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 efficacy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교육신념 및 교사가 느끼는 조직건강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s of Student-teaching in Kindergarten through Educational Diary on Pre-service Teacher Efficacy,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Organizational Health)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8-5587
    • /
    • 2011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실습에서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교육일기 쓰기가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교육신념,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실습유치원의 조직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충남의 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전후검사 설계 방식에 의해 실험이 이루어졌고, 자료에 따라 $x^2$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일기 쓰기가 교사효능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교사신념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느낀 실습학교의 조직건강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실습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기본 전제 조건인 반성적 저널쓰기를 실용성 차원에서 실습일기 쓰기로 대체할 수 있다는데 있다. 지도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단지 교육 실습일기 쓰기만으로도 교사효능감은 증진된다는 것이다.

예비수학교사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교육학 강의 분석 (Analysis of Lectures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Pre-Mathematics Teachers)

  • 신준국;김정겸;서보억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55-275
    • /
    • 2017
  • 수학과 교육과정은 교수 학습에서 창의 인성을 강조한다.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 태도 및 실천 역량을 통해 이를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창의 인성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학교 수학수업 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과교육학 강좌를 창의 인성 역량 함양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고, 이 강의를 통해 예비수학교사의 창의 인성 역량 함양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업 참여 관찰을 통해 교과교육학 강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수학 교과교육학 수업운영에 의미 있는 시사점 도출이 기대된다.

  • PDF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사목표 프로파일에 따른 교사효능감, 직업만 족도, 심리적 안녕감 비교: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Relations Between Goal-Orientation Profiles and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정미라;차기주;신종호;박수원;민지연;김민정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9-18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ofiles based o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al orientations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se profile group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acher questionnaire. The teacher goal-orientation scale consisted of six sub-dimensions: growth, leisure, wealth, relationship, promotion, and social contribu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es. Results: Latent profile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 profile groups: one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scores across all six dimensions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another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six dimensions, with a relatively higher score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 (relationship-goal-oriented group); another one characterized by lower scores on all dimensions except the leisure goal (leisure-goal-oriented group). MANOVA showed that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otal years of teachi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compared to the leisure-goal-oriented group. In regression analyses, when controlling for educational attainment, teacher types (kindergarten vs. elementary school)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each of the dummy-coded profile groups (0 = no, 1 = yes). When taking into account teachers'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belonging to the balanced-goal-orientation group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teacher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in leisure-goal-oriented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t is crucial to help pre- and in-servic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ster a bala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goals, which would ultimately strengthen and stabilize the supply of a teaching force and the provision of a better education.

온라인 PBL이 학습자의 4C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the Effects of Online PBL on Students' 4C Competencies)

  • 임다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2
    • /
    • 2023
  •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4C 역량과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PBL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예비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PBL 경험에 매우 만족했으며, 학습과 예비교사로서의 자신에게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인식했다. 셋째, 학습자들은 실시간 화상회의 시스템과 메신저가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요인에 대해 본 연구 참여자들은 의사소통과 성실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리더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팀원 간의 개인적 친밀도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예비교육사서를 위한 PBL환경의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for Promoting the Pre-Education Librarians' Self-Efficacy in Education Services)

  • 정종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1-239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교육사서의 교수역량을 신장시킬 목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환경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학기 동안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자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강좌에 수강신청한 42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경험한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육사서들의 일반 자기효능감과 특수 자기효능감은 프로젝트학 습환경을 경험한 후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프로그램은 예비교육사서들의 교수법과 관련한 지식,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교수자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태도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어 교수 역량을 갖춘 교육사서를 양성하는데 주효한 교수학습방법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그램이 교육사서와 사서교사를 위한 계속교육과 직무연수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평가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교사를 위한 머신러닝 활용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bout State Classification of the Matters using Machine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소율;이영준;백성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9-149
    • /
    • 2022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미래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역량을 함양하고, 동시에 학생의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물질의 상태 분류를 주제로 머신러닝포키즈와 스크래치3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15주차 분량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내용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K대학교 예비교사들에게 처치되었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머신러닝의 학습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의 학습 과정을 비유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의 사전-사후 t검정 결과는 t=-7.137(p<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은 교생실습 외에 비간접적인 방식으로 예비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 인공지능 교육 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 교사의 변화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165-201
    • /
    • 2020
  • 본 연구는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구하여 기독유아교육의 언어교육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언어 교육의 세부 주제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참여한 기독교교육과 학생 19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3일 ~ 12월 28일 동안 면담, 설문조사, 활동계획안, 성찰이 담긴 포트폴리오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 범주를 도출하고 이를 범주화 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신학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거쳤다. 연구 결과,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에 대한 기독 예비 유아교사 경험은 인지적 변화, 인성적 변화, 실천적 변화로 범주화하였다. 첫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유아 언어교육의 발달적 성취와 결과보다는 '언어교육활동의 과정'의 인지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 교육 영역의 분리가 아닌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교사중심의 형식적 언어교육과 더불어 '유치원 생활 속의 비형식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유아 언어 교육의 효과성 검증보다는 '유아 중심의 의미 있는 언어교육 경험'이 중요하다는 인지적 변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자신감 있는 교사', '전문성 있는 교사', '반성적 사고와 태도를 가진 교사'로서 인성적 변화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기독 예비 유아 교사는 '긍정 언어의 힘'을 인식하였고, '바른 언어 사용 습관' 형성과 '기독교 교육과 유아교육 연계'를 위해 노력하는 실천적 변화가 있었다.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교육 활동 개발을 통해 기독 예비 유아교사는 예측할 수 없는 교육 상황과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현실 속에서 유아를 위한 진정한 유아 교사가 되기 위한 마음 자세와 교사로서 요구되는 열정의 자질을 함양하게 되어 교사 효능감이 증진되었다. 향후, 기독교교육과 유아교육이 연계된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수학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똑똑! 수학 탐험대' 사용 의도 이해: 자기효능감과 인공지능 불안,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intention to u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Knock-Knock! Mathematics Expedition' in mathematics lesson: Focusing on self-efficacy, artificial intelligence anxiet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3호
    • /
    • pp.401-416
    • /
    • 2023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AI 불안이 수학 수업에서 '똑똑! 수학 탐험대'를 사용하려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54명의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AI 불안, 인지된 사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를 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으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와 직·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사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AI 불안은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지된 사용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된 유용성은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학수업에서 예비교사가 '똑똑! 수학 탐험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과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을 위한 임파워먼트 강화 효능성 탐색 (An Efficacy Exploration on Enforcing Empowerment for the Beginner Teachers' Adaptation in Special Education)

  • 황순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302-313
    • /
    • 2006
  • This paper explores the efficacy on enforcing empowerment for the beginn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tion of teaching life. Empowerment is widespread public concern regarding the role of the teacher in decision made in the operation of schools. Therefore what is discussed to be definition, a central component and strategies of empowerment based upon the through literature review. Empowerment is defined in terms of teachers power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about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 especially is related to disabilities. And Empowerment has six components, decision making, professional growth, status, self-efficacy, autonomy, and impact. When novice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utilize self-empowerment strategy, they have the opportunities for greater status and increasing power.Finally, empowerment is at the hear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tion of teaching life.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indicator for assessing wha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perceived their empowerment in overall work. Also higher education program must address this issue in pre-service training of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Analysi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age of Concerns about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정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1-440
    • /
    • 2017
  • 본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화를 앞두고 최근 초 중등교육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및 지원방안 마련에 한창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유아교육에의 도입가능성을 전제로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따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원점수 평균을 도출한 후 간이 채점표를 적용하여 상대적 강도로 전환하고 이를 관심도 프로파일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관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가 95%로 가장 높고, 정보적, 개인적, 운영적 관심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비사용자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형적 비사용자 패턴에 비해 개인적, 정보적 관심도가 다소 높고 6단계(재초점)로의 '꼬리 올리기'현상이 나타남으로써 어느 정도 비판적 비사용자에 가까운 패턴 양상을 띠기도 하였다. 필요성 인식, 향후 실행계획 유무, 테크놀로지 효능감 수준에 따라 운영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관심도 차이를 나타내었고 교육 및 연수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6단계(재초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도입을 앞두고 새로운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방적인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코딩교육 등으로 대변되는 사교육 기반의 유아소프트웨어 교육이 아닌,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누리과정과 연계된 교육활동으로서의 가치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