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ultry Meat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9초

가금육(家禽肉)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1. 계육(鷄肉)의 보수력(保水力)- (Studies on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oultry Meat -1. Water Holding Capacity of Chicken Muscle-)

  • 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59
    • /
    • 1973
  • 닭고기의 가공특성(加工特性)을 알고, 가공방법(加工方法)을 개선(改善)하기 위하여 폐계와 육계(肉鷄)를 각(各) 20수(首)씩을 5군(群)으로 나누어(whole carcass, skinned carcass, debonned carcass, thigh muscle, breast muscle) 마쇄하여 실험(實驗)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폐계와 육계(肉鷄)의 도체률(屠體率)은 각(各) $64.32{\pm}2.11,\;67.96{\pm}1.16$이었고, 흡수증체률(吸水增體率)은 $105.43{\pm}1.9,\;104.13{\pm}0.2$이었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은 육계(肉鷄)가 폐계보다 수분(水分)이 많고, 지방(脂肪)이 다소(多少) 적었다. 시료별(試料別)로는 폐계, 육계(肉鷄) 공(共)히 whole carcass ground meat가 thigh m., breast m보다 수분이 적고 지방과 회분의 많았다. 3. Relative WHC와 water retention은 thigh m. breast m. 과 skinned carcass가 높고, whole carcass가 가장 낮았다. 4. 가열감량률(加熱減量率)은 각군(各群) 모두 온도(溫度)가 상승할수록 높고 whole carcass가 가장 높았다. 5. Relative WHC, water retention과 가열감량률(加熱減量率)은 폐계와 육계(肉鷄) 사이의 유의성(有意性)은 전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오리육의 화염 처리 수준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Singeing Tim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uck Meat)

  • 채현석;유영모;안종남;정석근;함준상;이종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3-281
    • /
    • 2006
  • 본 연구는 오리육의 품질 고급화를 위하여 도축 과정에서 내장 적출 후 화염을 처리하여 도체의 육색 변화와 저장 과정 중 육질 변화 여부를 확인하며, 도체 표면 미생물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45일령된 오리를 도압장에서 탈모, 내장 제거, 수세 과정에 이어서 화염 처리를 실시하였는데, 화염 처리 수준은 $6kgf/cm^2$ 압력으로 LPG를 무처리, 중처리(50초), 과다 처리(70초)로 구분하여 화염을 처리한 후 저장 특성을 구명하였다. 화염을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드립 발생율의 증가율이 적은 반면에 무처리 구에서는 드립 발생 비율이 저장 5일까지 급격히 오르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에서 명도$(L^*)$ 값은 화염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가 가장 높은 명도 값을 나타내었고 중, 과 처리구는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화염 처리 수준별 총 균수의 변화는 무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화염 처리구에서는 처리 수준에 따라 약간씩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BARS 값은 화염 처리를 하였을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보존성의 저하를 가져왔으나 화염 처리 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K값 변화는 저장 3일까지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5일이 경과하면서 화염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K 값이 증가하여 신선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을 종합할 때 오리육의 화염을 처리하였을 경우, 화염을 처리할 때 드립발생율 및 육색의 명도 값은 감소되었고, 총 균수도 약간씩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지방 산패도를 나타내는 TBARS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리고기의 첨가 수준이 냉장 저장 중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Levels of Duck Mea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 Type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강근호;함형주;성필남;조수현;문성실;박경미;강선문;박범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7-85
    • /
    • 2014
  • 본 연구는 소시지 제조 시 오리고기와 돼지고기의 혼합비율에 따른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소시지 제조 시 사용되는 고기 함량을 기준으로 오리고기 100%(T1), 돼지고기 100%(T2), 오리고기 50% + 돼지고기 50%(T3), 오리고기 40% + 돼지고기 60%(T4) 및 오리고기 30% + 돼지고기 70%(T5)로 나누었다. 그 결과, 수분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T1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았고, T2가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과 지방함량에 있어서는 T2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명도의 경우, T1이 전 저장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은 명도를 보였다. 적색도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T1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T2는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오리고기 40%와 돼지고기 60%로 제조한 T4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응집성의 경우, 냉장 저장 2주까지 T5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육향, 맛 및 조직감에 있어서는 T5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른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T5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고기 소시지 제조 시 경도와 기호성을 좋게 하기 위한 근육 단백질의 혼합 비율은 오리고기 40%와 돼지고기 60%의 비율이 적당한 수준인 것으로 사료된다.

Influence of Whole Crop Corn Silage Ensiled with Poultry Manure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Hanwoo Steers

  • Ko, Y.D.;Kim, J.H.;Kim,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8호
    • /
    • pp.1133-1137
    • /
    • 200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fed whole crop corn silage ensiled with poultry manure (PM) for 18 month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phases. Steers were allotted in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which were ammonia-treated rice straw (AS), whole crop corn silage (CS) and whole crop corn+30% PM silage (based on DM; MS). All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Total body weight gain and average daily gain (ADG) in MS group were increased (p<0.05) by 6% over AS group. The MS treatment enhanced (p<0.05) total and daily intakes of forage compared with the AS and CS treatments while there was compensatory effect on concentrate intake by AS group.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by feeding MS. MS increased (p<0.05)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7.5 and 22.5% of AS, respectively), and reduced (p<0.05) backfat thickness (13.2 of AS and 16.6% CS). Carcass grade and meat quality grade were also improved by MS compared with AS and CS.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MS was an efficacious replacement for corn silage for steers.

Consumer Attitudes Toward Storing and Thawing Chicken and Effects of the Common Thawing Practices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Chicken

  • Benli, Hak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00-108
    • /
    • 2016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both evaluate the consumers' general attitudes for purchasing and storing the raw chicken and determine the thawing practices used for defrosting frozen chicken at home. About 75% of the consumers indicated purchasing chicken meat at least once a week or more. Furthermore, the majority (82.16%) of those who stored at least a portion of the raw chicken stated freezing the raw chicken meat at home. Freezing the chicken meat was considered to have no effect on the quality by 43.49% of the consumers while 56.51% thought that freezing had either negative or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The survey study indicated that top five most commonly used thawing practices included thawing on the kitchen counter, thawing in the refrigerator, thawing in the warm water, thawing in the microwave, and thawing under tap water. In addition,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most commonly used thawing practices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icken meat including pH, drip loss, cooking loss, color analysis and textural profile analysis. Although, $L^*$ value for thawing on the kitchen counter was the lowest, after cooking, none of the thawing treatm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or values. Thawing in the microwave produced the highest drip loss of 3.47% while the lowest drip loss of 0.62% was observed with thawing in the refrigerator. On the other hand, thawing in the microwave and refrigerator caused the lowest cooking loss values of 18.29% and 18.53%,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xtural parameter values of the defrosted and then cooked samples using the home based thawing practices, indicating similar quality characteristics among the samples.

반려견을 위한 동애등에 유충분말을 첨가한 닭고기 가공품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Chicken Products Containing Black Soldier Fly Larvae Powder for Pet Dogs)

  • 임영호;김채리;장소영;안용대;박영욱;이솔희;최정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39-45
    • /
    • 2024
  • 본 연구를 통해 닭고기를 활용한 반려견 간식 제품에서 동애등에 유충 분말의 유용한 고단백, 저지방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더 많이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의 경우 대조구(control)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은 조지방 함량을 나타냈다. pH의 경우,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육색 측정 결과, 동애등에 유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동애등에 유충 분말이 지속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공급원의 역할을 하는 새로운 식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고려할 때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경제적 이점을 위해 닭고기 부산물을 활용했을 때 낮아지는 단백질 함량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사료에 첨가 급여한 육계의 도체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acon By-products and Mugwort Powder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68
    • /
    • 2014
  • 본 시험은 육계에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각각 0.5%와 1.0%를 급여하여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다리 육의 도체특성, pH, TBARS, WHC, 전단력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야콘 부산물 분말 0.5% 급여구는 T1, 야콘 부산물분말 1.0% 급여구는 T2, 쑥 분말 0.5% 급여구를 T3 그리고 쑥 분말 1.0% 급여구를 T4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한 육계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 등의 생산성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폐사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 생화학 성상 분석 결과,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의 첨가 급여는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고, HDL-cholesterol은 증가하였다. 계육의 TBARS는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급여함에 따라 낮아졌으며(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계육의 육색은 대조구보다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 급여구에서 CIE $L^*$값은 낮아지고, CIE $a^*$값은 높아져 육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이었으며(P<0.05), CIE $b^*$값은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의 급여에 의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야콘 부산물과 쑥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TBARS 값이 낮아지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되어 콜레스테롤 대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경향은 야콘 부산물보다 쑥 분말 급여구에서 뚜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건강한 한국 중년 여성에서의 주요 식이패턴과 인구.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요인 간의 연관성 (Major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mong Generally Healthy Korean Middle-Aged Women)

  • 이승민;오아림;안흥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39-45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major dietary patterns of generally healthy Korean middle-aged women and to examine associations of the dietary patterns with socio-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Data were drawn from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hich is an ongoing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Healthy female subjects aged 40-64 years and provided the health interview examination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data were included. We conducted factor analysis based on daily mean intake frequency of 26 food groups and identified 3 major dietary patterns, healthy, convenient, and alcohol-animal. The healthy pattern was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s of fish, seafood, poultry, mushroom, seaweed, vegetable, tomato, potato, and fruit, the convenient pattern by processed meat and fish, ramen, noodle and rice cake, sweet snack, egg, bread, and fast food, and the alcohol-animal pattern by alcohol, poultry, meat, and fish. The healthy patter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more stable family structure, healthier mentality, and sounder status of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variables. Those with higher factor scores for the convenience pattern were found to be younger and having higher socio-economic status, higher subjective levels of health, and lower subjective levels of worry on health. Several physic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improved as the levels of the convenience pattern increased. The alcohol-animal patter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ver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 low education level, a young age, a small family size, and blue-collar jobs. Public health policy makers can utilize the study findings to select prior target populations with higher needs and to tailor dietary behavioral messages to lower chronic disease risks among Korean middle-aged women.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특성과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품질특성 및 풍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semary and Clove Essential Oils on Quality and Flavor Compounds of Fried Korean Native Chicken Thigh Meat)

  • 오수민;정유성;이상록;이희정;김동욱;추효준;신동진;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43-159
    • /
    • 2023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클로브 에센셜 오일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 제조 과정 중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첨가는 일반성분, pH, TBARS와 관능적 특성에 있어 유의적인 효과를 줄 수 없었다. 0.005CB를 제외한 모든 에센셜 오일 첨가 처리구는 Control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고 0.005CB에서는 높은 픽업률을 보였다(P<0.05).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한 결과,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과로 인하여 0.005CB와 0.01CB는 Control보다 높은 수준의 arachidonic acid를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특정 풍미성분들이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에 마스킹 되었고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능력을 통해 몇몇 pyrazine류의 물질들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 데이터는 향후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제조한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저장성 연구에 있어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절식 시간에 따른 육계의 소낭 내 Salmonella 오염도, 소화관 길이, 혈액 성분,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 Withdrawal Time on Salmonella Contamination in the Crop, Intestinal Weight, and Blood Parameters of Broilers before Harvesting)

  • 김희진;강환구;홍의철;김현수;손지선;유아선;강보석;전진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7-295
    • /
    • 2021
  • 본 연구는 농장 단계에서의 절식 시간에 따른 육계의 중량 및 소화기관의 무게의 변화, 소낭 내 Salmonella, Campylobacter 오염, 혈액 매개변수,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100 수의 육계(초기생체중, 1.906±0.06 kg)를 무작위로 5개의 처리구에 나누어 배치하였다. 절식 기간 동안 물은 공급했지만 사료는 공급하지 않았다. 절식 시간은 2, 3, 4, 5, 6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생체중, 도축 전 체중, 도체중, 소화기관의 무게, 소낭 내 Salmonella 및 Campylobacter 수, 혈청 생화학적 조성,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및 계육 품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절식시간에 따른 도체중, 혈액 corticosterone, 가슴육 pH, 육색, 보수력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6시간 절식한 육계의 소장 내 Salmonella 균 수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전단력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6시간 동안 절식한 육계의 가슴육의 전단력은 증가하였으나 소비자의 관능적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Salmonella 균 오염도 감소하여 도계 시 오염도가 감소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농장단계에서의 절식시간 설정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운송, 계류 시간도 함께 고려한 총 절식 시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