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chool Teacher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33초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riteria for Self-Assessment of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 김소형;김용석;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171-192
    • /
    • 2016
  • As teachers' competency is evaluated based on their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what 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 i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used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To draw the self-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self-reported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distribution across the criteria and check the ratio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each element. As a result, it was disclose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eight elements in self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nded to consid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re than Subject-Matter Knowledge (SMK).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달 위상 변화의 시각화 자료에서 SBF 질문에 따른 예비교사와 초등학생의 시선 이동 차이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BF Question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 고민석;양일호;김오범;임성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273-285
    • /
    • 2014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ye mov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Eye-Tracker was used for analysis for eye-fixation time and eye movement at the structure, behavior, function question on the visual materi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 checked the visual material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depending on the function questions and fixed eye-fixation on the moon of the behavior question concerned. On the contrary, elementary school student only checked function of the moon located in the upper part and eye-fixation focus was spread here and there regardless of the question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 gazed at the sun, earth and moon in a consecutive order depending on the questions to identify their spatial relations and checked location of the moon related to the question. On the contrar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did not view relations between earth, sun and moon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e-service teacher conjures up the mechanism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and confirms it in visual materials by visualizing change on the lunar phase model from earth's point of view whil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fails to take advantage of visual materials to visualize it from earth's point of view.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과 독서 활동 지도 사례 (A Practice of Content Area Reading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405-4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수학교육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관련된 도서를 읽히고 독서 토론과 발표 및 그 내용의 음미 과정을 제공하면서 예비교사들이 의미있는 교과 독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안내한 지도 사례를 제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과 독서 활동에서 수학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배우면서 독서 토론과 발표를 통해 자신의 지식과 생각을 공유하고 확장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뿐 만 아니라 교과 독서를 실행한 예비교사들은 교과 독서가 수학에 대한 흥미 유발, 교사 자신의 변화, 전공 학습에의 도움, 미래의 학생 지도에 유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지도 사례는 예비교사들에게 교과 독서를 통해 수학 및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폭넓은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평생 학습자로서의 바람직한 교사의 태도를 갖추게 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초등학교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및 과학 교육에 관한 신념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 김정민;여성희;심규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489-498
    • /
    • 2007
  • This study focuses on surveying and examining the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21 items about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on a 5-Likert scale(score range from 1 to 5). The one contained science knowledge and scientific invention, and the other contained science teacher, learning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6 pre-service and 96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24 male and 148 female). The elementar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had higher level belief about that science knowledge should be acquired by sequential scientific process, the beliefs of in-service teachers was more explicit than those of pre-service teachers. They had beliefs to educate learners by providing scientific joyfulness and sequential scientific process. But,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to perform scientific process-based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cientific experienc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in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s.

  • PDF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와 수학수업에서 실제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s Pre-Noticing and Actual Noticing in Mathematics Classroom)

  • 이은정;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4호
    • /
    • pp.773-791
    • /
    • 2016
  • 교사의 주목하기 능력은 교수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언급되어 오고 있다. 주목하기는 수업 중 이루어지는 교사의 순간적인 의사결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다차원성과 동시성의 특징을 가진 수업 상황에서 교사는 능동적으로 환경을 만들고 상호작용하면서 주목하기를 실행한다. 수학 교사가 전문가로서 수업 상황에서 주목해야만 하는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는 학생의 수학 학습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이 목표로 하는 수학적 지식을 학습하면서 보일 수 있는 전형적인 전략과 어려움 등을 예상하고 적절한 대응을 예측해보는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 활동이 실제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에 대한 교사의 주목하기에 어떻게 반영되어 드러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개념이나 오류를 이해 형성의 기회로 활용하는 주목하기, 학생들의 사전지식에 기초하여 학습기회 창출을 시도하는 주목하기, 학생들의 불완전한 추론을 개선하기 위한 주목하기의 세 가지 형태로 교사의 주목하기가 실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 주목하기 활동이 실제 수업에서 발생하는 교사 주목하기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학생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교사들이 주목해야만 하는 측면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전 주목하기 전략이 유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예비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 - 심층 면담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n the Education Practicum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 임정훈;강봉숙;박주현;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75-9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현행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실습 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사서교사 33명(사범대학 6명, 교직이수 16명, 교육대학원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혼합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사서교사는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예비할 수 있고, 향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질적 탐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인식과 학교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의 확대, 시기의 분산, 상시실습 체계의 구축, 현장교사와 지속적인 논의,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예비초등교사들의 자연환경 인식 (The Natural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오강호;김해경;고영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1호
    • /
    • pp.45-56
    • /
    • 2008
  •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funda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natural environments. The recognition items of questionnaire for those environments include ones of water, atmospheric, soil, biologic and oceanic environments constituting of the earth system.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y affirmatively recognized biologic environment, but they showed highly negative recognitions to others. In other side, it is considered that their recognitions to natural environments were probably transferred by the things which involve press media, curricula and real live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systematic teaching-learning for natural environments is essential because the encouragement of eco-friendly attitude, one of main goa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s budded from basic understandings to natural environments. Affirmatively environmental worldview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mportant for reasons why teacher's quality and practice will is fundamental, and then teacher could change the views of the student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o, preparing balanced attitudes, right concepts and connection to applicable knowledges for natural environment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pointed to organized edu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 PDF

예비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재구성을 통한 수업 설계 변화 탐색 (Explo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Chang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Restructuring the Lesson Plan)

  • 최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9-177
    • /
    • 2020
  • 교육 분야의 연구자들은 학교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고자 교사의 수업 설계 능력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수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이 수업을 수행한 후, 계획하였던 교수·학습 과정안을 재구성함으로써 나타난 수업 설계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과정안에서 도입단계의 학습동기 유발, 전개단계의 학습내용 제시, 정리단계의 형성평가에 대한 재구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재구성한 내용의 범주는 교과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업 설계 및 수행의 경험 부족을 원인으로 볼 수 있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수의 실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교)의 보육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 (An Analysis of Pre-service Curriculum for Child Care Teache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 김의향;신나리;민미희;이형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61-58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ice curriculums for child care teache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implemented to gather the lists of courses from each department traini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 total of 225 department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across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7 different courses offered for child-care teacher licensure were different by school type (university or college) and major. Departments in colleges with specific major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offer courses that are also required for other certificates,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or social workers, so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may not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cours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ir specific teaching needs or interests. Accordingly, there may be a restricted number of courses from which to choose during pre-service training period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everal poli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hild-care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