  52. Fisher, K. R., Hirsh-Pasek, K., Golinkoff, R. M., & Gryfe, S. G. (2008). Conceptual split? Parents' and experts' perceptions of play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305-316. https://doi.org/10.1016/j.appdev.2008.04.006
  53. Fogle,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uth Carolina University.
  54. Fung, W., & Chung, K. K. H. (2022). Parental play supportiveness and kindergartners' peer problems: Children's playfulness as a potential mediator. Social Development, 31(4), 1126-1137. https://doi.org/10.1111/sode.12603
  55. Hirsh-Pasek, K., Golinkoff, R. M., Berk, L. E., & Singer, D. G. (2009). A mandate for playful learning in preschool: Presenting the evi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56.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Guilford Press.
  57.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58. Lin, X., & Li, H. (2019). Chinese mothers'profile which values both play and academics predicts better developmental outcome in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43(1), 61-66. https://doi.org/10.1177/0165025418767062
  59. Parmar, P., Harkness, S., Super, C. M. (2004). Asian and Euro-American parents' ethnotheories of play and learning: Effects on preschool children's home routines and school behaviou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2), 97-104. https://doi.org/10.1080/01650250344000307
  60. Permiakova, M. Y., Tokarskaya, L. V., & Yershova, I. A. (2016). The research of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in senior preschooler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33, 100-104. https://doi.org/10.1016/j.sbspro.2016.10.153
  61. Schneider, E., & Rosenblum, S. (2014).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y Child's Play (MCP) questionnai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3), 277-285. https://doi.org/10.5014/ajot.2014.009159
  62. Shin, N., Vuaghn, B. E., Akers, V., Kim, M., Stevens, S., Krzysik, L., Coppola, G. et al. (2011). Are happy children socially successful? Testing a central premise of positive psychology in a sample of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6(5), 355-367. https://doi.org/10.1080/17439760.2011.584549
  63. Ward, K. R., & Sutton, G. W. (2009). Aging well: Surprising guideposts to a happier life.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28(2), 184-186.
  64. Yang, Y. (2008). Social inequalities in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1972 to 2004: An age-period-cohort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2), 204-226. https://doi.org/10.1177/0003122408073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