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chool Teacher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27초

수업설계안에 나타난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통계적 소양 수준 분석연구 (Analysi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lesson plan)

  • 김도은;강병련;이민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29-44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liter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o discuss the impact of statistical literacy in lesson pla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1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tests and lesson pla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id not have a high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n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re was a big level difference between them. Seco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lesson pla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target gra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tudent, and the contents. Based on this study, we seek to find implications for how it is appropriate to educate teachers in charge of statistical education.

예비교사를 위한 정보화 교육 방향 탐색 연구 -미국 인디애나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Indiana University's CEL Program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 허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7-120
    • /
    • 2008
  • Building a competency of pre-service school teachers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decide right direction of k-12 computer & information education. In this context, we can realize of the importance of computer & inform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e of the CEL(Computer Educator License) program in Indiana University and to fi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echnology education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methods and procedures involved the following steps: The literature reviews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performed.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case study method was designed for collecting data. Data were composed of related documents, web resources, and interview resourc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 and recommendation of this study were the importance of following factors: (a) technology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for pre-service school teachers, (b) differentiated management with skill-based technology education, (c) leadership for using and diffusing technology in the school, and (d) connected curriculum with the national standard indicator.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 및 변화 양상 (Kore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ts Evolution)

  • 김영민;이현주;김재권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40-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과학 교수와 학습 및 교실 환경에 대해 어떠한 신념과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그러한 신념과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의 두 대학에서 과학 교사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교수와 학습에 대한 신념을 묻는 32문항으로 구성된 BARSTL에 응답하였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1년 뒤 4학년이 되었을 때 동일한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신념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수업 및 학생들의 과학 학습, 그리고 교실 환경과 교육과정에 대해 긍정적이긴 하지만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며 그 수준은 졸업하는 시점인 4학년 말이 되어서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PDF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 Analysis on A Pre-service Teacher's Thinking Process in th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s)

  • 김선희;김태익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53-367
    • /
    • 2013
  • 본 연구는 한 예비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수학 교과서를 기호의 표현체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단위 변환 내용을 대상체로 볼 때, 예비교사의 교과서 분석은 교과 내용 지식과 학생들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교수 자료 분석은 한 가지 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를 기호 공간에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가 교수 자료를 도해로 구성했을 때 수업을 염두에 둔 실험과 반성의 단계에서 예비교사의 추상적 연역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사고 과정을 기호학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기호학을 활용한 수학교육분야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uture Teacher Competency Diagnostic Scale for Pre-service Teachers)

  • 백종남;김수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31-339
    • /
    • 2020
  • 본 연구는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미래 교사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래 교사역량으로 지식, 실천, 인성 등 3차원에서 각각 기초역량과 직무역량으로 위계화하여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54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으며, J지역 237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역량 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미래 교사역량은 지식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실천 차원 6개 요인 17개 문항, 인성 차원 6개 요인 18개 문항 등 총 5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래 교사역량 진단 모형의 적합성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에서의 과학적 사고력과 감성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tific Thinking and Emotions in Writing a Science Essay)

  • 임성만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41-35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적 감성을 계발하기 위한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G지역의 교사 양성 기관에 다니고 있는 1학년 학생 60명이 선택되었다. 60명의 초등 예비교사는 모두 '과학 탐구'와 관련된 교양 강의를 선택한 학생들이었다. 연구결과, 과학적 사고력과 관련된 글에서는 과학적인 방법인 '귀납'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감성과 관련된 글에서는 이야기의 배경, 매개체, 목적과 관련된 서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초등 예비교사들은 글쓰기가 거듭되면서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과학'에 대한 이미지도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과학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하고 흥미로운 과학 탐구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ChatGPT를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설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Lesson Design Using ChatGPT)

  • 이유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497-51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ChatGPT에 대한 인식과 ChatGPT를 활용하여 구안한 수업설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ChatGPT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설계역량 신장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hatGPT를 활용하여 작성된 수업설계지를 수학수업의 설계 요소, 대화 및 정보 처리 유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ChatGPT 활용에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교사의 중재 가능성과 ChatGPT의 특성이 ChatGPT 활용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 활동과 배운 내용을 적용하는 놀이 활동에 ChatGPT를 활용했으며, 개인마다 ChatGPT를 활용하는 수준, 즉 ChatGPT와의 대화 양상과 정보 처리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ChatGPT를 활용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교사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Weight and Pressure in Water")

  • 박재원;원정애;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226-24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garding the subject of "weight and pressure in water". 6 elementary teachers in charge of the 6th grad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7 hour lessons were observed over $15{\sim}20$ days, and a variety of data including scenario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interviews of teach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eachers who had long career histories thought that the purpose of teaching science was to teach the use of science principles, and teachers who had only taught for a relatively short time thought the purpose was satisfying students' curiosity. Most of the teachers felt that the science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buoyancy was insufficient. They had acquired most of the science content knowledge from teaming experienc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didn't help them to satisfactorily acquire the science content knowledge under analysis here. Most of the teachers taught the science lessons according to the order of sequence as shown in the science textbook. They didn't teach the contents that they thought were needed if they were not already included in the science textbook. Only one teacher who had taken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managed the science classes freely according to his own thoughts and opin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ould be concluded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have enoug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o teach their students effectively.

  • PDF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의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using applications)

  • 남기원;이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9-2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의 효과를 탐색하고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으로 음악창작활동을 구성하였으며, 경기도 A시에 위치한 S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56명(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27명)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악창작활동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교사 양성교육이 교사역할 수행에 대한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21세기의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교육매체로서 어플리케이션을 재조명하고, 교사 양성교육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기술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the experince of donation for education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acy of pre-technology teacher with Invent touring activity)

  • 최유현;임윤진;이은상;이동원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6-175
    • /
    • 2013
  • 이 연구는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 기술교사의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은 발명교육의 중요 활동인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기부활동 평가를 포함한다. 이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C대학교 기술교육과의 전공 및 부전공 학생 20명이다. 교육기부활동은 D아동지역센터, K대안학교, D초등학교, D중학교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교육기부활동과 교수효능감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검사도구는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한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를 예비기술교사에게 맞게 수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3명이 참여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검사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alpha}$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는 .840, 사후검사는 .746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도구는 SPSS 19.0 이다. 연구 결과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예비기술교사들의 교수 효능감이 향상되었다.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질적인 고찰을 실시한 결과 교육활동을 통해 인성이 긍정적으로 변화였고, 무엇보다 기술교과지도를 위한 교수역량개발의 기회가 되었다고 답하였다. 이에 따라 예비기술교사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전략으로 교육기부활동의 체험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