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재구성을 통한 수업 설계 변화 탐색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Restructuring the Lesson Plan)

  • 최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9-177
    • /
    • 2020
  • 교육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교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자 교사의 수업 설계 능력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수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이 수업을 수행한 후, 계획하였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재구성함으로써 나타난 수업 설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도입단계의 학습동기 유발, 전개단계의 학습내용 제시, 정리단계의 형성평가에 대한 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재구성한 내용의 범주는 교과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 설계 및 수행의 경험 부족을 원인으로 볼 수 있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의 실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과 관련 있는 수학 학습은 무엇인가? (What Kinds of Mathematics Learning are related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강은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1-266
    • /
    • 2015
  • '수학 수업을 더 들을수록 더 나은 수학 교사가 될 것이다.'라는 주장은 정당하게 들린다. 하지만 대학 수준의 수학, 예를 들어, 추상 대수나 해석학 같은 수학을 듣는 것이 어느 정도 초등 수학을 잘 가르치는데 영향을 미칠까 하는 데에는 의문이 생긴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수학자가 초등 수학을 가르치도록 교육 받은 사람보다 나은 초등교사일 수 있는가? 이 논문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과 학교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는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 전 과목을 다 가르치도록 교육받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연구의 대상이며 교사교육을 이미 다 받은 시점에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그들이 앞으로 가르치게 될 초등 수학을 다시 한 번 접해 볼 기회를 갖는 것이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좋은 수학수업을 위해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교사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Competencies for Good Teaching and Perspective Teacher Education)

  • 강현영;고은성;김태순;조완영;이경화;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633-649
    • /
    • 2011
  •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해 수학교사는 여러 가지 역량을 필요로 하지만, 수학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연구자의 입장과 현직교사의 입장은 종종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련 선행연구와 본 연구자들의 현직교사 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경험에 기초하여 좋은 수학수업의 의미와 특징을 반영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 역량 요소를 도출하고, 연구자의 입장에서 도출된 각 요소에 대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또한 과거 교사 양성 과정의 대학에서 배운 수학이 교수 역량 계발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는지 그리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교육이 교수 역량 계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직 수학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사의 수업 역량과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asur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ef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황지현;김진호;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43-55
    • /
    • 2022
  • 수학을 지도하고 배우는 방법에 관하여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사들의 신념이 변화하는지 조사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신념 변화를 알기 위해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학교육 전문가들과 함께 검사 문항들을 생성하고 검토한 후, 연구자들은 이 도구의 구조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학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를 수강한 166명의 예비교사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사도구 개발을 위해 평행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차례로 적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로 개발된 도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사 중심, 학습자 중심 교육 신념을 측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발 도구를 적용해서 얻는 점수를 적절히 해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등학교 교과서 활용 및 개선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and Improvement of High School Textbooks)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932-940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pre - service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how paper textbooks are used in high school classes and what improvement is needed. First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extbook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most of the respondents did not use textbooks for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econdly,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textbooks are most frequently used as teaching material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subjects, in addition to textbooks, problem collection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howed the most use of prints. Nex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method of th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high school class, the response rate was high in that Korean,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English classes needed a textbook.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necessary for the textbook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textbooks, the most demanding textbooks focused on the core basic contents, followed by self -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competency centered contents selecti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 self - development. The demand for digital textbooks was low.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Non-Textual Elements i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 Lee, Ji-Eun;Ligocki, Daniell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181-217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how pre-service teachers (PSTs) view, interpret, and utilize non-textual elements (NTEs) in mathematics curriculum. Fifty-two PSTs, who enrolled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at a Midwestern university in the U.S., engaged in a three-part task that consisted of evaluations and modifications of NTEs in the sample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We ascertain what PSTs consider to b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NTEs, how they define the primary goals of NTEs, and how they would work to modify or adapt existing NTEs with effective teaching in mind. By using the Curricular Noticing Framework,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PSTs recognize opportunities with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regarding how PSTs' prior experiences may affect their curricular-attending habits, which has consequences for their future teaching. Findings indicate that PSTs understand NTEs to be simply a support for tradi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ather than tools on their own. Also, they tend to prefer NTEs that are familiar to them. From our findings, we draw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who support PSTs'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NTEs.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acticum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517-52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ir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eaching students an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eaching practicum. In addition, they have perceived that teaching practicum can enhance teaching methods for their students. Especially, they suggested that cooperating teachers' instruction and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colleagues' classroom observ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In other hands, they have difficulties in application of questions encouraging mathematical thinking, attention concentrati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planning and performing for mathematics instruction class according to levels of students' study abilities. Based upon this study's findings,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uld make efforts to alleviat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rough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such as regular reflection activities for their classes, programs development associated with schools, pre-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guidance teachers.

예비 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Study on Pre-service Teacher' Statistics Reasoning Ability)

  • 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95-323
    • /
    • 2011
  • 학교 수학에서 확률 통계 영역은 자료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적 과정을 통해 타당한 결론을 추론하며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학습하는 단원이다. 통계 단원은 연역적 사고를 강조하는 학교 수학의 다른 영역과 달리 교실 수업의 과정에서 실제 자료를 통한 귀납적 추론과 올바른 직관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통계 단원의 교수 학습 과정에서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실제 자료에 대한 귀납적 추론과 직관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여 정보를 추출하고 타당한 결론을 추론하는 방법을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일선에서 통계 교육을 담당할 예비 교사들도 통계 교육이 요구하는 통계적 추론 능력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들이 구성하고 있는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학교 수학에서 요구하는 통계적 추론에 대해서 알아보고, 둘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통계적 추론 검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통계적 추론 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셋째, 예비 교사들의 반응을 토대로 그들이 구성한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분석과 함께 오개념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 넷째, 통계 교육에서 예비 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수학 교과 독서 지도를 위한 교사 교육 실행 - 예비 교사 교육 사례를 연계한 현직 교사 연수 -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r the Teach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독서의 이해'를 주제로 수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교사 연수는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효과적인 교과 독서 지도의 실천을 유도하고자 계획되었다. 특히, 연수 과정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지도 내용을 현직 수학 교사 연수 과정에 접목시키면서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실천 사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과 독서 지도를 의미있게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접하면서, 자신의 지도 경험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고 이전보다 개선된 지도 방법을 탐색해 나가는 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교사 양성 기관과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 교육자나 교사 모두에게 개선된 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교과서에 대한 은유 분석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 김진호;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147-16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Their metaphors describe individual and collective patterns of thinking and action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To analyze their metaphor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based on Lakoff and Johnson's theory of metaphor (1980) was adopted.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were elicited from 16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writing prompts. The writing prompt responses revealed three types and thirteen categories: As Type I, there were (1) 'Principles', (2) 'Summary', (3) 'Manual', (4) 'Encyclopedia', (5) 'Code', (6) 'Guidelines', and (7) 'Example'. As TypeII, there were (9) 'Assistant', (10) 'Friend', (11) 'Scale', and (12) 'Ongoing'. As TypeIII, there was (13) 'Trap'. Among these categories, 'Guidelines', 'Assistant', and 'Ongoing' were the most frequently reveal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textbooks, and classrooms are not a unilateral way but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