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ectures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Pre-Mathematics Teachers

예비수학교사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교육학 강의 분석

  • Received : 2017.06.14
  • Accepted : 2017.09.18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Educating for character was emphasized in 2015 & 2009 reformed Korea natio nal mathematics curriculum. Thus, in this study we basically conducted to reali ze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cce ssfully lecture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Research' subject that is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major subject in teacher college, an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First, we develop a lesson plan, teaching and learning plan, learning materials based on cr eativity and personality. Second, we taught a class based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ird, we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efficacy about p re-service math teacher. Fourth, we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Mat 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Research' subject lessons through the Classe s observer.

수학과 교육과정은 교수 학습에서 창의 인성을 강조한다.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 융합, 태도 및 실천 역량을 통해 이를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창의 인성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학교 수학수업 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과교육학 강좌를 창의 인성 역량 함양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고, 이 강의를 통해 예비수학교사의 창의 인성 역량 함양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업 참여 관찰을 통해 교과교육학 강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수학 교과교육학 수업운영에 의미 있는 시사점 도출이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려대학교(2015). 2014 창의.인성교육 선도 교원양성대학 결과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 고호경, 장윤영 (2010).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의 오개념 지도 방안 활성화를 위한 PBL 사례 적용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69-88.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5. 권오남.박지현.박정숙 (2011). 수학과 창의.인성 모델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김광민 (2001). 교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위치-인성교육에 주는 시사, 도덕교육연구 13(2), 23-46.
  7.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1(2), 1-19.
  8. 김정겸, 김두정, 허창수, 반재천, 정혜원, 신준국, 서보억, 김지숙, 양미석(2016). 2015 창의.인성교육 선도 교원양성대학 운영 결과 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9. 문용린 (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0. 박경미 외 31명(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1. 박병기, 강현숙, 이영신 (2006). 창의성과 학습동기의 관계, 한국교육심학회 교육심리연구 20(3), 651-678.
  12. 서보억 (2012). 기하프로그램을 활용한 정다각형 외연의 확장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1), 183-197.
  13. 신준국 (2015). 중학교 수학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신준국, 부덕훈, 서보억 (2015). 수학수업에서 인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9(2), 241-265.
  15. 이윤선, 강혜영, 김소정 (2013). 대학생 인성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31, 261-282.
  16. 이종승(2009). 현대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7. 전경원 (2015). 창의성 본질과 교육, 서울: 정민사.
  18. 최원영, 김혜경 (2014). Coaching 학습법을 활용한 대학 수학 교육 사례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2), 193-205.
  19.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 (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 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 교육연구 9(2), 89-112.
  20. Gardner, H. (2006). Five minds for the Futur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1. Guilford, J. P. (1959). Three Faces of Intellect, American Psychologist 14.
  22. Hadamard, J. (1945). An Essay on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New York: Dover Publication.
  23. Hersh., R., Miller, J., & Fielding, G. (1980). Model of moral education. 강두호 역 (2013). 도덕교육의 6가지 모형, 서울: 역락.
  24.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5). Flipped Learning for Math Instruction, ISTE.
  25. Kirschenbaum, H.(1995). 100 ways to enhance values and morality in schools and youth settings, Boston: Allyn and Bacon
  26. Nucci, L. P., Narvaez, D. (2008).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New York, NY : Routledge.
  27. Resnick, M.(2007). Sowing the Seeds for a More Creative Society, learning & Leading with Technology, Dec/Jan 2007-08. http://web.media.mit.edu/-mres/papers/Learning-Leading-final.pdf
  28. Rogers, V. O. (1983). A whack on the side of the head, New York: A Warner Books. Inc.
  29. Ronis, D. L. (2007). Problem-based learning for math & science, Integrating Inquiry & The Internet.
  30.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31. Sternberg, R. J. (1994).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an Diego: Academic Press, Inc.
  32. Torrance, E. P. (1975).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Still alive. In I. A. Taylor & J. W. Getzels (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Hawthorne, NY: Al-dine de Gruyter.
  33. World Economic Forum (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W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