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wer Transmission line

Search Result 1,3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s of Atmospheric Pressure Microwave Plasma on Surface of SUS304 Stainless Steel

  • Shin, H.K.;Kwon, H.C.;Kang, S.K.;Kim, H.Y.;Lee, J.K.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8-268
    • /
    • 2012
  • Atmospheric pressure microwave induced plasmas are used to excite and ionize chemical species for elemental analysis, for plasma reforming, and for plasma surface treatment. Microwave plasma differs significantly from other plasmas and has several interest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electron density is higher in microwave plasma than in radio-frequency (RF) or direct current (DC) plasma. Several types of radical species with high density are generated under high electron density, so the reactivity of microwave plasma is expected to be very high [1]. Therefore, useful applic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microwave plasmas are expected.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SUS304 stainless steel a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surface modification by microwave plasma under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The plasma device was operated by power sources with microwave frequency. We used a device based on a coaxial transmission line resonator (CTLR).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jet (APPJ) in the case of microwave frequency (880 MHz) used Ar as plasma gas [2]. Typical microwave Pw was 3-10 W. To determin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the surface treat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various values of Pw (3-10 W), treatment time (5-120 s), and ratios of mixture gas (hydrogen peroxide). Torch-to-sample distance was fixed at the plasma edge point. Plasma treatment of a stainless steel plate significantly affected the wettability, contact angle (CA), and free energy (mJ/$m^2$) of the SUS304 surface. CA and ${\gamma}$ were analyzed. The optimal surface modification parameters to modify were a power of 10 W, a treatment time of 45 s, and a hydrogen peroxide content of 0.6 wt% [3]. Under these processing conditions, a CA of just $9.8^{\circ}$ was obtained. As CA decreased, wettability increased; i.e. the surface changed from hydrophobic to hydrophilic. From these results, 10 W power and 45 s treatment time are the best values to minimize CA and maximize ${\gamma}$.

  • PDF

3 GHz, 6 GHz 실내 환경의 지연 확산 측정 및 분석 (Delay Spread Measurement and Analysis in 3 GHz and 6 GHz Indoor Environments)

  • 이성훈;이화춘;조병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2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실내 환경 전시관과 대회의실에 대한 지연 확산 측정 및 분석하였다. 두 건물의 실내 환경에 대해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또한, 시스템 구성과 측정 방법을 같은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조건은 중심 주파수인 3 GHz, 6 GHz로 하였고, 분석 대역은 2 GHz로 선정하였다. 측정시스템은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 전력 증폭기, 무지향성 송·수신 안테나, 전송선로를 구성하였다. 두 건물의 실내 환경 시나리오에 따라 송신 안테나 위치를 기준으로 수신 안테나의 위치를 3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 18개의 위치에 따라 1 m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두 건물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 RMS 지연 확산, K-factor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고속DRAM모듈 설계에 대한 전원평면의 임피던스계산 (Impedance Calculation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s for High-Speed DRAM Module Design)

  • Lee, Dong-Ju;Younggap You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3호
    • /
    • pp.49-6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DRAM 모듈의 전원 평면에 대한 효과적인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고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PEEC 등가회로를 이용한 2D 전송선 구조로 전원평면의 모델링 및 해석. 2) 측정값 비교를 통한 해석 결과 검증. 3) 전원 평면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설계 가이드 제시.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DRAM 모듈에서 전원 및 접지평면 성능을 안정화를 이루기 위한 효과적인 De-coupling 커패시터의 용량과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설계 방법론은 스트립 구조 및 do-coupling 커패시터를 갖는 DRAM 모듈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용 삼중대역 멀티플렉서 (Triple-band Multiplexer for a Low Power Portable Base Station)

  • 서수덕;조학래;양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09-731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용 삼중대역 멀티플렉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이 멀티플렉서는 셀룰러, WCDMA, 그리고 LTE를 포함하는 3개의 이동통신 주파수대역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통과대역에서는 0.8 dB 삽입손실과 1.5 이하의 정재파비 그리고 차단대역에서는 15dB 이상의 대역저지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제작된 삼중대역 멀티플렉서 시료로부터 얻어진 신뢰성 테스트의 결과, 모든 시료의 제반 특성이 통과 대역 824~894 MHz, 1920~2170 MHz, 2500~2690 MHz에서 최대 삽입손실 0.71dB, 정재파비 1.38, 저지대역 감쇄 15 dB 이상을 보임으로써 우수한 성능과 설계 규격에서 정한 규정을 매우 잘 충족하고 있다.

고효율 및 저전압 동작 특성의 Q-band MIMIC HEMT발진기 (High Efficiency Q-band MIMIC HEMT-Oscillator Operating at Low Voltages)

  • 이문교;안단;이복형;김성찬;임병옥;한효종;채연식;신동훈;김용호;박형무;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4호
    • /
    • pp.45-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소자 결합 구조를 통해 발진전력이 합쳐지는 회로를 이용한 저전압, 고효율 Q-band MIMIC 발진기를 제안한다. 0.1 ㎛ GaAs PHEMTS와 CPW 전송라인을 사용하여 제안된 구조의 발진기를 성공적으로 집적화하였다. 제작된 발진기는 34.56 ㎓ 주파수에서 2.6 ㏈m의 출력 전력일때 19 %의 높은 효율특성을 가졌다. 이때 회로에 인가된 전압은 2.2 V로 현재까지 Q-band에서 발표된 발진기보다 낮은 구동전압 특성을 얻었다. 또한 최대 출력 전력은 34.56 ㎓ 주파수에서 6.7 ㏈m을 얻었다.

광통신용 테이퍼 방향성 결합기의 설계 특성 (Design Characteristics of Tapered Directional Couplers in Optical Communication)

  • 손석용;호광춘;김영권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11호
    • /
    • pp.18-26
    • /
    • 1999
  • 최근, 유사 빔 전파방법이나 비 직교성 결합모드이론과 같은 다양한 근시적 해석법들이 중첩모드에 기초한 테이퍼 방향성 결합기의 그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안되어 왔다. 비록, 이들 접근 방식들이 특별한 구조에서 충분히 정확한 결과들을 제공하지만 테이퍼 전송 구조와 같은 민감한 광 소자 해석에는 불충분하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그 방향성 결합기의 전력전송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하여 새롭게 발전된 모드 전송선로, 해석법을 소개하고 이용하고자 한다. 이를 이용한 수치 해석 결과 대칭인 두 테이퍼 채널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우/기 모드의 전파상수는 하나의 값으로 수렴하였다. 더욱이, 테이퍼 각도가 ${\theta}=0.1^{\circ}$일 때 하나의 전송 채널을 통하여 입사된 모드의 97%가 다른 전송 채널로 전송되었고, 그 기운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전송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PDF

곡면형 다중모드 간섭 도파로를 사용한 플라즈마 적응 결합기의 구현 (Realization of Plasmonic Adaptive Coupler using Curved Multimode Interference Waveguide)

  • 호광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65-170
    • /
    • 2016
  • 곡면형 플라즈마 도파로에 기초한 나노 크기의 전력분배기가 다중모드 간섭 결합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플라즈마 곡면형 다중모드 간섭 결합기(PC-MMIC)의 적응 특성을 쉽게 분석하기 위하여 등각변환 해석법을 이용하여 곡면형 구조를 평면형 구조로 등가 변환하였다. 또한, 3D 전송구조의 전파특성과 최적의 설계변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유효 유전체 방법과 종방향 모드 전송 선로 해석법을 적용하였다. 설계된 $2{\times}2$ PC-MMIC는 휘어진 구조에 기인하여 quasi-TM 모드에서는 PC-MMIC의 특성이 나타내지 않았으며, quasi-TE 모드의 경우 50%:50%의 비율로 출력되는 3dB 결합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 보다 큰 부분에서 입사된 신호가 더욱 좋은 결합특성을 나타내었다.

분산전원이 연계된 배전선로의 운영시스템 설계 (Operation System Design of Distribution Feeder with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 김성만;장영학;김경훈;김슬기;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83-1194
    • /
    • 2021
  • 전통적으로 전력시스템은 공급체계의 말단에 있는 소비자의 위치에서 보면 중앙집중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 십년간 지붕형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 소형 풍력터빈, 배터리저장장치 및 스마트 가전품과 같은 분산에너지원의 등장을 보아왔다. 분산에너지원의 등장에 따라 배전계통 운전원의 역할도 확장된다. 확장된 분산전원의 진출은 배전망이나 송전망의 전통적인 계획과 운영에 영향을 주는 전력계통의 역조류와 예측성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인 계통계획, 정비 및 망관리, 정전할당 등 배전계통 운전원이 갖는 기능이 변경되어야 할 필요성을 증폭시킨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분산전원을 갖는 미래 배전운전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된 배전시스템 모델을 HILS로 구현 및 검증하는 것이다. 시험결과를 보면 제안된 배전시스템이 정상 영역에서 운전되고 배전선로 손실이 감소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적응 버퍼링 성능분석 기반의 스마트 OTT 플랫폼 설계☆ (Design of Smart OTT Plat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Adaptive Buffering)

  • 김인기;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채널상태에 동적으로 최적화한 HLS(Http Live Streaming)의 비트 율에 따라 전송하기 위해 적응 버퍼링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OTT(Over The Top) 플랫폼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망 대역폭 용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 비트율과 대역폭 조절기(resolution) 사이의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적응 버퍼링은 기본적인 HLS 버퍼 구조에 2개의 버퍼를 추가한다. 적응 버퍼링은 이전 채널과 다음 채널을 지속적으로 버퍼링을 한다. 제안한 스마트 OTT 플랫폼의 적응 버퍼링은 단일 버퍼링의 정적 HLS 방식 보다 우수하다. 이러한 방식은 HLS 사용자가 가용 통신망 속도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 OTT 단말의 적을 버퍼링 속도를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서 스마트 OTT가 비트 율을 동적으로 최적화함으로서 라이브와 VOD 형태의 비디오를 전송하도록 구축하였다. 세그먼트 형식의 H.265 MPEG-2 TS 비디오정보인 m3u8 파일을 활용함으로서 HLS의 서버가 통신망 상황에 맞게 연동할 수 있으며, PLC(Power Line Control) 전송과도 연동할 수 있다.

백플레인용 10Gbps 아날로그 어댑티브 이퀄라이저 (A 10Gb/s Analog Adaptive Equalizer for Backplanes)

  • 유귀성;한건희;박성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9호
    • /
    • pp.34-39
    • /
    • 2007
  • 백플레인 채널 시리얼 링크는 심각한 신호왜곡 현상을 겪는다. 특히, 채널 자체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손실, 주파수에 따른 손실, 반사파 등의 불완전성으로 더욱 심해진다. 이 중 주파수에 따른 손실의 경우 신호파형에 ISI를 일으키므로, 이를 줄이기 위해 어댑티브 이퀄라이저 회로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0.18um CMOS공정을 이용하여 구현한 아날로그 형태의 10Gb/s 어댑티브 이퀄라이저 회로를 소개한다. 제안한 이퀄라이저 회로는 34인치의 긴 백플레인 채널(혹은 트랜스미션 라인)의 불완전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동작속도(10Gb/s)를 유지한다. 포스트 레이아웃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회로는 10mW의 전력소모와 $8ps_{p-p}$의 지터 특성을 가지며, $0.56mm^2$의 칩 사이즈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