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roanterior cephalogra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교정에서의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이용 (THE USE OF POSTEROANTERIOR CEPHALOGRAM IN ORTHODONTICS)

  • 김영준;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5
    • /
    • 1989
  • 두개 안면부 내의 임의 부위를 평가시 정모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측방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을 동시에 적절히 사용할시에는 3차원적 공간 개념을 인지함으로서 대상의 정확한 존재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최근 교정학 분야에 있어서 점차 그 중요성과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교정 치료시 진단 및 치료 계획 과정에서의 이용 (1) 두부 안면부에서의 비대칭 부위와 양의 인지 (2) 교정 치료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therapeutic position의 평가 2. 교정 치료 mechanics의 성공 여부 평가 이같은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을 측방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등시에 적절히 사용 함으로서 정확한 진단과 그에 합당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PDF

Benefits of lateral cephalogram during landmark identification on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 Hwang, Sel-Ae;Lee, Jae-Seo;Hwang, Hyeon-Shik;Lee, Kyung-M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2-40
    • /
    • 2019
  • Objective: Precise identification of landmarks on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s is necessary when evaluating lateral problems such as facial asymmetr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use of lateral (LA) cephalograms can reduce errors in landmark identification on PA cephalograms. Methods: Five examiners identified 16 landmarks (Cg, N, ANS, GT, Me, RO, Lo, FM, Z, Or, Zyg, Cd, NC, Ms, M, and Ag) on 32 PA cephalograms with and without LA cephalograms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s of the landmarks were recorded and sav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he mean errors and standard deviation of landmarks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LA cephalograms were compared for each landmark. Results: Relatively small errors were found for ANS, Me, Ms, and Ag, while relatively large errors were found for N, GT, Z, Or, and C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rrors for Z and Or, while large vertical errors were found for N, GT, and Cd. The value of identification error was lower when the landmarks were identified using LA cephalograms. Statistically significant error reductions were found at N and Cd with LA cephalograms, espec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clusions: The use of LA cephalograms during identification of landmarks on PA cephalograms could help reduce identification errors.

Laterognathism의 술후 전방하악골상행지경사도 변화에 관한 정모두부방사선학적 연구 (The change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FRI) after orthognathic surgery with laterognathism: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 유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1호
    • /
    • pp.21-29
    • /
    • 2011
  • Introduction: To compare the change in frontal ramal inclination (FRI) in laterognathism after orthognathic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patients (10 men, 14 women; mean age, $22.8{\pm}5.2$ years) with minimal facial canting (${\leq}$ 2 mm) and apparent menton deviation ($5.9{\pm}2.4\;mm$) who had been operated on to correct facial asymmetry and skeletal CIII malocclusion, were selected. On a preoperative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 the FRI of the deviated side and non deviated side, L1 deviation amounts and menton deviation amounts were measured. The FRI differences between both sides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d deviated elements and the FRI differences were analyzed. On a postoperative PA cephalogram, the shifting amount of L1, shifting amount of L7 and FRI of both sides were measu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hifting elements and the change in FRI were analyzed. Results: On the preoperative PA cephalogram, the FRI of the non deviated sid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the deviated side. The differences in FRI, with a menton deviation amou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 the postoperative PA cephalogram, the FRI differences between the deviated and non deviated sid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mandibular transverse movement toward central position was noted. The mean shifting amounts of L7 were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eviated side of FRI. Conclusion: Transverse shifting of the mandible through orthognathic surgery decreases the FRI difference, which showed laterognathism, and improves the facial contour.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producibility of landmark identification on posteroanterior and anteroposterior cephalograms generated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 Na, Eui-Ri;Aljawad, Hussein;Lee, Kyung-Min;Hwang, Hyeon-Shi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1-48
    • /
    • 2019
  • Objective: This in-vivo study aimed to compare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anteroposterior (AP) and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s generated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AP cephalograms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AP and PA cephalograms were generated from CBCT scans obtained from 25 adults. Four experienced and four inexperienced examiners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levels in analyzing frontal cephalograms. They identified six cephalometric landmarks on AP and PA cephalograms. The errors incurred in positioning the cephalometric landmarks on the AP and PA cephalogram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straight-line distanc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as parameters. Results: Comparison of the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CBCT-generated frontal cephalograms revealed that landmark-dependent differences were greater than experienceor projection-dependent differences. Comparisons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vealed larger errors in identification of the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ent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landmarks. Comparison of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between the AP and PA projections in CBCT-generated images revealed a slightly higher error rate in the AP projections, with no inter-examiner differences. Statistical testing of the differences in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between AP and PA cephalogram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ll landmarks. Conclusions: The reproducibility of CBCT-generated AP cephalograms is comparable to that of PA cephalograms; therefore, AP cephalograms can be generated reliably from CBCT scan data in clinical settings.

골격형 안면 비대칭 부정교합자에 대한 정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POSTEROANTERIOR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SKELETAL CRANIOFACIAL ASYMMETRIC PATIENTS)

  • 천옥진;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65-581
    • /
    • 1990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symmetry in each part of the head in skeletal craniofacial asymmetric patients, and secondarily to determine the nature of difference existed between asymmetric patients and normal persons. The subjects consisted of 49 asymmetric adult patients and 52 normal adults, and the average ages were 21 years 5 months and 23 years 5 months, respectively. The computerized analyses of 33 linear measurements, 12 angular measurements, and 8 surface area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 were carried out.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Asymmetry was a common finding in both normal and asymmetric group. 2. When the analyses were undertaken after the head was divided into 3 parts anteroposteriorly and superoinferiorly in the asymmetric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asymmetries in all parts excepts in the cranial base region. 3. When the analyses were undertaken after the head was divided into respective 3 parts anteroposteriorly in the asymmetric patients, the more posterior part showed relative stability than the more anterior part. 4. When the analyses were undertaken after the head was divided into 3 parts superoinferiorly in the asymmetric patients, the more superior part showed relative stability than the more inferior part. 5. Twelve variables indicating asymmetry were selected and the highest ranked variable was Me-Mid-sagittal reference line.

  • PDF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 김은희;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3-552
    • /
    • 2000
  • 본 연구는 natural head posture(NHP)를 이용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촬영시 재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두개 안면부의 기형이 없는 25세 전후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통상적인 방법(술자 유도법)과 NHP에서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으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각기 2주 간격으로 촬영한 후 5개의 고경 계측항목과 9개의 폭경 계측항목을 선정하여 t 검정으로 각 계측항목의 재현도를 비교하는 한편,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으로3차원 상을 합성시 오차의 요인이 되는 두부의 상하회전 정도 차이를 촬영 방법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간 간격을 두고 술자 유도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서로 차이를 나타내어 낮은 재현도를 보였다. 2. 시간 간격을 두고 HPA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재현도가 높음을 보였다. 3. 폭경 계측항목의 경우 2회 계측치의 차이를 통하여 살펴 본 재현도에서 술자유도법과HPA방법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으로 3차원상을 합성하기 위한 수직적 두부 위치 보정각을 계산한 결과, 술자 유도법의 경우 $2.5^{\circ}$인 반면, HPA법은 $0.8^{\circ}$로 작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 촬영시 두부 위치의 재현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Accuracy of posteroanterior cephalogram landmarks and measurements identification using a cascad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lgorithm: A multicenter study

  • Sung-Hoon Han;Jisup Lim;Jun-Sik Kim;Jin-Hyoung Cho;Mihee Hong;Minji Kim;Su-Jung Kim;Yoon-Ji Kim;Young Ho Kim;Sung-Hoon Lim;Sang Jin Sung;Kyung-Hwa Kang;Seung-Hak Baek;Sung-Kwon Choi;Namkug Kim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8-58
    • /
    • 2024
  • Objective: To quantify the effects of midline-related landmark identification on midline deviation measurements in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s using a cascad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ethods: A total of 2,903 PA cephalogram images obtained from 9 university hospitals were divided into training, internal validation, and test sets (n = 2,150, 376, and 377). As the gold standard, 2 orthodontic professors marked the bilateral landmarks, including the frontozygomatic suture point and latero-orbitale (LO), and the midline landmarks, including the crista galli, anterior nasal spine (ANS), upper dental midpoint (UDM), lower dental midpoint (LDM), and menton (Me). For the test, Examiner-1 and Examiner-2 (3-year and 1-year orthodontic residents) and the Cascaded-CNN models marked the landmarks. After point-to-point errors of landmark identification, the successful detection rate (SDR) and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midline landmark deviation from the midsagittal line (ANS-mid, UDM-mid, LDM-mid, and Me-mid)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The cascaded-CNN algorithm showed a clinically acceptable level of point-to-point error (1.26 mm vs. 1.57 mm in Examiner-1 and 1.75 mm in Examiner-2). The average SDR within the 2 mm range was 83.2%, with high accuracy at the LO (right, 96.9%; left, 97.1%), and UDM (96.9%). The absolute measurement errors were less than 1 mm for ANS-mid, UDM-mid, and LDM-mid compared with the gold standard. Conclusions: The cascaded-CNN model may be considered an effective tool for the auto-identification of midline landmarks and quantification of midline deviation in PA cephalograms of adult patients, regardless of variations in the image acquisition method.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의 Nasion, Sella, Basion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과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정중 시상 평면 비교 (Comparison of midsagittal reference plane in PA cephalogram and 3D CT)

  • 조진형;문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15
    • /
    • 2010
  • 안면 비대칭의 평가에 있어 과거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하던 것과는 다르게 현재는 점차 3D CT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3D CT와의 비교를 이용하여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상 기준 평면을 찾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안모 비대칭이 발견되지 않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3D CT와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촬영하였고,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이용되어 왔던 5가지 정중 시상 기준 평면을 선택하여 계측을 실시한 뒤 이 값을 3D CT의 Nasion (Na), Sella (S), Basion (Ba)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에 대한 계측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좌우측 latero-orbitale의 수직이등분선을 정중 시상 기준 평면으로 이용한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값이 3D CT의 Na, S, Ba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을 이용한 계측값과 가장 차이가 작았고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 비대칭 평가 시 좌우측 latero-orbitale의 수직이등분선이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도움이 되는 정중 시상 기준 평면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부편위자의 하악골상행지 경사에 관한 정모두부방사선학적 연구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f frontal ramal inclination in chin-deviated individuals)

  • 은춘선;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0-387
    • /
    • 2006
  • 본 연구는 이부편위자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교정환자의 임상검사 시 비대칭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뚜렷한 이부편위를 보이는 성인 30명을 이부편위군으로, 좌우 대칭적인 외모를 보이는 성인 3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하악골상행지 경사도를 측정하고 좌우 차이를 산출, 비교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좌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이부편위자에서는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 차이를 보였다. 이부편위자에서 비편위측의 하악골상행지의 경사도는 편위측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차이는 이부편위 정도 및 상악고경의 좌우차이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부편위자에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의 좌우차이를 규명한 본 연구 결과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진단 시 하악골상행지 경사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성장기 골격성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모두부방사선 계측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in children with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 문윤식;김정국;정현성;성상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59-172
    • /
    • 2001
  • 악안면 기형과 부정교합의 성공적인 교정치료를 위하여 안모의 3차원적인 평가가 필수적 이지만 교정의사는 주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 기초한 진단 및 치료계획에 익숙하다. 이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 관한 계측치, 악골의 폭경 성장에 관한 지식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관심이 부족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 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세에서 16세 사이의 남자 130명과 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상의 두개골 및 상하악골의 폭경을 계측하여, 연령과 경추골 발육지표(CVMI)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다항 회귀모형 (polynominal regression models)과 변수선택법(method of variable selection)을 이용하여 적합한 회귀모형(regression model)을 각 성별에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 계측치의 평균 및 개별 계측치(individual measurement)의 70%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폭경 계측치는 나이 또는 CVMI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6세부터 16세까지의 총변화량은 상악골 폭경 보다는 하악골 폭경이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는 연령과 CVMI에 따른 남녀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3.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남녀 계측치의 평균 및 신뢰구간을 70%로 추정하여 상악골폭경, 하악골 폭경, Mx-Mn difference, Mx/Mn ratio에 대한 그래프를 얻었다. 4. 한국인의 상하악골 폭경은 성장기 동안 서양인에 비하여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장기 부정교합환자의 폭경 성장 평가와 폭경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치아 석고모형 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