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Education Teacher

검색결과 997건 처리시간 0.032초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이용한 예비교사의 정보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form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Unplugged Computing)

  • 한희섭;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30
    • /
    • 2009
  •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지심리학의 개념습득 이론 중 원형이론과 본보기 이론의 상호보완을 통하여 정보교육의 필요성과 개념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또한 언플러그드형 수업사례 시연활동을 통하여 컴퓨터과학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들에게 교수-학습 설계능력을 향상시키고, 컴퓨터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효과성이 높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2-26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the correlation of level o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3, for 15 weeks, the classes were conducted for 3 hours per week and we find out knowledge Understanding degree and select terms offered by 5th grade science courses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and measured space perception ability degre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a questionnaire.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understanding level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astronom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understanding as it goes the upper grades about upper concept in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of astronomy area of elementary science 'Earth and space sector'.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acquire knowledge of astronomy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dividually in 'finding solid body' of sub-element of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shows that 'finding solid body' factor is associated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ird, in the section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for elementary education, 'Reflection' and 'Finding solid body' which are low-level components of space perception ability were verified that have a corelationship with general grades in the astronomy conception test.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포트폴리오 활용 (Using portfolio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75-1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portfolio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actual application case. To achieve this goal, 28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eveloped their own portfolios in the regular study course for one semester under the pre-planned components of portfolio.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their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and in the structured interview for drawing implications of using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developing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s of mathematics teachers' roles and showed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s well as their learning. Continued investigation for more effective components of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portfolio would be needed.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eacher's Efficacy)

  • 최인숙;박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54-46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 및 교사 효능감의 수준과 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라북도 I시와 충청북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반응지수도구(IRI),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ICQ), STEBI를 유아교사에게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효능감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고통 이외 모두 3점 이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교사 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 나지연;장병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85-9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by using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an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for science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ever, few respondents indicated that student-centered equipment or a free and creative classroom environment would be provided. Second, they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teacher's activi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facilities and equipment, but most of the other teachers' activities were thought to be similar to those of current teachers. Thir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a variety of new technologies would be used i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s would mainly teach high-technology, IT technology, science knowledge, and newly discovered science concepts.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s were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se results show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expected to utilize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in science education in 2030 and that it will lead to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itie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hey viewed acquisition of science concept as an important goal of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from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scholars' emphasis on educational research for the future.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 (Trend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이경건;안태수;문선영;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47
    • /
    • 2022
  • 예비 과학교사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될 과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요하며, 이에 따라 많은 예비 과학교사 교육연구들이 국내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 동향을 중등교사 맥락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하는 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문헌은 1995년부터 2021년까지 17개의 KCI 등재지급 학술지에서 출판된 410건이었다. 해당 연구 문헌들의 동향은 시기별 문헌 수, 주제어 빈도, 연구의 질적 속성을 살펴봄으로써 조사하였다. 이 때 연구의 질적 속성은 예비교사의 유형과 전공, 연구맥락 교과, 연구 주제, 접근 방법, 자료 유형, 연구 참여자 수를 질적 코딩함으로써 다각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보고는 5년 간격으로 약 40건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가 출판되는 학술지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되 2010년대 후반 이후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교수효능감이나 과학의 본성, 그리고 여타 교수학습맥락이 강조되고 있었다. 질적 속성 코딩결과 예비교사 유형은 중등교사, 예비교사 전공과 연구맥락 교과는 '일반' 과학교육이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로서는 '예비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인식 및 정의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접근방법으로서는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참여자 수는 11명 이상 30명 미만이 가장 많았다. 다만 이러한 질적 속성의 패턴은 시기별로, 그리고 예비교사 유형별로(유, 초, 중)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부터 보다 행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연구, 공통과학 교사에 대한 연구, 교사의 행위주체성에 집중한 연구, SSI 및 STS와 측면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주도할 환경교육 맥락의 포용 등 추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 제안하였다.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 현황과 과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echnology Integrated Curriculum: The Present and Task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7-156
    • /
    • 2017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활용 지원체계의 확대, 교사의 지식과 신념,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틀의 문헌연구를 기초로 국내 수학교육과의 관련 교육의 현황과 현안,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강좌개설 및 운영 자료는 설문조사와 강의계획서로 수집한 결과 강의는 수업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전체 학과의 1/3에 수학교육관련 ICT 강의가 개설되지 않았다. 테크놀로지 통합 예비 중등수학교사교육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교육과정의 방향과 세부내용의 부조화, 소프트웨어와 교과서 등 지원 부족 문제 해결을 통한 교육현장 개선과 교사교육의 포괄적, 세부적 방향설정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테크놀로지 활용 관련 비전의 공유가 필요하다.

실제 수업 및 학습공동체 참여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변화 분석 (Analyzing the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otic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actual class and learning community)

  • 정혜윤;서유민;한주호;서민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79-30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수업 및 수업 전후 진행된 학습공동체 회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 특징의 변화를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인 초등 예비교사와 연구진들로 구성된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였다. 분석 자료로 초등 예비교사의 실제 수업과 학습공동체 사전, 사후회의 과정 전체에 대한 녹화 및 녹음 자료와 이들에 대한 전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일지와 사후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학생의 학습지 등이 수집되었으며, 분석 방법으로 해석적 사례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주목하기의 특징이 주의 기울이기, 해석하기, 반응 결정하기의 각 요소에서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으며, 이와 같은 변화에 학습공동체가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의 주의 기울이기 대상이 과제 결과물에서 학생의 통계적 사고로 변화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의 해석하기가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근거의 다양성과 구체성이 갖추어진 상태로 변화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의 반응 결정하기가 생산적이지 못한 반응 결정하기에서 생산적인 반응 결정하기로 변화하였다.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KT)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101-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내용 지식 교육의 측면에서 예비수학교사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예비수학교사들의 MKT에 대한 인식 조사와 더불어 실제 과제 수행 과정에서 드러나는 MKT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26명의 예비수학교사가 MKT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와 중학교 수준의 기하 영역에 해당되는 2개의 MKT 과제의 수행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KCT-2 범주를 제외한 MKT 하위 범주 각각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비교사교육에서 MKT의 각각의 하위 범주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MKT 과제 수행 분석으로부터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은 SCK, KCS,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SCK와 KCT를 요구하는 문항에 적절한 응답을 준 예비교사의 비율이 50% 이하로 나타나 MKT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일반적인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 발현 과정 사이에는 불일치되는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Exam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during Peer Teaching Practice)

  • 윤혜경;정용재;김미정;박영신;김병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34-346
    • /
    • 2012
  • For teachers' conceptions and understandings are critical to their decision making and classroom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s and practices of science inquiry during peer teaching practice. Fifteen 4th year university student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peer teaching practice. Their teaching and reflective discussion were video and audio recorded and written lesson plan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Five science teacher educators individually looked into the data and shared their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on pre-service teachers' views and practice.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with motivating resources in the beginning of lesson, employing certain inquiry teaching models, the process of predicting and dis/proving via experiment, and teachers' minimal intervention as the important features of inquiry teaching. Science teacher educators emphasized that it is critical to help children understand inquiry questions in the beginning of inquiry process, to be mindful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following instruction models or simply going through prediction and test process. They also commented that teachers' guidance could lead a good inquiry process in classroom practice, not always interfering students' inquir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cience teacher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what and how pre-service teachers view and practice science inquiry teaching and consider these as useful resources where they can start effective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at the university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