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aturity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8초

The Long-Term Outcome and Rehabilitative Approach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t Preterm Birth

  • Juntaek Hong;Dong-wook Rh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289-297
    • /
    • 2023
  • Technological advances in neonatology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urvival rate in preterm babies with very low birth weights. However,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has been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prematurity. IVH is relevant to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uch as cerebral palsy, language and cognitive impairments, and neurosensory and psychiatric problems,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brain parenchymal injuries. Additionally, severe IVH requiring shunt insertion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adverse neurodevelopmental outcomes. Multidisciplinary and longitudinal rehabilit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children based on the patients' life cycles. During the infantile period, it is essential to detect high-risk infants based on neuromotor examinations and provide early intervention as soon as possible. As babies grow up, close monitoring of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is needed. Moreover, providing continuous rehabilitation with task-specific and intensive repetitive training could improve functional outcomes in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disabilities. After school age, maintaining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managing complications are also needed.

Failure to Thrive를 주소로 내원한 환아들의 임상상 (Clinical Manifestation of Children with Failure to Thrive)

  • 문정희;김지영;백남선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68-74
    • /
    • 2000
  • 목 적: 연구자들은 삼성의료원 소아과에 상기 증상으로 내원한 환아의 임상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7년 3월부터 1999년 7월까지 failure to thrive를 주소로 삼성의료원 소아과 영양크리닉을 방문한 16세 이하의 영아 및 소아 환자 7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방법으로 병록지 고찰을 통하여 임상 상을 알아보았다. 외래를 내원하였을 때 환아의 출생체중, 체질성 성장지연의 가족력을 포함하는 병력청취와 신체검사를 시행하였고, failure to thrive가 병력 및 신체검사로 설명이 되지 않는 경우는 흉부 방사선촬영, 간 기능 검사, 전해질 검사, 신장기능 검사, 혈액 검사, 요침사를 포함하는 소변검사를 시행하였고 필요한 경우 뇌파검사, Brain MRI, 골 연령 등을 측정하였다. 또한 영양사의 도움을 얻어 현재 섭취하고 있는 음식의 열량을 분석하였다. 결 과: 1) 74명의 환아의 병록지 고찰이 가능하였고 이중 남아가 43명이었으며 나이는 1개월에서 13년 1개월(평균: $3.3{\pm}3.7$세)이었다. 2) 전체적으로 원인을 추정할 수 있었던 총 69례 중 생리적 failure to thrive는 33례로 전체 47.8%, 병적인 failure to thrive는 36례로 52.2%를 차지하였고, 생리적 failure to thrive에서는 가족성 저신장증, IUGR, 체질성 성장지연, Idiosyncrasy, 미숙아 순이였고 병적 원인의 경우 나이와 관계없이 중추 신경계질환, 위장관 질환, 알레르기 질환 순이었다. 3) 3세 미만의 군에서는 원인을 추정할 수 있었던 총 41례 중 19례(46.3%)가 생리적 원인이었고 IUGR과 가족성 저신장증이 가장 많았다. 4) 3세 이상의 군에서는 원인을 추정할 수 있었던 28례의 환아 중 14례(50%)에서 생리적 원인으로 가족성 저신장증, 체질성 성장지연, IUGR 순이었다5). 평균 섭취열량은 하루 권장량의 76.2%였다. 체질성 성장지연과 IUGR, Idiosyncrasy, 병적 failure to thrive는 평균 섭취열량이 적은 경향을 보였고, 미숙아는 비교적 정상적인 소견을 보였으며 가족성 저신장증의 경우 열량 공급이 고루 분포되는 경향을 보였다. 5) 신체형은 생리적 failure to thrive의 원인 중 미숙아, IUGR과 병적인 failure to thrive에서는 신장과 체중 모두 감소되어 있는 형이 가장 많았고, 체질성 성장지연과 가족성 저신장증에서는 신장은 정상이나 체중은 감소되어 있는 형이 많았다. 결 론: Failure to thrive는 3세 미만에서는 IUGR 및 가족성 저신장증 등이 failure to thrive의 가장 흔한 원인이고 3세 이상에서는 가족성 저신장증과 체질성 성장지연 등 유전환경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병적인 failure to thrive의 원인은 나이와 관계없이 중추 신경계질환, 위장관 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영 유아를 포함하는 소아에서의 failure to thrive의 원인은 대개 치료가 필요하지 않는 생리적인 원인이 많고 완전한 병력청취 및 신체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므로 조기 진단 후 적절한 영양평가는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미숙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른 혈청 알부민치와 임상증상과의 관계 (Serum Albumin Concentrations and Clinical Disorders by Gestational Ages in Preterm Babies)

  • 이미아;윤수;임백근;김종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48-153
    • /
    • 2005
  • 목 적 : 혈장의 항산화 능력, 항혈전 작용, 혈관 투과성 등에 관여하는 알부민이 낮은 경우 호흡곤란증후군, 기관지폐 이형성증, 괴사성 장염, 뇌실 내 출혈, 태아수종 등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신생아의 폐질환에서는 폐 모세혈관의 삼투성이 증가하고 폐포 흡인액에서 알부민이 증가되어 폐부종이 발생될 수 있으나 이때 저알부민혈증의 교정을 위해 알부민을 투여하는 것은 오히려 알부민 누출을 증가시켜 부종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폐 표면활성제의 작용을 저해하여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있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미숙아에서 출생 직후 재태 기간에 따른 알부민의 정상범위를 결정하고,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무호흡, 기관지폐 이형성증 등의 임상증상이 발생된 군과 대조군의 알부민치를 비교하고, 출생 직후의 알부민치가 이들 질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원주기독병원에서 출생한 재태 23-41주의 신생아 208명을 대상으로 출생시 체중, 재태 기간, 생후 1일의 혈중 알부민치를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조사하고, 최종 진단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무호흡, 기관지폐 이형성증 유무를 조사하여 이들 임상증상이 있었던 군과 없었던 대조군으로 나누어 혈중 알부민치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혈중 알부민치는 재태 기간 23-24주에서 평균 2.36g/dL 만삭에 3.43 g/dL으로 재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임상 증상에 따른 혈중 알부민치는 재태 기간 30-36주의 미숙아중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무호흡이 있었던 군과 대조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무호흡증이 있었던 경우 알부민치가 감소함에 따라 이들 질환의 발생 위험률이 증가함을 보였다. 결 론 : 신생아에서 저알부민혈증은 반드시 재태 기간을 고려하여 정의되어야 하며, 출생 직후 알부민치는 30-36주 사이의 미숙아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무호흡 등 각각의 증상이 나타난 군에서 증상이 없었던 군보다 의미있게 낮았으며, 저알부민혈증이 이들 질환의 발병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숙아에서의 갑상선기능 장애 (Thyroid dysfunction in premature infants)

  • 홍기배;박지윤;장영표;유지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991-998
    • /
    • 2009
  • 목 적 : 갑상선호르몬은 소아에서 뇌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이므로 갑상선기능이상에 대한 조기진단 및 치료는 중요하다. 미숙아에서는 이러한 갑상선의 기능이상이 만삭아에 비해 많이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에서의 갑상선기능이상의 빈도, 임상양상 및 경과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4월에서 2008년 8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37주 미만의 미숙아 802명 중 초기 갑상선기능검사의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던 59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1, 2차 검사의 결과에 따라 정상군,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군, 고갑상선자극호르몬혈증군, 저티록신혈증군, 지연된 일차성 갑상선기능저하증군, 지연된 고갑상선자극호르몬혈증군의 6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 간의 임상특징, APGAR 점수 및 여러 위험인자들, 검사결과 등을 비교하였고 갑상선기능이상의 빈도 및 경과, 위험요소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599명중 1차 갑상선기능이상을 보인 환아는 136명(23%)이었고 저티록신혈증이 20%로 가장 많았다. 처음 NST는 정상이었으나 생후 3-4주경 2차 검사를 시행한 46명 중 8명(17%)에서 갑상상선기능이상을 보였다. 갑상선호르몬은 총 10명에서 투여되었고, 9명에서는 호전을 보여 중단이 가능하였다. 1명은 이소성 갑상선으로 지속적인 복용이 필요한 상태이다. 결 론 : 미숙아에서 갑상선기능 이상은 매우 흔하였고, 대부분 일시적이었다. 때로는 초기 검사에서 정상이었다가 뒤늦은 이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미숙아의 경우 특히 33주 미만 또는 2,500 g 미만의 경우 처음 검사가 정상이더라도 3-4주경에 재검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숙아에서 발견된 부분형 DiGeorge 증후군 1례 (A Case of Partial DiGeorge Syndrome in Prematurity)

  • 성태정;고은영;김달현;오지은;권영세;임대현;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83-389
    • /
    • 2002
  • 저자들은 미숙아에서 청색증과 무호흡증으로 입원 치료 하던 중 저칼슘혈증으로 인한 경련이 나타난 환아에게서 흉부 X선 사진과 MRI상 흉선을 관찰할 수 없으면서 T 세포수의 감소와 부갑상선 홀몬수치 감소를 나타내고 소악증, 어구, 부리모양의 코 등의 안면 기형과 합지증, 코 역류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구개 범인두 부전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염색체 22q11 극소결실이 FISH검사에서 확진된 부분형 DiGeorge 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 신체발달과 외부환경 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 이지원;어용숙;한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28-137
    • /
    • 2016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환경 적응,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에서 제왕절개분만을 한 미숙아와 미숙아 어머니로서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 한 실험군 19명과 캥거루식 접촉을 하지 않은 대조군 19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이며, 실험군에게 캥거루식 접촉을 하루 3회(1회 60분),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미숙아의 신체발달(체중, 신장, 머리둘레)과 외부환경 적응(체온, 심박동수, 산소포화도)을 캥거루식 접촉 전에 측정하였고, 중재를 제공한 후 다시 측정하였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한 실험군과 접촉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차이에서 미숙아의 신체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체중 t=-0.83, p=.21 신장 t=-0.34, p=.37, 머리둘레 t=1.29, p=.10), 외부환경 적응에서 산소포화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7, p=.02). 미숙아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41, p=.34). 결론적으로 캥거루식 접촉은 미숙아의 외부환경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서혜부탈장의 선택적 편대측 시험절개 (Selective Contralateral Exploration in Pediatric Inguinal Hernia)

  • 이명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권1호
    • /
    • pp.18-26
    • /
    • 1995
  • For the prevention of later contralateral hernia as well as unnecessary contralateral explora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unilateral inguinal hernias, a reasonable indication of contralateral exploration is required. To examine the contralateral positivity, a prospective selective contralateral exploration has been performed by the author from Sept. 1985 to Dec. 1993, at Pediatric Surgical Section of the Department of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Among the total 1200 cases of pediatric inguinal hernias, 580 cases of contralateral side were explored at hernia operations, by the indications as; male with infant onset, 2)female of all age, 3)prematurity, 4)profuse ascites due to cirrhosis, nephrotic syndrome, and ventriculoperitoneal shunt, and 5)remarkable silk sign. Overall positive rate was 71.4%, and positive rates of each indication were 80.7%, 70.4%, 73.1%, 66.7%, and 72.0%, respectively. Right side hernia showed 67.0%, left s ide 75.7%, and positive familial history 71.8% of contralateral positivities. In male, getting older revealed lower positive rates and the rate suddenly dropped after 12 years of age. Birth order, mother's age at delivery, postmatur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ates. Recurrence was seen in 3(0.5%) ipsilateral and 2(0.3%) contralateral, both of which were negative esplorations on previons operations.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3.8%, including 1 infection, 14 fluid or blood accumulation, 5 edemas, 3 temporary testicular edemas, 2 persisting fevers, 2 enures is and one delayed recovery from anesthesia. Among 38 cases with contralateral hernias developed after unilateral surgery by authors(6 cases) or surgeons in other institutions, 14 were males with infant onset, 4 were prematurities and 9 were females. Therefore, 27(71.7%) cases were originally under the contralateral exploration indications. The primary site of the hermia was right in 25 and left in 13. With above results, the following indications for contralateral exploration could be suggested ; 1)under one year of age, both sex, 2)prematurity, 3) remarkable silk sign, 4)in the double checked suspicions among males with infant onset, all age females, ascites, left hernia and familial history. After 12 years of age, exploration is not required. Considering complications, contralateral explorations could be considered only in the following situations; 1)expert, experienced pediatric surgeon, 2)experienced pediatric anesthesiologist, 3)operations could be done smoothly in an hour, 4)good general condition of the patient.

  • PDF

영아 및 소아에서의 서혜부 탈장의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 (The Predisposing Factors in Recurrenct Inguinal Hernias in Infants and Children)

  • 도재태;김현영;최승은;정성은;이성철;박귀원;김우기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8권2호
    • /
    • pp.126-132
    • /
    • 2002
  • Inguinal hernia is a major surgical disease in pediatric surgery, occurring in 3.5% to 5% of all mature newborns and 9% to 11% of all premature bab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disposing factors in association with recurrences of inguinal hernias in infants and children. In the period from January 1995 to September 2001, 1,575 infants and children who had primary inguinal hernias or recurrent inguinal hernias operated on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the data by medical records and by telephone interview. The sex, age, location of hernia, comorbidity, prematurity, incarceration, interval to operation after incarcera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as predisposing factors in associated with hernia recurrence. Operative findings of recurrent inguinal hernia were review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Pearson Chi-Square test and Fisher-exact test. A total of eighteen (1.14%) out of 1,575 patients underwent an operation due to recurrent inguinal hernia. In 5 (27.8%) out of 18 recurred patients, institution of the primary herniorrhaphy was our hospital and in the other 13 (72.2%) was outside hospital. No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recurrences was seen for sex, age, interval to operation after incarceration,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significant predisposing factors of recurrent inguinal hernias were left inguinal hernias (p=0.002), comorbidity (p=0.002), prematurity (p=0.006), incarceration (p=0.017) and technical error of first herniorrhaphy. We expect that knowledge for predisposing factors of recurrent inguinal hernias and experienced skill of pediatric surgeons will decrease recurrence rate in primary inguinal hernia.

  • PDF

Prognostic Factors of Neonatal Sepsis Mortality in Developing Country

  • Iffa Ahsanur Rasyida;Danny Chandra Pratama;Fatia Murni Chamid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1호
    • /
    • pp.12-19
    • /
    • 2023
  • 목적: 패혈증은 개발도상국에서 연간 사망률의 30-50%를 차지하는 신생아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본 연구는 신생아 패혈증 사망률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21년 4월부터 2021년 9월까지 R. Sosodoro Djatikoesoemo 주지사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패혈증을 진단받은 121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고 패혈증을 진단받은 생후 0-28일된신생아였다. 임상 기록이 불완전한 경우와 선천적 기형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성별, 재태주령, 분만방식, 출생체중, APGAR 점수, 출생지, 혈액배양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고 백혈구, 림프구, 호중구, 혈소판, C반응단백 (C-reactive protein, CRP) 및 체류 기간에 대하여서는 정규성 검정을 한 후 Mann-Whitney 테스트로 분석하였다. 결과: 출생체중 (P=0.038), 임신주수 (P=0.009), 혈액배양 (P=0.014)은 신생아 패혈증 결과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Mann-Whitney 검사는 혈소판 (P=0.018), CRP (P=0.002) 및 재원기간 (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 신생아 패혈증 사망률과 관련된 세 가지 예후 인자는 미숙아 (오즈비 [odds ratio, OR], 3.906; 95%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CI], 1.344-11.356; P=0.012), 저체중 출생 (OR, 2.833; 95% CI, 1.030-7.790; P=0.044), 그람 음성 박테리아 (OR, 4.821; 95% CI, 1.018-22.842; P=0.04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숙아, 저체중아, 그람 음성균 감염이 신생아 패혈증의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The effect of baicalin in a mouse model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 Jo, Hyoung;Jung, Sang Hoon;Yim, Hye Bin;Lee, Sung Jin;Kang, Kui Dong
    • BMB Reports
    • /
    • 제48권5호
    • /
    • pp.271-276
    • /
    • 2015
  • Baicalin is a flavonoid derived from the dried root of Scutellaria baicalensis. In this study, oxygen-induced retinopathy was used to characterize the anti-angiogenic properties of baicalin in mice. Pups were exposed to a hyperbaric oxygen environment to induce retinal angiogenesis and were subjected to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baicalin. Avascular area, neovascular tufts, and neovascular lumens were quantified from digital images. Compared to the vehicle, baicalin clearly reduced the central avascular zone and the number of neovascular tufts and lumens. High-dose baicalin (10 mg/kg)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MP-9, angiotensin II,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hese results show that baicalin is a powerful antiangiogenic compound that attenuates new vessel formation in the retina after systemic administration, and is a candidate substance for therapeutic inhibition of retinal angiogenesis. [BMB Reports 2015; 48(5): 271-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